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은 성귀를 찾기가 어려운가?
당신은 찾고 싶은 성귀를 찾을 수 없어서 얼마간 낭패를 당해 본 적이 있는가? 아마도 당신은 다른 사람과 성서 토론을 할 때나 혹은 개인 성서 연구를 할 때, 그와 같은 경험을 해 보았을 것이다. 우리는 성귀를 찾고 기억하는 능력을 발전시킬 수 있다.
당신의 성귀를 잘 찾을 수 있는 능력은 많은 축복을 가져올 것이다. 예를 들면 어떤 문제를 직면했을 때나 지식이 필요할 때 그것은 당신에게도 도움이 될 것이다. 그것은 또한 다른 사람이 당신에게 와서 어떤 문제에 대한 하나님의 견해를 알고자 할 때 당신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 물론 그리스도인들은 다른 사람들을 가르치기 위하여 성서를 찾아 사용하는 점에서 훌륭한 본을 세우신 예수 그리스도를 바라본다. 예수께서 ‘사단’ 마귀로부터 유혹을 받으실 때, 그 분은 “기록되었으되” 하고 말씀하시면서 적절한 성귀를 세 번이나 사용하셨다.—마태 4:1-11.
성귀를 찾는데 무엇이 당신에게 도움이 될 것인가? 여러 가지가 있다.
전체적인 윤곽을 얻기 위해 성서를 읽으라
우선 당신이 할 수 있는 일 한 가지는, 만일 당신이 성서 전체를 아직 읽어 보지 않았다면, 그 내용의 전체 윤곽을 얻기 위하여 처음부터 끝까지 성서를 읽는 것이다. 이것은 시간을 요하지만 만일 당신이 꾸준히 그렇게 하면 점차적으로 성서 내용에 익숙해 질 것이다.
처음으로 당신이 성서를 읽을 때 당신은 성서 전체를 다 이해하지는 못할 것이다. 그러나 성귀들을 찾거나 기억하기 위한 기초 작업을 하는 것이다.
성서를 읽어 나가면서 당신은 기억해 두고 싶은 어떤 성귀를 읽게 될 것이다. 기억하도록 노력하라. 물론 기억력을 총동원할 것이다. 어떤 사람은 다른 사람에 비하여 더 건강한 몸을 가지고 있듯이, 어떤 사람은 더 좋은 기억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어떤 사람이 자기의 기억력을 발전시킬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만일 그가 하려고만 한다면 자기의 기억력을 발전시킬 수 있다.
성서의 구분을 이해함
당신이 할 수 있는 또 다른 것이 있는데 즉 성서 66권의 구분을 익히는 것이다. 「‘히브리’어 성경」을 보면 자연적으로 세 가지 구분이 있음을 알게 된다. 즉 (1) 역사서(歷史書), (2) 시서(詩書), (3) 예언서(豫言書)이다. 이들은 물론 일반적인 구분에 불과하다.
역사 부분은 「창세기」에서 「에스더」까지 17권이다. 시서는 기억하기가 쉬운 데 순서적으로 다음의 다섯 가지 즉 「욥기」, 「시편」, 「잠언」, 「전도서」 및 「아가」이다. 예언 부분은 네개의 큰 책 즉 「이사야」, 「예레미야」(또한 「예레미야 애가」), 「에스겔」 및 「다니엘」이 포함된다. 이 대예언책 다음에 「호세아」에서 「말라기」까지 12개의 보다 짧은 예언서들이 들어 있다.
「그리스도인 희랍어 성경」도 또한 세개의 주요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1) 역사서, (2) 서한(書翰), (3) 계시록이다. 역사 부분에는 네 개의 복음서와 「사도행전」이 포함된다. 서한에는 일부 사도들과 제자들이 쓴 21개의 편지가 들어 있다. 마지막으로 ‘요한’이 받은 「계시록」이다.
이와 같은 구분을 이해하는 것은 당신이 성귀를 찾고자 할 때 당신에게 매우 유익하다. 만일 당신이 그 성귀가 어느 부분에 들어 있는지 기억할 수 있다면, 당신이 찾아보는 범위가 더 좁아질 것이고 시간을 절약할 수 있을 것이다.
성서를 찾아보는 연습
성귀들을 빨리 찾는 것을 익히는데 연습은 매우 중요하다. 필요한 연습을 하는데 무엇이 당신에게 도움이 될 것인가?
당신이 성서 강연을 들을 때 당신의 성서를 가지고 연사를 따라 연습해 보라. 당신이 더욱 자주 주요 성귀들을 찾아 보면 볼수록 당신에게 성서나 특정 성귀들을 찾아 보는 것은 더욱 쉬워질 것이다.
주요 성귀에 표하라
성귀들을 찾는데 또 다른 도움이 되는 것은 어떤 성귀에 표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만일 당신이 성서를 읽고 있는데 당신을 기쁘게 하고, 또 언젠가 다시 찾아 보기를 원할 것이라고 생각되는 성귀를 읽게 되었다면, 그 성귀에 표를 해 두는 것은 좋을 것이다. 비슷한 경우로 만일 어떤 사람이 당신이 장차 어떤 경우에 필요하다고 느끼는 성귀를 지적하였다면, 즉시 잠간 멈추어 그것에 표하라.
물론 어떤 사람이 자기의 성서에 아무렇게나 표시를 한다면 그가 그 성귀를 보여 주고자하는 사람에게 마치 자기는 그 성귀에 동의하지 않는양, 지워버린 것처럼 보이게 하기 쉽다. 그것은 좋지 않은 인상을 남겨 주게 될 것이다. 단단한 ‘카드’나 어떤 편리한 것을 사용해서 줄을 치는 것이 좋을 것이다. 그렇게 하면 줄치고자 한 부분 옆에 곧은 선을 그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만일 성귀 전체에 다 줄을 쳐 놓지 않는다면 그것 또한 언젠가 그 성귀를 빨리 찾으려 할 때 당신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 만일 당신이 장차 어떤 경우에 그 성귀를 찾아보게 될 이유가 있어서, 그 점을 두드러지게 하는 단어나 문귀에만 줄을 쳐 놓는다면, 당신은 그것이 당신이 찾고자 한 성귀인가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시 읽어보지 않아도 좋을 것이다. 그 주요 부분은 즉시 눈에 띌 것이다.
더 나아가 만일 당신이 어떤 사람에게 그가 관심을 가지고 있을 제목으로서 당신이 언제라도 즉시 이야기 할 수 있게 되기를 원하는 어떤 제목이 있다면, 아마도 당신은 특히 연관된 성귀 두 세개를 선택해 놓는 것이 유익할 것이다. 당신은 그들에게 읽어 주려하는 순서를 결정해 놓으라. 그런 다음 당신이 성서 표지 안쪽에 이 제목들을 써 놓고, 그 옆에다 연쇄 성귀들의 처음 성귀의 위치를 간단히 기입해 놓으라. 이것은 당신으로 그 성귀들이 다시 필요할 때 토론을 계속하기 쉽게 하여 줄 것이다. 연쇄적인 첫 성귀 위에다 다음에 연결되는 다음 성귀의 소재를 단정히 기입해 놓을 수 있고, 두번째 성귀 위에다 세번째 성귀의 소재를 기입하는 식으로 해 놓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 성귀 연쇄를 너무 길게 하지 않는 것이 좋다. 몇 개의 잘 선택된 성귀들은 보통 훌륭한 역할을 한다. 처음에는 다른 사람들에게 이야기하기 제일 좋아하는 네 다섯 가지 제목의 이와 같은 연쇄 귀절을 만들기를 원할 것이다. 그 다음 시간이 감에 따라 필요에 의해서 당신은 특히 그러한 것을 요구하는 사람들을 위하여 다른 제목과 관련된 재료들을 조사하게 될 것이다. 그렇게 해서 당신은 더 많은 재료들을 모으게 될 것이고, 때가 경과함에 따라 당신의 목록은 증가하게 될 것이다.
장(章)을 기억하는 데 집중하라
만일 당신이 주요 성서 귀절들을 기억하기 원한다면, 당신은 아마도 장을 기억하는데 집중하는 것이 도움이 되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만일 당신이 알아내기 쉽게 하기 위하여 절에 표시를 해 놓았다면, 당신은 그것을 빨리 찾을 것이다.
성서에는 1,189개의 장과 31,173개의 절이 있다는 것을 알 때, 당신은 그 모두를 기억하는 일이란 쉬운 일이 아님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많은 사람들은 그 주요 성귀들이 있는 장(章)을 암기하는데 주력하는 것이 최상책임을 알고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의 기억이란 한정된 것이므로 그들은 장들을 기억하는데 주력함으로써 그들이 쉽게 찾을 수 있는 성귀들의 수를 증가시킨다. 그러므로 그들은 일반적으로 귀절들을 암기하려고 노력하지 않는다. 왜냐 하면 그들이 장을 찾는다고 하면 그들이 찾고자 하는 귀절 특히 그것이 표가 되어 있다면 귀절을 찾는 문제는 보통 간단하기 때문이다.
도움이 되는 출판물들
만일 당신이 특별한 제목에 관련된 성귀를 찾으려고 한다면 464면으로 되어 있는 「‘모든 사물을 확인하고 훌륭한 것을 굳게 잡으라’」는 책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책의 주요 제목은 가나다 순으로 되어 있고, 성귀들은 논리적인 순서로 나열되어 있으며, 그 책 가운데 인용되어 있다.
비슷하게 도움이 되는 것은 「연설 골자」이다. 32면의 이 작은 책자는 세상에서 가장 흔히 듣는 성서 질문들에 대답하기 위하여 의도된 244개의 연설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므로 「연설 골자」는 성서 연구생들이 여러 가지 화제와 관련된 성귀들을 찾아 보는데 도움이 되는 보조물이다. 하지만 성귀들은 인용되어 있지 않고 단지 참조되어 있으며 당신이 성서로부터 찾아 보아야 한다. 한 예를 들면, 만일 당신이 하나님께서 정하신 때에 땅은 낙원으로 변형될 것이라는 것을 보여 주고 싶다면 단지 “땅”이라는 제목 아래를 보라. 거기에서 당신은 “땅에 대한 하나님의 목적”이라는 제목이 있고 부제로는 “천국에 의하여 낙원이 회복될 것임. . . . 마 6:9, 10; 사 65:21-23”이라고 되어 있는 것을 볼 것이다. 이와 같은 참조들은 모두 당신이 당장 알고자 하는 것일지 모르며, 만일 더 많은 자료가 필요하다면 당신은 바로 거기 같은 제목하에 열기되어 있는 것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흔히 성귀를 찾는데 사용되는 연구 보조서는 ‘컨커단스’이다. 이 보조물이 어떻게 성귀를 찾는데 사용되는지 그 정의는 이러하다. “가나다 순으로 되어 있는 용어 색인은 성귀 가운데 각 주요 단어의 소재를 밝히며, 각 소재 장소에 있는 직접적인 문맥이나 인접 단어들을 알려 준다.” 여러 가지의 방대한 ‘컨커단스’가 있는데, 아마도 당신이 가지고 있는 것은 자신의 성서(영문)의 뒷쪽에 붙어 있는 더 작은 것일지 모른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은 ‘컨커단스’를 사용하기 시작한 처음에는 그것을 사용하기가 매우 어렵다고 느낀다. 즉 그들이 찾고자 하는 성귀가 어디 있는지 곧 찾아내지를 못한다. 문제는 그들이 성귀 자체 내에 있는 실제 단어를 기억하려고 하는 대신 주제 단어를 생각하려하는데 있다. 물론 그들이 소규모 ‘컨커단스’를 사용하고 있을 때, 관련된 성귀를 모두 찾을 수는 없다. 그러므로 만일 당신이 한 성귀로부터 상기해 낸 여러 단어 중 한 단어 아래서 성귀를 찾지 못하였다면, 당신이 기억하는 다른 단어 즉 명사형, 동사형 등의 다른 단어를 찾아보는 것이 유익할 것이다.
당신은 주 기도문이 어디 있는지 기억을 해 보려고 한 일이 있는가? 만일 당신이 「신세계역 성경」(영문) 뒤에 있는 ‘컨커단스’를 보면, 예를 들어 당신은 “아버지(Father)”, “이름(Name)”, “거룩함(Sanctified)”, “왕국(Kingdom)” 및 “뜻(Will)”이라는 단어 밑에서 그 성귀를 찾아 보게 될 것이다.
그러나 ‘컨커단스’에서 성귀를 찾아보려고 하기 전에 그 성귀가 들어 있는 성서의 책을 기억해 내려고 해보라. 누가 그 말을 했는가? 하고 자문해 보면 당신이 그 책을 구명해 내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렇게 하는 것은 당신이 특히 방대한 ‘컨커단스’를 사용할 때 시간을 절약하게 할 것이다.
다른 사람들에게 하나님의 말씀을 가르치라
성귀를 찾는데 익숙해 지는 한 가지 가장 좋은 방법은 다른 사람을 가르치는데 당신의 성서를 사용하는 것이다. 성서 전체에 익숙해지는 것이 무엇보다도 가장 잘 기억하는 방법이다. 그러므로 당신이 당신의 성서를 자주 사용하면 할수록 성귀를 찾아보기가 더욱 쉬워질 것이다.
예를 들면 자녀들은 자기 부모에게 여러 가지 질문을 한다. 만일 부모가 자기 자녀와 함께 성경 가운데서 대답을 찾아 보고 성서로부터 그것을 직접 읽는 시간을 갖는다면 이것이야말로 젊은이들에게 하나님의 말씀에 대한 존경심을 점차적으로 갖도록 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그리고 부모들에게도 성귀를 찾는 능력을 발전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당신이 성서를 낭독하는 것은 당신의 친구들에게 평화스러운 새 질서에 대한 소망을 이야기 해 주려는 욕망을 갖도록 자극할 것이다. 그러한 때 당신의 성서를 사용하라.
당신이 하나님의 말씀에 익숙해 짐에 따라서 더욱 많은 즐거움을 얻게 될 것이고 다른 사람들이 성서의 가치를 인식하도록 돕기 위하여 성서를 사용하는데 숙달한 사람이 될 것이다. (히브리 5:14) 당신이 성귀를 신속히 찾을 수 있는 능력은 당신에게 더 많은 개인적 만족을 줄 것이며, 성서의 위대한 저자이신 여호와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게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