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한국어
  • 성경
  • 출판물
  • 집회
  • 통-1 “구리 뱀”
  • 구리 뱀

관련 동영상이 없습니다.

죄송합니다. 동영상을 불러오지 못했습니다.

  • 구리 뱀
  • 성경 통찰, 제1권
  • 비슷한 자료
  • 독자로부터의 질문
    파수대—여호와의 왕국 선포 2007
  • 독자로부터의 질문
    파수대—여호와의 왕국 선포 1964
  • 뱀
    성경 통찰, 제1권
  • “산에서 구리를 캐낼 수 있는 땅”
    파수대—여호와의 왕국 선포 2013
더 보기
성경 통찰, 제1권
통-1 “구리 뱀”

구리 뱀

(copper serpent)

이스라엘이 광야를 방랑하던 때에 모세가 구리로 만든 뱀 모양의 상 또는 표상. 에돔 경계 근처에서 백성들은 반역적인 영을 나타내어, 기적에 의해 마련되던 만나와 물 공급에 대해 불평하였다. 그래서 여호와께서는 그들 가운데로 독사를 보내심으로 그들을 처벌하셨으며, 많은 사람이 뱀에 물려 죽었다. 백성이 회개를 나타내고 모세가 그들을 위하여 중재하자, 여호와께서는 그에게 뱀 모양의 상을 만들어 깃대 위에 달아 놓으라고 말씀하셨다. 모세가 그 말씀대로 하자, “뱀이 사람을 물었을 때에, 물린 사람이 그 구리 뱀을 바라보면 살게 되었다.”—민 21:4-9; 고첫 10:9.

성경에서는 여호와께서 어떤 종류의 독사를 백성들 가운데로 보내셨는지 알려 주지 않는다. 민수기 21:6에 나오는 “독사”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표현(한네하심 핫세라핌)은 “불뱀”을 의미할 수 있는데, 어쩌면 이것은 뱀의 독이 지닌 타는 듯한 느낌이나 염증을 일으키는 작용에서 나온 표현일지도 모른다.

이스라엘 사람들은 구리 뱀을 보관하였는데, 후에 부적절하게도 그것에 희생의 연기를 올리고 그것을 숭배하기 시작하였다. 그리하여 유다 왕 히스기야(기원전 745-717년)는 그의 종교 개혁의 일환으로 700년 이상 있어 온 구리 뱀을 산산이 부서뜨렸다. 백성이 그것을 우상으로 사용하였기 때문이었다. 히브리어 본문에 의하면, 열왕기 둘째 18:4의 기록은 문자적으로 “그(누군가)가 그것을 느후스단이라고 부르기 시작하였다”를 의미한다. 일부 번역판에서는 “느후스단”이란 단어를 번역하지 않은 채로 둔다. (「개역」; AT; Ro; RS) 쾰러와 바움가르트너 공편 사전에서는 히브리어 네후슈탄의 의미가 “구리 뱀” 또는 “구리 뱀 우상”이라는 의견을 내놓는다. (「구약 히브리어·아람어 사전」 Hebräisches und Aramäisches Lexikon zum Alten Testament, 라이덴, 1983년, 653면) 「신세계역」은 적절하게도 구리 뱀이 “구리 뱀 우상이라고 불렸다”로 번역한다.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구리 뱀과 관련하여 광야에서 있은 사건의 예언적 의미를 분명하게 밝히시면서, 니고데모에게 이렇게 말씀하셨다. “더욱이, 하늘에서 내려온 자, 곧 ‘사람의 아들’ 외에는 아무도 하늘로 올라간 적이 없습니다. 그리고 모세가 광야에서 뱀을 들어올린 것처럼 ‘사람의 아들’도 들어올려져야 합니다. 그것은 그를 믿는 사람마다 영원한 생명을 얻게 하려는 것입니다.” (요 3:13-15) 모세가 광야에서 깃대 위에 달아 놓은 구리 뱀처럼, 하느님의 아들도 기둥에 못 박혀서 또는 매달렸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의 눈에는 뱀과 같이 저주받은 입장에 있는 행악자와 죄인으로 보였다. (신 21:22, 23; 갈 3:13; 베첫 2:24) 광야에서 여호와께서 이스라엘 사람들 가운데로 보내신 독사에게 물린 사람은 분명 믿음을 가지고 구리 뱀을 바라보아야 하였을 것이다. 그와 마찬가지로, 그리스도를 통하여 영원한 생명을 얻으려면 그분에게 믿음을 나타내는 것이 필요하다.

    한국어 워치 타워 출판물 (1958-2025)
    로그아웃
    로그인
    • 한국어
    • 공유
    • 설정
    • Copyright © 2025 Watch Tower Bible and Tract Society of Pennsylvania
    • 이용 약관
    • 개인 정보 보호 정책
    • 개인 정보 설정
    • JW.ORG
    • 로그인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