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한국어
  • 성경
  • 출판물
  • 집회
  • 웹성대 기사 67
  • 핼러윈은 어디에서 유래했습니까?

관련 동영상이 없습니다.

죄송합니다. 동영상을 불러오지 못했습니다.

  • 핼러윈은 어디에서 유래했습니까?
  • 성경 질문과 대답
  • 소제목
  • 비슷한 자료
  • 성경의 대답
  • 핼러윈의 역사와 관습
  • 핼러윈이 이교에서 유래했다는 사실이 중요합니까?
  • 핼러윈 데이—무슨 날인가?
    깨어라!—2013
  • 인기 있는 축일들에 관한 진실
    깨어라!—2001
  • 인기 있는 축일들—아무런 해 없이 즐길 수 있는가?
    깨어라!—2001
  • “우린 핼러윈을 안 지킬래요!”
    깨어라!—2004
더 보기
성경 질문과 대답
웹성대 기사 67
핼러윈 복장을 한 세 명의 아이들이 핼러윈 장식이 되어 있는 집의 문 앞에 서 있는 모습

핼러윈은 어디에서 유래했습니까?

성경의 대답

핼러윈은 매년 10월 31일에 많은 사람들이 지키는 축일입니다. 성경에서는 핼러윈에 대해 언급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핼러윈의 유래와 관습은 성경의 가르침에 어긋납니다.

이 기사에서는 다음 내용을 살펴볼 것입니다.

  • 핼러윈의 역사와 관습

  • 핼러윈이 이교에서 유래했다는 사실이 중요합니까?

  • 핼러윈이라는 이름의 유래

핼러윈의 역사와 관습

  • 삼하인: 「월드 북 백과사전」(The World Book Encyclopedia)에서는 핼러윈이 “2000여 년 전에 켈트족이 지켰던 고대 이교 축제”인 삼하인에서 유래했다고 알려 줍니다. 그 백과사전은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 “켈트족은 이 축제 때 죽은 사람들이 산 사람들 사이를 걸어 다닐 수 있다고 믿었다. 삼하인 축제 중에는 산 사람이 죽은 사람을 만나 시간을 보낼 수 있다고 여겼다.”—“핼러윈이라는 이름의 유래” 참조.

  • 핼러윈 복장, 사탕, ‘선물 안 주면 괴롭히기’: 한 참고 문헌에 따르면, 일부 켈트족 사람들은 배회하는 유령이 “그들을 자신과 같은 부류로 착각”하도록 악령 복장을 했습니다. 그러면 유령이 자신들을 괴롭히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또 어떤 사람들은 유령을 달래기 위해 달콤한 음식을 바치기도 했습니다. (「핼러윈—미국의 축일, 미국의 역사」[Halloween—An American Holiday, An American History])

    호박 모양을 한 주황색 바구니가 옆으로 눕혀져 있고 그 안에 있던 여러 가지 사탕이 탁자 위에 쏟아져 있는 모습

    중세 유럽의 가톨릭 사제들은 그 지역의 이교 관습을 받아들여 신도들이 축제 의상을 입고 집집을 다니면서 작은 선물을 요구하게 했습니다.

  • 유령, 뱀파이어, 늑대 인간, 마녀, 좀비: 이런 존재들은 오랫동안 악령의 세계와 연관이 있다고 여겨져 왔습니다. 핼러윈에 관한 한 책(Halloween Trivia)에서는 이러한 존재들을 “초자연적인 괴물들”이라고 부르면서, 그런 존재들이 “죽음, 죽은 자들, 죽음에 대한 공포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설명합니다.

  • 핼러윈 호박, 호박등: 중세 영국에서는 사람들이 “집집을 다니면서 죽은 자들을 위해 기도해 주는 대가로 음식을 요구”했습니다. 그들은 “속을 파낸 순무로 만든 등을 가지고 다녔는데, 그 안에서 타고 있는 촛불은 연옥에 갇힌 영혼을 상징”했습니다. (「핼러윈—이교 의식이 한밤의 파티가 되기까지」[Halloween—From Pagan Ritual to Party Night]) 어떤 참고 문헌에서는 악령을 쫓아내기 위해 그 등을 사용했다고 설명합니다. 1800년대에 북아메리카에서는 순무 대신 호박으로 등을 만들었습니다. 호박이 순무보다 흔했고 안을 파내어 조각하기도 쉬웠기 때문입니다.

핼러윈이 이교에서 유래했다는 사실이 중요합니까?

그렇습니다. 일부 사람들은 핼러윈을 그저 즐겁게 노는 날 정도로 생각하지만, 핼러윈 관습은 성경의 가르침에 완전히 어긋납니다. 핼러윈은 죽은 자들과 보이지 않는 영 즉 악귀들에 관한 거짓 신앙에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다음 성구들을 통해 하느님께서 핼러윈에 관련된 신앙을 어떻게 여기시는지 알아보십시오.

  • “너희에게는 ··· 혼령이나 혼백을 불러 물어보는 자와 죽은 자들에게 문의하는 자가 있어서는 안 된다.”—신명기 18:10-12, 성경[가톨릭판].

    의미: 하느님께서는 죽은 자들과 접촉하려고 시도하거나 그러한 행동을 단지 흉내 내는 것도 싫어하십니다.

  • “죽은 자는 아무것도 모른다.”—전도서 9:5.

    의미: 죽은 자는 아무 의식이 없기 때문에 살아 있는 사람과 소통할 수 없습니다.

  • “귀신들과 교제하는 사람들이 되[지 마십시오]. 여러분은 주의 잔과 귀신의 잔을 동시에 마실 수 없[습니다].”—고린도 전서 10:20, 21, 우리말성경.

    의미: 하느님의 은혜를 받으려면 악귀들과 어떤 관련도 맺어서는 안 됩니다.

  • “마귀의 교활한 행위에 맞서 굳게 서십시오. … 우리는 … 악한 영의 세력들을 상대로 싸우고 있기 때문입니다.”—에베소서 6:11, 12.

    의미: 그리스도인들은 악한 영의 세력들과 축제를 즐기는 흉내를 내는 것이 아니라 그들을 대적해야 합니다.

핼러윈이라는 이름의 유래

핼러윈이라는 이름은 이교 켈트족 축제인 삼하인과 관련이 있습니다. 「월드 북 백과사전」(The World Book Encyclopedia)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 “삼하인은 … 여름의 끝을 의미한다. 이 축제는 어두운 겨울이 시작되었음을 알렸고, 11월 1일경에 열렸다. 기원 700년대에서 800년대에 기독교는 이 날짜에 모든 성인의 날 즉 만성절(All Saints’ Day)이라는 새로운 축일을 제정했다. 만성절의 또 다른 이름은 올핼러우스(All Hallows’)인데, 핼러우는 성인 또는 거룩한 자라는 의미이다. 올핼러우스의 전야제를 올핼러우스이브(All Hallows’ Eve)라고 불렀고, 이것을 줄여서 올핼러윈(All Hallow e’en)이라고 했다. 이 이름이 더 줄어들어 핼러윈이 되었다.”

    한국어 워치 타워 출판물 (1958-2025)
    로그아웃
    로그인
    • 한국어
    • 공유
    • 설정
    • Copyright © 2025 Watch Tower Bible and Tract Society of Pennsylvania
    • 이용 약관
    • 개인 정보 보호 정책
    • 개인 정보 설정
    • JW.ORG
    • 로그인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