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한국어
  • 성경
  • 출판물
  • 집회
  • 통-1 “가슴, 젖, 젖가슴, 품”
  • 가슴, 젖, 젖가슴, 품

관련 동영상이 없습니다.

죄송합니다. 동영상을 불러오지 못했습니다.

  • 가슴, 젖, 젖가슴, 품
  • 성경 통찰, 제1권
  • 비슷한 자료
  • 품
    성경 통찰, 제2권
  • 품 자리
    성경 통찰, 제2권
  • 알고 계십니까?
    파수대—여호와의 왕국 선포 2015
  • 유방암에 대해 여성이 알아야 할 사실
    깨어라!—1994
더 보기
성경 통찰, 제1권
통-1 “가슴, 젖, 젖가슴, 품”

가슴, 젖, 젖가슴, 품

(breast, bosom)

영어 단어 “breast”[브레스트]는 젖샘을 의미하지만, 단순히 사람(남자나 여자)의 몸의 앞쪽, 목과 복부 사이의 부분을 가리키는 데 자주 사용된다. 사람의 젖 또는 젖가슴을 가리키는 두 개의 히브리어 단어는 샤드와 쇼드이다. (아 8:1; 욥 24:9) 가슴에 해당되는 그리스어 단어들로는 마스토스(누 11:27)와 스테토스(계 15:6)가 있다. 성경에서는 사람의 젖, 가슴 또는 젖가슴이 다음과 같은 것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가까움, 친밀함, 호의(아 1:13; 요 13:25; 21:20), 성숙함(아 8:8, 10; 겔 16:7), 아름다움(아 4:5; 7:3, 7, 8), 성 관계(“자기 젖가슴 사이”[호 2:2], “젖가슴이 짓눌렸고”, “가슴이 눌리던”[겔 23:3, 21]), 다산(창 49:25; 호 9:14), 환희와 번영(사 60:16; 66:11). ‘가슴을 치다’나 ‘젖가슴을 쥐어뜯다’는 극심한 굴욕과 괴로움과 비탄을 의미하였다.—사 32:12; 겔 23:34; 누 18:13; 23:48.

예수의 말씀을 듣고 있던 한 여자는 “당신을 밴 태와 당신에게 젖 먹인 가슴이 행복합니다!” 하고 외쳤다. 훌륭한 아들을 갖는 것은 모든 여자의 바람이었고, 유대인 여자들은 예언자, 특히 메시아의 어머니가 되는 특권을 바랐기 때문에, 이 유대인 여자가 그런 말을 한 것은 이해할 만한 일이다. 그러나 “아닙니다. 도리어 하느님의 말씀을 듣고 지키는 사람들이 행복합니다!”라는 예수의 대답은, 육적인 면으로 예수와 가까운 것은 중요하지 않으며 영성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려 주었다. 이 원칙을 보면 마리아를 우리 주의 어머니로 숭상할 근거는 전혀 없다.—누 11:27, 28.

예루살렘의 멸망이 가까웠고 그와 더불어 그 도시의 주민이 끔찍스럽게 살육을 당할 것이므로, 예수께서는 “보십시오! 사람들이 말하기를 ‘임신하지 못하는 여자와 출산하지 않은 태와 젖 먹여 보지 못한 가슴이 행복하다!’고 할 날이 오고 있[습니다]”라고 말씀하셨다.—누 23:29. 렘 16:1-4 비교.

히브리어 성경에서는 별개의 단어를 사용하여 사람의 가슴과 동물의 가슴을 구분한다. 사람과 동물은 가슴이 해부학적으로 다르다. 이스라엘 사람들이 바친 친교 희생에서, 희생 동물의 가슴(히브리어, 하제)은 제사장이 식품으로 사용할 몫이 되는 부분이었다.—레 7:29-35; 10:14, 15.

품 이 단어는 가슴의 용법과 매우 비슷한 방법으로 사용되기는 하지만, 가슴 자체보다는 긴옷 윗부분의 접히는 주름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품을 나타내는 히브리어는 헤크(왕첫 1:2), 호첸(느 5:13), 다드의 쌍수형(겔 23:3, 성경에는 ‘가슴’으로 번역됨)이고, 그리스어는 콜포스(요 13:23)이다. 매우 사랑하거나 소중히 여기는 사람은 품(히브리어, 헤크)에 꼭 안았다. 나오미는 룻이 낳은 아기인 오벳을 그렇게 안았는데, 그것은 오벳을 나오미의 사망한 남편 엘리멜렉의 법적 상속자로 인정하는 것이었다. (룻 4:16) 식사 때 기대앉는 관습에서, 어떤 사람의 품 앞에 있는 사람은 그 사람과 친밀한 사이였으며, 일반적으로 그의 호의를 누리는 입장에 있었다. (요 13:23) 예수께서는 잘 알려진 이 관습을 사용하여, 예 가운데서 나사로가 하느님의 호의를 의미하는 “아브라함의 품 자리”에 있는 것으로 표현하셨다. (누 16:22, 23) 사도 요한은 예수께서 “아버지의 품 자리에” 계신 분으로 묘사하여, 예수를 여호와의 친밀한 자 즉 그 누구보다도 더 온전하고 철저하게 하느님에 대해 설명해 줄 수 있는 유일한 인물로 표현하였다.—요 1:18. 품 자리 참조.

성서 시대에 이스라엘인들이 입은 옷은 가슴 부분이 상당히 넉넉하였다. 따라서 그 접히는 주름에 손이나 돈 등의 물건을 넣거나 심지어 아기나 어린양을 안고 다닐 수 있었다. (출 4:6, 7; 민 11:12; 삼둘 12:3) 여호와께서는 자신이 어린양들을 품에 안을 것이라고 말씀하시는데, 이것은 그들에 대한 하느님의 부드러운 사랑과 돌봄을 예시하는 표현이다. (사 40:11) 일부 번역판(「개역」; KJ; Ro; RS; AT)의 “품의 아내”라는 표현은, “너희 품에 안긴 아내”(「공동」, Kx), “당신의 소중한 아내”(「신세」)라고 번역할 때 더 분명한 의미가 전달된다. (신 13:6; 28:54) 품은 때때로 성 관계를 가리키는 경우도 있다.—창 16:5; 삼둘 12:8.

‘품에 갚아 주다’나 ‘삯을 헤아려서 품에 갚아 주다’라는 표현은, 옷의 주머니가 오늘날과는 달리 스커트나 의복의 아랫부분에 있지 않았다는 사실을 인식할 때 이해할 수 있다. (사 65:6, 7; 시 79:12; 렘 32:18) 그와 마찬가지로, ‘치욕을 품에 지니다’, ‘불을 품에 그러안다’, ‘품에서 꺼내는 뇌물을 받다’, “품 속의 뇌물”이라는 표현도 옷의 윗주름을 사용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시 89:50; 잠 6:27; 17:23; 21:14.

    한국어 워치 타워 출판물 (1958-2025)
    로그아웃
    로그인
    • 한국어
    • 공유
    • 설정
    • Copyright © 2025 Watch Tower Bible and Tract Society of Pennsylvania
    • 이용 약관
    • 개인 정보 보호 정책
    • 개인 정보 설정
    • JW.ORG
    • 로그인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