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한국어
  • 성경
  • 출판물
  • 집회
  • 게헨나
    성경 통찰, 제1권
    • 영원한 고통의 상징이 아니다 예수 그리스도는 게헨나와 불을 연관시키셨고(마 5:22; 18:9; 막 9:47, 48), 마태와 마가와 누가를 제외하고는 성서 필자들 가운데 유일하게 이 단어를 사용한 제자 야고보도 그렇게 하였다. (야 3:6) 일부 주석가들은 그처럼 불과 관련이 있는 게헨나의 특징을 요시야의 통치 이전에 행해졌던 인간 희생물을 불태우는 일과 연관 지으려고 애쓰면서, 이를 근거로 예수께서 영원한 고통의 상징으로 게헨나를 사용하신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렇지만 여호와 하느님은 그런 행위에 대해 혐오감을 표현하면서 “내가 명령하지도 않았고 나의 마음 속에 떠오른 적도 없는 일”이라고 말씀하셨으므로(렘 7:31; 32:35), 하느님의 아들이 하느님의 심판을 설명하면서 그런 우상 숭배 행위를 게헨나의 상징적 의미의 근거로 삼으셨을 리는 없을 것 같다. 유의할 만한 점으로 하느님은 힌놈 골짜기가 산 자에게 고통을 주는 곳이 아니라 시체를 대량으로 처리하는 곳이 될 것이라고 예언적으로 선언하셨다. (렘 7:32, 33; 19:2, 6, 7, 10, 11) 그렇기 때문에 예레미야 31:40의 “시체와 기름 재의 저지 평야”라는 표현은 힌놈 골짜기를 가리키는 것으로 그리고 “잿더미 문”으로 알려진 문은 아마도 힌놈 골짜기의 동쪽 끝에 나 있는 문으로서 기드론 골짜기와 만나는 곳에 있었던 것으로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느 3:13, 14.

      그러므로 게헨나에 관한 성서의 증거는 일반적으로 랍비 자료와 기타 자료가 제시하는 전통적인 견해와 비슷하다. 그 견해란 힌놈 골짜기가 예루살렘 도시에서 나오는 폐기물을 처리하는 장소로 사용되었다는 견해이다. (Ph는 마 5:30의 게엔나를 “쓰레기 더미”로 번역한다.) “게힌놈”에 관하여 유대인 주석가 다비드 킴히(1160?-1235?)는 시편 27:13에 관한 주석에서 다음과 같은 역사적 정보를 알려 준다. “그리고 그곳은 예루살렘에 인접한 땅에 있던 장소로, 혐오스러운 곳이며, 사람들은 그곳에 불결한 것과 시체를 던진다. 또한 그곳에는 불결한 것과 시체들의 뼈를 태우기 위해 불이 계속 타고 있었다. 따라서 악한 자들의 심판은 비유적으로 게힌놈이라 불린다.”

  • 게헨나
    성경 통찰, 제1권
    • 예수께서는 또한 게헨나를 “그 구더기도 죽지 않고 불도 꺼지지 않”는 곳으로 묘사하셨는데, 이것은 이사야 66:24을 언급하신 것으로 보인다. (막 9:47, 48) 여기서 상징적으로 묘사하는 것이 고통이 아니라 철저한 멸망이라는 사실은 이사야의 그 구절이 살아 있는 자들을 두고 말하는 것이 아니라 하느님께 “범법 행위를 하던 사람들의 시체들”을 두고 말한다는 사실에서 분명히 드러난다. 입수할 수 있는 증거들에도 나타나 있듯이, 힌놈 골짜기가 쓰레기와 시체를 처리하는 장소였다면, 아마도 유황을 더함으로 더 잘 타올랐을 불(사 30:33 비교)은 그런 폐기물을 없애는 데 더없이 적합한 수단이었을 것이다. 불이 미치지 않은 곳에는 벌레 즉 구더기가 생겨나 불로 없어지지 않은 것을 다 먹어 치웠을 것이다. 이로 보건대 예수께서는 하느님의 불리한 심판의 파멸적 영향은 철저한 멸망이 이루어질 때까지 중단되지 않을 것이라는 의미로 그렇게 말씀하신 것이다.

한국어 워치 타워 출판물 (1958-2025)
로그아웃
로그인
  • 한국어
  • 공유
  • 설정
  • Copyright © 2025 Watch Tower Bible and Tract Society of Pennsylvania
  • 이용 약관
  • 개인 정보 보호 정책
  • 개인 정보 설정
  • JW.ORG
  • 로그인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