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호와는 “공의가 시행되도록 하”실 것이다파수대—2006 | 12월 15일
-
-
내가 여러분에게 말하는데, 그분은 그들에게 공의가 급속히 시행되게 하실 것입니다. 그렇지만 ‘사람의 아들’이 도착할 때에, 그가 참으로 땅에서 믿음을 볼 것입니까?”—누가 18:1-8.
“공의로운 판결을 받게 해 주십시오”
9. 과부와 재판관의 예에는 어떠한 주제가 분명히 드러나 있습니까?
9 이 생생한 예에는 중심 주제가 분명히 드러나 있습니다. 예에 등장하는 두 사람만이 아니라 예수께서도 그 주제를 언급하셨습니다. 과부는 “공의로운 판결을 받게 해 주십시오”라고 탄원하였습니다. 재판관은 “공의로운 판결을 받게 해 주어야겠다”라고 말했습니다. 예수께서는 “하느님께서 ··· 공의가 시행되도록 하시지 않겠습니까?”라고 질문하셨습니다. 또한 예수께서는 여호와에 대해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그분은 그들에게 공의가 급속히 시행되게 하실 것입니다.” (누가 18:3, 5, 7, 8) 하느님께서는 특히 언제 “공의가 급속히 시행되게 하실 것”입니까?
10. (ㄱ) 1세기에는 언제 공의가 시행되었습니까? (ㄴ) 오늘날 하느님의 종들을 위해서는 언제, 어떻게 공의가 시행될 것입니까?
10 1세기에 “공의를 시행하는 날”(즉 “복수의 날,” 왕국 행간역)은 예루살렘과 그 성전이 멸망된 때인 기원 70년에 도래하였습니다. (누가 21:22) 오늘날의 하느님의 백성을 위해서는 “여호와의 큰 날”에 공의가 시행될 것입니다. (스바냐 1:14; 마태 24:21) 그때 여호와께서는 자신의 백성에게 “환난을 가져오는 사람들에게는 환난으로 갚”으실 것이며, “이 일은 [예수 그리스도]께서 ··· 하느님을 모르는 사람들과 우리 주 예수에 관한 좋은 소식에 순종하지 않는 사람들에게 복수하실 때에 있을 것입니다.”—데살로니가 둘째 1:6-8; 로마 12:19.
11. 어떻게 공의가 “급속히” 시행될 것입니까?
11 그러면, 여호와께서 공의가 “급속히” 시행되게 하실 것이라는 예수의 말씀은 어떻게 이해해야 합니까? 하느님의 말씀은 “[여호와]께서 비록 ··· 오래 참으실지라도” 정해진 때가 되면 공의를 신속히 집행하실 것임을 밝혀 줍니다. (누가 18:7, 8; 베드로 둘째 3:9, 10) 노아 시대에도 홍수가 닥쳤을 때 악인들은 지체 없이 멸망되었습니다. 그와 마찬가지로 롯의 날에도 하늘에서 불이 비 오듯 내렸을 때 악인들은 소멸되었습니다. 예수께서는 “‘사람의 아들’이 나타나는 그 날에도 그와 같을 것”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누가 17:27-30) 악인들은 다시 한 번 “갑작스러운 멸망”을 당하게 될 것입니다. (데살로니가 첫째 5:2, 3) 실로, 여호와께서는 사탄의 세상이 공의에 의해 요구되는 것보다 단 하루라도 더 존속하는 것을 허락하지 않으실 것임을 우리는 전적으로 확신할 수 있습니다.
-
-
여호와는 “공의가 시행되도록 하”실 것이다파수대—2006 | 12월 15일
-
-
14. 하느님의 심판 날이 다가오고 있다는 사실에 대한 믿음을 상실하지 말아야 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14 그러므로, 하느님의 심판 날이 다가오고 있다는 사실에 대한 믿음을 상실하는 사람들은 심각한 잘못을 범하는 것입니다. 이유가 무엇입니까? “여호와의 큰 날”이 가까웠다는 확고한 믿음을 버리는 것은 사실상, 여호와가 약속을 충실하게 지키실 것이라고 신뢰할 수 있는가 하는 의문을 제기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그 누구도 하느님의 충실함에 정당하게 의문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욥 9:12) 오히려 우리가 마땅히 해 보아야 할 질문은 ‘나 자신은 충실함과 믿음을 유지할 것인가?’ 하는 것입니다. 예수께서는 과부와 재판관에 관한 예의 끝 부분에서 바로 그 문제를 제기하셨습니다.
‘그가 참으로 땅에서 이 믿음을 볼 것입니까?’
15. (ㄱ) 예수께서는 어떠한 질문을 하셨으며, 그렇게 하신 이유는 무엇입니까? (ㄴ) 우리는 어떠한 자문을 해 보아야 합니까?
15 예수께서는 이러한 흥미로운 질문을 하셨습니다. “‘사람의 아들’이 도착할 때에, 그가 참으로 땅에서 [이] 믿음을 볼 것입니까?” (누가 18:8, 영문 신세계역 참조주 성서 각주 참조) “이 믿음”이라는 표현은 예수께서 일반적인 의미의 믿음이 아니라 특별한 종류의 믿음 즉 그 과부가 가졌던 것과 같은 믿음에 대해 언급하신 것임을 지적합니다. 예수께서는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알려 주지 않으셨습니다. 그분은 제자들이 자신의 믿음의 질에 대해 생각해 보도록 이 질문을 하셨습니다. 그들은 믿음이 서서히 약해지면서 뒤에 두고 온 것들로 돌아갈 위험에 처해 있었습니까? 아니면 그 과부가 보여 준 것과 같은 믿음을 가지고 있었습니까? 그와 같이 오늘날 우리도 ‘“사람의 아들”은 내 마음속에서 어떠한 믿음을 보고 계시는가?’ 하고 자문해 보아야 합니다.
16. 그 과부는 어떠한 믿음을 가지고 있었습니까?
16 우리가 여호와의 공의로운 판결을 받을 사람들 가운데 포함되려면, 그 과부가 취한 행로를 따를 필요가 있습니다. 그 과부는 어떠한 믿음을 가지고 있었습니까? 그는 끈덕지게 “[재판관]에게 ··· 가서 ··· ‘공의로운 판결을 받게 해 주십시오’ 하고 말”함으로 믿음을 나타냈습니다. 그 과부는 불의한 사람에게서 공의로운 판결을 받기 위해 끈기를 나타냈습니다. 그와 마찬가지로, 오늘날 하느님의 종들은 예상했던 것보다 시간이 더 오래 걸린다 해도 여호와의 공의로운 판결을 받게 될 것임을 확신할 수 있습니다. 더 나아가, 그들은 끈기 있게 기도함으로, 다시 말해 ‘주야로 여호와께 부르짖음으로’ 하느님의 약속에 대한 확신을 나타냅니다. (누가 18:7) 사실, 어떤 그리스도인이 공의가 시행되게 해 달라는 기도를 중단한다면, 그는 여호와께서 자신의 종들을 위해 행동하실 것이라는 확신을 상실했음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17. 우리에게는 꾸준히 기도하고 여호와의 심판 날이 틀림없이 올 것이라는 믿음을 지켜야 할 어떤 이유들이 있습니까?
17 그 과부가 처한 특별한 상황을 고려해 보면, 우리가 꾸준히 기도해야 할 이유가 더 있음을 알게 됩니다. 그 과부의 상황과 우리의 상황 사이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생각해 보십시오. 그 과부는 격려해 주는 사람이 아무도 없었는데도 계속 재판관을 찾아갔지만, 하느님의 말씀에는 우리에게 “꾸준히 기도”할 것을 격려하는 내용이 많이 담겨 있습니다. (로마 12:12) 그 과부에게는 재판관이 자신의 청을 들어줄 것이라는 보증이 전혀 없었지만, 여호와께서는 우리에게 공의가 시행될 것이라고 보증하셨습니다. 여호와께서는 자신의 예언자를 통해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비록 더딜지라도 계속 기대하여라. 틀림없이 이루어질 것이기 때문이다. 늦어지지 않을 것이다.” (하박국 2:3; 시 97:10) 그 과부에게는 그를 위해 탄원함으로 청원에 힘을 실어 줄 돕는 이가 없었습니다. 하지만 우리에게는 크신 능력을 가지고 도와주시는 예수가 계시며, 그분은 “하느님의 오른편에 계시고 또한 우리를 위하여 탄원”하십니다. (로마 8:34; 히브리 7:25) 그러므로 그 과부가 그처럼 힘든 상황에서도 공의가 시행될 것이라는 희망을 가지고 계속 재판관에게 탄원했다면, 우리는 여호와의 심판 날이 틀림없이 올 것이라는 믿음을 얼마나 더 굳게 지켜야 하겠습니까!
18. 기도는 어떻게 믿음을 강화해 주며 공의로운 판결을 받는 데 도움이 됩니까?
18 과부에 관한 예는 기도와 믿음 사이에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과 끈기 있게 기도하면 믿음을 약화시킬 수 있는 영향력을 물리칠 수 있다는 것을 가르쳐 줍니다. 물론, 그저 겉으로 보이기 위한 기도를 한다고 해서 믿음의 상실을 피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마태 6:7, 8) 우리가 하느님께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다는 인식으로 인해 마음에서 우러나와 기도할 경우에만, 우리는 기도를 통해 하느님과 가까워지고 믿음이 강해지게 됩니다. 또한 구원을 받으려면 믿음이 있어야 하므로, 예수께서 제자들에게 “항상 기도하고 포기하지 말”라고 격려할 필요를 느끼신 것도 당연한 일입니다! (누가 18:1; 데살로니가 둘째 3:13) 물론, “여호와의 큰 날”이 오는 것은 우리의 기도에 달려 있지 않습니다. 우리가 그날을 위해 기도하든 기도하지 않든 그날은 올 것입니다. 하지만 우리 각자가 공의로운 판결을 받고 하느님의 전쟁에서 살아남을 것인지의 여부는 분명 우리의 믿음과 우리가 기도하는 가운데 추구하는 행로에 달려 있습니다.
19. 우리는 하느님께서 “공의가 시행되도록 하”실 것이라고 굳게 믿고 있음을 어떻게 증명합니까?
19 “‘사람의 아들’이 도착할 때에, 그가 참으로 땅에서 [이] 믿음을 볼 것입니까?”라는 예수의 질문을 다시 한 번 생각해 보십시오. 이 흥미로운 질문에 무엇이라고 대답할 수 있습니까? 오늘날 세계 전역에서 수백만 명에 달하는 여호와의 충실한 종들이 기도와 참을성과 꾸준함을 통해 이 믿음을 가지고 있음을 증명하고 있기에 우리는 참으로 행복합니다! 따라서 우리는 예수의 질문에 ‘그렇다’고 대답할 수 있습니다. 현재 우리가 사탄의 세상에서 불공정한 일을 당하고 있기는 하지만, 우리는 하느님께서 자신의 “택함받은 자들을 위해서 ··· 공의가 시행되도록 하”실 것임을 굳게 믿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