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의 첫 접근 방법을 달리 해야 하는가?
1 우리의 호별 방문의 일차적인 목적은 듣는 귀를 얻고자 하는 것이다. 자주 도는 구역에서 많은 전도인들은 동일한 구역을 방문할 때 자기들의 처음 접근 방법을 달리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게 된다. 물론 자신에게 효과적인 방법을 바꾸어야 할 이유는 없다. 그러나 만일 자신의 서론이 너무 구식이라면 처음 말을 시작하는 방식을 바꾸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2 어떻게 그렇게 할 수 있는가? 이렇게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저는 이러한 제목의 인쇄된 소식을 남겨드리고자 합니다. (집회 광고 쪽지 뒷면의 제목을 읽고 집주인에게 제공한다.)” 그 다음 자신의 성경 제공의 기초로 집회 광고 쪽지에서 특징을 이루는 화제를 이용한다. 특히 소식을 소개하기 위하여 이 쪽지를 흔히 사용해 오지 않은 구역에서는 이 방법이 집주인의 관심을 끌 것이다.
3 질문 또한 관심을 불러 일으킬 수 있다. “오늘날 생활의 질을 높이기 위해 어떤 일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또 이렇게 질문할 수도 있다. “만일 댁에서 인류가 당면하고 있는 문제 중 한가지만이라도 해결할 수 있다면, 어떤 일을 변화시키시겠읍니까?” 그 다음, 집주인의 생각에 부합되는 성귀를 사용하여 왕국으로 관심을 이끌라.
4 출판물에 나오는 그림과 함께 질문을 사용하는 것이 즉각적인 관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리」 책 4면에 나오는 그림을 가리키면서 이렇게 질문할 수 있다. “여기 그림에 나오는 사람처럼 댁에서도 평화스럽게 살고 싶지 않으십니까?”
5 우리의 접근 방법을 달리하는 데 있어서, 우리가 방문하는 시간도 고려할 수 있다. 하루 중이라면 방문하는 시간을, 주간이라면 방문하는 날을 달리해 봄으로써 좋은 소식을 별로 들을 기회가 없는 가족 성원들을 만나볼 수 있다. 그러한 사람들에게는 어떤 시간 또는 날이 더 편리하며 또 더욱 기꺼이 듣고자 한다는 것을 알게 될 수도 있다. 당신은 토요일 오후에 호별 방문 봉사나 부재자 방문 봉사를 하는 일을 생각해 본 일이 있는가? 또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집에 있으며, 정신적으로 느긋해져 있는 초저녁에 그러한 봉사를 해 보는 것은 어떠한가? 만일 우리가 계획을 얼마간 조절한다면, 아마 더 많은 양같은 사람들을 찾아낼 수 있을지 모른다.
6 우리가 더 많은 사람들과 대화를 시작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조절하는 것이 유익할 것인지, 그리고 조절을 하면 우리가 좋은 소식을 선포할 기회를 더 많이 얻게 될 것인지 알아볼 수 있도록 이따금 우리의 접근 방법을 분석해 보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