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한국어
  • 성경
  • 출판물
  • 집회
  • 깨95 8/15 10-11면
  • 간음—용서해야 하는가, 용서하지 말아야 하는가?

관련 동영상이 없습니다.

죄송합니다. 동영상을 불러오지 못했습니다.

  • 간음—용서해야 하는가, 용서하지 말아야 하는가?
  • 깨어라!—1995
  • 소제목
  • 비슷한 자료
  • 언제나 용서해야 하는가?
  • 용서—죄의 결과에 대해서는 어떠한가?
  • 용서와 이혼
  • 평화를 위한 별거와 이혼
    파수대—여호와의 왕국 선포 1961
  • 독자의 질문
    파수대—여호와의 왕국 선포 (연구용)—2022
  • 독자로부터의 질문
    파수대—여호와의 왕국 선포 2000
  • 여호와께서 용서하시는 것처럼 용서하는가?
    파수대—여호와의 왕국 선포 1994
더 보기
깨어라!—1995
깨95 8/15 10-11면

성서의 견해

간음—용서해야 하는가, 용서하지 말아야 하는가?

“누군가에게 무엇이든 원망할 일이 있거든 용서하십시오. 그리하면 하늘에 계신 여러분의 아버지께서도 여러분의 범죄를 용서해 주실 것입니다.” (마가 11:25) 간음으로 결혼 생활에 혼란이 초래될 경우, 위와 같은 예수의 말씀은 다소 도전이 되는 질문들을 제기한다. 무고한 그리스도인 여자는 남편을 용서하고 결혼 생활을 그대로 유지해야 하는가?a 무고한 배우자가 이혼하기로 결정한다면, 그는 하느님과의 관계를 위태롭게 하는 것인가? 이러한 질문들에 대한 답을 얻는 데 성서가 어떤 도움을 주는지 살펴보기로 하자.

언제나 용서해야 하는가?

“누군가에게 무엇이든 원망할 일이 있거든 용서하”라는 예수의 말씀은, 그리스도인이 모든 경우에—배우자가 간음을 범한 경우에도—용서해야 할 의무가 있다는 의미인가? 예수의 말씀을 이해하려면, 그분이 다른 경우에 용서에 대하여 설명하신 내용을 고려해 보아야 한다.

예를 들어, 우리는 누가 17:3, 4에 기록되어 있는 다음과 같은 예수의 말씀으로부터 용서에 대한 중요한 원칙을 배우게 된다. “당신의 형제가 죄를 짓거든 꾸짖고, 회개하거든 용서하십시오. 심지어 하루 일곱 번 당신에게 죄를 짓고 일곱 번 당신에게 돌아와 ‘내가 회개합니다’ 하고 말하더라도, 그를 용서해 주어야 합니다.” 분명히 심각한 죄일 경우에도, 피해자는 상대방이 진정으로 회개한다면 용서하려고 노력하라는 권고를 받는다. 여호와께서 친히 이러한 견해를 가지고 계시므로, 우리가 하느님의 용서를 받으려면 진정으로 회개하지 않으면 안 된다.—누가 3:3; 사도 2:38; 8:22.

그런데 이러한 사실은 또한, 간음을 범한 배우자가 자기의 죄에 대한 책임을 받아들이려 하지 않으면서 회개하지 않을 경우, 무고한 배우자가 그를 용서하지 않기로 결정하더라도 이해할 만한 일임을 보여 준다.—비교 요한 첫째 1:8, 9.

용서—죄의 결과에 대해서는 어떠한가?

그렇지만 간음을 범한 사람이 회개하는 경우에는 어떠한가? 회개한다면, 그를 용서할 근거가 있다. 그러나 그릇된 일을 행한 사람이 용서받는다고 해서, 그것이 그가 자기의 그릇된 행로의 모든 결과로부터 면제된다는 의미인가? 여호와께서 용서하신 일에 관한 몇 가지 예를 고려해 보자.

이스라엘 백성이, 가나안 땅에 대하여 나쁜 보고를 한 열 명의 정탐꾼의 말을 듣고 반역하였을 때, 모세는 여호와께 이렇게 간청하였다. “구하옵나니 ·⁠·⁠· 이 백성의 죄악을 사하[옵소서].” 여호와께서는 이렇게 응답하셨다. “내가 네 말대로 사하노라.” 이 말씀은 범죄자들이 자기들의 행동의 어떠한 결과로부터도 면제된다는 의미였는가? 여호와께서는 계속 이렇게 말씀하셨다. “그러나 ·⁠·⁠· 내 목소리를 청종치 아니한 그 사람들은 내가 그 조상들에게 맹세한 땅을 결단코 보지 못할 것이[라].” (민수 14:19-23) 여호와께서는 자신의 말씀을 이행하셨으며, 나이 든 사람들의 세대는—여호수아와 갈렙을 제외하고—약속의 땅을 보지 못하였다.—민수 26:64, 65.

그와 비슷하게, 예언자 나단이 밧세바와 저지른 죄에 대하여 다윗 왕을 꾸짖었을 때, 회개한 다윗은 “내가 여호와께 죄를 범하였노라” 하고 인정하였다. 그러자 나단은 다윗에게 이렇게 말하였다. “여호와께서도 당신의 죄를 사하셨나[이다].” (사무엘 하 12:13) 그렇지만 여호와께서 다윗을 용서하셨음에도 불구하고, 다윗은 남은 생애 동안 자기의 죄에 대한 결과로 고통을 당하였다.—사무엘 하 12:9-14; 또한 사무엘 하 24장 참조.

하느님께서 용서하신 일에 관한 이러한 예들은 중요한 교훈을 강조한다. 즉 죄를 지었다면 벌을 면할 수 없다. (갈라디아 6:7, 8) 회개한 범죄자가 용서를 받는다고 해서, 반드시 자기의 그릇된 행로의 결과를 면하는 것은 아니다. 이 말은 무고한 배우자가 적어도 심한 분노를 떨쳐 버린다는 의미에서 간음한 배우자를 용서하더라도, 그와 이혼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는 의미인가?

용서와 이혼

예수께서는, 봉사의 직무 중에 이혼에 대하여 세 번 말씀하셨다. (마태 5:32; 19:3-9; 누가 16:18) 흥미롭게도, 예수께서는 이러한 논의 가운데 한 번도 용서에 대하여 언급하시지 않았다. 예를 들어, 마태 19:9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그분은 이렇게 말씀하셨다. “누구든지 음행의 근거 외에 자기 아내와 이혼하고 다른 여자와 결혼하는 사람은 간음하는 것입니다.” 예수께서는 “음행의 근거 외에”라고 말씀하심으로, 배우자가 성적 부도덕을 저지를 경우 무고한 배우자는 이혼할 수 있는 권리 또는 성경적인 “근거”를 갖게 된다는 점을 인정하셨다. 그러나 예수께서는 무고한 배우자가 반드시 이혼해야 한다고 말씀하시지 않았다. 그렇지만 그분은 무고한 배우자가 이혼할 수 있음을 분명히 시사하셨다.

결혼은 두 사람을 함께 묶는 띠이다. (로마 7:2) 그러나 두 사람 가운데 한 사람이 불충실할 경우, 이 띠는 끊어질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무고한 배우자는 실제로 두 가지 결정을 내려야 한다. 먼저, 간음한 배우자를 용서해야 하는가? 살펴본 것처럼, 이 문제에 있어서 한 가지 중요한 요인은 간음한 배우자가 진정으로 회개하였는지의 여부이다. 그가 회개하였을 경우, 무고한 배우자는 시간이 지나면 적어도 분노를 떨쳐 버린다는 의미에서 용서할 수 있다.

두 번째로 내려야 하는 결정은 이것이다. 무고한 배우자는 이혼을 해야 하는가? 간음한 배우자를 이미 용서하였다면 이 질문을 거론하는 이유는 무엇인가?b 아내가 자기와 자녀들의 안전에 대하여 염려할 만한 근거가 있는 경우라면, 특히 남편으로부터 과거에 학대를 받은 경우라면 어떠한가? 혹은 성 매개 질환에 감염되는 것이 염려된다면 어떠한가? 혹은 아내가 남편의 배신 때문에 부부 관계 내에서 더 이상 남편을 신뢰할 수 없다고 심각하게 느끼는 경우라면 어떠한가? 그러한 경우에 무고한 배우자가 잘못을 저지른 남편을 용서(분노를 떨쳐 버린다는 의미에서)하면서도 그와 계속 살고 싶지 않기 때문에 이혼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는 것은 충분히 상상할 수 있는 일이다. 분노를 떨쳐 버리는 것은 아내가 자기의 생활을 계속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그것은 또한, 간음한 사람을 나중에 어쩔 수 없이 대해야 할 경우 더 정중해지도록 도와 줄 것이다.

불충실한 배우자와 이혼할 것인지의 여부는, 무고한 배우자가 관련된 모든 요소를 기도하는 마음으로 주의 깊이 숙고한 후에 내려야 할 개인적인 결정이다. (시 55:22) 다른 사람들은 무고한 배우자가 이렇게 또는 저렇게 결정하도록 지시하거나 압력을 가할 권리가 없다. (비교 갈라디아 6:5) 예수께서는 무고한 배우자가 어떻게 해야 한다고 말씀하시지 않았음을 기억하기 바란다. 그러므로 분명히, 여호와께서는 적절한 성경적 근거에 따라 이혼하기로 결정하는 사람들을 불쾌하게 여기시지 않는다.

[각주]

a 본 기사에서는 무고한 배우자를 “여자”로 묘사하지만, 논의되는 원칙은 무고한 배우자가 그리스도인 남자일 경우에도 똑같이 적용된다.

b 무고한 배우자는 다시 남편과 성관계를 갖기 시작함으로, 잘못을 저지른 남편과 화해하기로 결정하였다는 사실을 나타내게 된다. 그렇게 하였다면 그는 이혼에 대한 어떠한 성경적인 근거도 무효화한 것이 된다.

[10면 사진 자료 제공]

Life

    한국어 워치 타워 출판물 (1958-2025)
    로그아웃
    로그인
    • 한국어
    • 공유
    • 설정
    • Copyright © 2025 Watch Tower Bible and Tract Society of Pennsylvania
    • 이용 약관
    • 개인 정보 보호 정책
    • 개인 정보 설정
    • JW.ORG
    • 로그인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