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초지
(pasture grounds)
이스라엘에 산재한 48개의 레위 사람들의 도시 각각의 주변에 있던 농지. 특히 가축을 방목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 도시들 안에 있는 집은 팔 수 있었고 희년 규정의 적용을 받았지만, 이 땅은 결코 팔 수 없었다.—민 35:2-5; 레 25:32-34; 수 21:41, 42.
목초지의 면적은 “도시 성벽으로부터 밖으로 사방 천 큐빗[445미터]”이 되게 되었다. 하지만 다음 구절에서는 “도시 밖 동쪽으로 이천 큐빗”을, 그리고 사방으로 모두 그렇게 “측량해야 한다”고 부언하고 있다. (민 35:4, 5) 이 두 수치를 조화시키려고 여러 가지 안이 제시되었다. 일부 사람들은 그리스어 「칠십인역」이 앞 구절에 “천 큐빗”이 아니라 “이천 큐빗”으로 되어 있다는 것을 지적하였다. 하지만 히브리어 본문과 라틴어 「불가타」와 시리아어 「페시타」에는 “천 큐빗”으로 되어 있다. 유대교 주석가들은 처음 천 큐빗(민 35:4)은 개방되어 있었고 올리브 과수원과 가축을 위한 축사로 사용되었지만, 두 번째 수치의 땅(민 35:5)은 실제의 방목지 또는 목초지 그리고 밭과 포도원으로 사용되어서 각 방향으로 총 3000큐빗이 되었을 가능성이 있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하지만 이것은 성구에 표현되지 않은 생각으로 해석하는 것이기 때문에, 다른 설명이 더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일부 주석가들의 의견에 따르면, 이 수치들은 목초지가 도시 성벽 사면으로부터 동서남북으로 각각 1000큐빗을 측량하여 결정되었음을 의미한다. 각 방향으로 2000큐빗이라는 언급과 관련해서는, “도시 밖”이라는 표현은 이 2000큐빗이 도시의 성벽에서 바깥쪽으로 측량한 것이 아니라 목초지의 사면을 각각 측량할 때 그 한 변의 길이를 측량한 수치를 의미한다고 그들은 생각한다. 그렇다면 이것은 ‘가운데 있는 도시’가 차지하는 공간이, 측량한 2000큐빗 가운데 산입되지 않는다는 의미일 것이다. 아래의 도해에 나와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견해에 의하면 두 가지의 수치를 조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2800큐빗 − 800큐빗[도시의 크기] = 2000큐빗
에스겔의 성전 환상에서는 신성한 곳의 ‘각 면에 목초지로’ 50큐빗이 있게 되어 있었다. (겔 45:2) 예언자 에스겔이 환상에서 본 “여호와께서 친히 거기에 계시다”라는 도시는 각 방향으로 250큐빗의 목초지가 있었다. (겔 48:16, 17, 35) 역대기 첫째 5:16에는 “샤론”과 관련하여 목초지가 언급되었는데, 샤론이 요르단 강 동쪽의 지역 또는 성읍이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다. 이상의 성구에서 “목초지”로 번역된 히브리어 단어는 에스겔 27:28에도 나오는데, 여기에서는 티레 즉 해안과 섬에 있던 도시와 관련하여 사용된다. 이 성구에서 이 단어는 “해안”(「공동」, Mo, JB), “지방”(RS), “벌판”(「신세」), “시골 지역”(Le)으로 번역되었으며, 따라서 이 예언은 티레 근처의 해안에 사는 사람들이 티레의 패망을 애도할 것임을 시사하는 것일 수 있다.
양 떼 또는 염소 떼는 많은 이스라엘 사람들의 생활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였으므로, 양과 염소가 풀을 뜯을 수 있는 목초지가 있어야만 하였다. (삼둘 7:8; 대첫 4:39-41) 가축 떼를 위한 목초지가 부족하면 고난을 당하게 되었다. (창 47:3, 4) 반면에 방목지가 많으면 풍요롭고 평화로운 때가 되는 데 도움이 되었다. (사 30:23; 시 65:12, 13; 23:2) 확대된 의미로, 버려진 목초지는 완전한 황폐를 나타냈지만(사 27:10), 목초지가 다시 사용된다는 것은 평화와 은혜의 회복을 암시하였다. (사 65:10; 렘 23:3; 33:12; 50:19; 미 2:12) 양들이 사랑 많은 목자에 의해서 안전하고 배부르게 먹을 수 있는 목초지로 인도되는 것처럼, 하느님의 백성은 여호와의 인도와 돌봄을 받는다.—시 79:13; 95:7; 100:3; 겔 34: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