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한국어
  • 성경
  • 출판물
  • 집회
  • 성서로 주의를 이끎
    신권 전도 학교 지침서
    • 논할 때 계시록 21:3, 4을 사용할지 모른다. 예비적 논증과 더불어 이렇게 말할 수 있다. “이제 다음 성귀, 계시록 21:3, 4은 하나님의 장막이 우리와 함께 있을 때 고통과 사망이 더는 없다는 것을 알려 줍니다.” 성귀가 알려 줄 무엇인가를 남겨서 기대를 갖게 했을 뿐 아니라 이 성귀의 뜻있는 부분에 주의를 집중시켰다. 그리고 성귀를 읽은 후에 그 점을 쉽게 논증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성귀의 실제적 내용에 주의를 이끎으로 하나님의 말씀의 중요성을 강조하게 된다.

  • 성귀 낭독과 그 적용
    신권 전도 학교 지침서
    • 제25과

      성귀 낭독과 그 적용

      1-3. 연설을 할 때에, 어떻게 성귀를 읽어야 하는가?

      1 개인적으로나 혹은 연단에서 하나님의 목적에 관하여 다른 사람들에게 말할 때, 우리의 토론은 성서로부터 읽어 주는 성귀를 중심으로 한다. 그러므로 그런 성귀들을 실제로 읽을 때 잘 낭독해야 한다. 무미건조하게 낭독해서는 안 된다. 오히려 낭독이 그 목적을 달성하려면 그것은 제공에 부가적 고무제가 되어야 한다. 이런 이유로 연설 충고 용지는 유능한 전도인이 되기를 원하는 모두가 특별히 고려할 것으로 “강조를 사용한 성귀 낭독”을 다루고 있다.

      2 성귀는 감동적으로 낭독되어야 한다. 그러나 그것이 지나쳐서는 안 된다. 그 성귀에 주어져야 할 표현의 정도는 성귀 자체와 그것이 연설에서 차지하는 배경에 달렸다. 그것은 논증을 정점으로 가져와야지 낭독에 주의를 끌게 해서는 안 된다.

      3 더 나아가서 낭독은 논증을 지지하는 성귀 부분에 주의를 집중시켜야 한다. 낭독은 청중이 확신할 수 있도록 요점을 이해시켜야 한다. 그리하여 올바른 강조를 사용한 성귀 낭독은 확신을 돋우어 준다. 그러한 낭독은 권위가 있다.

      4, 5. “올바른 낱말의 강조”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예를 들어 설명하라.

      4 올바른 낱말의 강조. 성귀를 낭독하는 이유에 따라서 강조될 점이 결정되어야 한다. 만일 성귀에 표현된 모든 사상이 똑같이 강조된다면 아무 것도 뛰어나지 않게 될 것이며, 논점은 희미해지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주된 강조가 주어지는 낱말들이 사상을 전달하는 낱말들이며 그것을 위하여 성귀가 사용된다는 것을 확실히 해야 한다.

      5 예를 들어, 죄가 영원한 고통이 아니라 죽음으로 인도한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하여 에스겔 18:4을 사용한다면 이렇게 읽을 수 있다. “범죄하는 그 영혼이 죽으리라.” 고딕체의 낱말을 특별히 강조한다. 그러나 죽는 것이 단순히 몸이 아니라 실제 영혼이라는 것을 강조하고자 한다면, “범죄하는 그 영혼이 죽으리라”고 읽을 것이다. 어디를 강조할 것인가는 그 성귀를 읽는 이유에 의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6-12. 성귀의 사상 전달 단어를 어떻게 강조할 수 있는가?

      6 효과적인 방법으로 강조함. 뛰어나게 하고자 하는 사상 전달 단어는 여러 가지로 강조될 수 있으며 그 방법들은 성귀와 연설의 장면과 일치해야 한다.

      7 “강조를 사용한 성귀 낭독”이란 요소가 의도하는 바가 구두 강조의 모든 가능한 방법을 다 사용하라는 것은 아니다. 더 자세한 점은 뜻의 강조란 요소를 연구할 때 알게 될 것이다. 그러나 성귀를 효과적으로 읽는 능력을 얻도록 돕기 위하여 여기에 몇 가지 방법을 열거한다.

      8 목소리의 강조. 이것은 목소리의 모든 변화를 포함한다. 즉 음의 고저, 속도 및 힘의 변화이다. 그것은 사상 전달 단어를 문장의 나머지 부분보다 뛰어나게 만든다.

      9 멈춤. 이것은 성귀의 주요 부분 전이나 후에 혹은 전후 두 군데에서 할 수 있다. 주요 사상을 읽기 직전에 하는 멈춤은 기대를 일으키고, 그 후에 하는 멈춤은 받은 인상을 깊게 한다.

      10 반복. 읽다가 멈추고 낱말이나 구를 다시 읽음으로 특정한 점을 강조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신중하게 다루어야 한다.

      11 몸짓. 얼굴의 표현과 마찬가지로 몸의 움직임은 흔히 낱말이나 문귀를 강조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12 음조. 낭독에 있어서 때때로 음조는 낱말의 뜻에 변화를 주며 색다르게 만든다. 그러나 여기에서도 또한 신중하게 해야 하는 데 풍자를 사용할 때에는 특히 그러하다.

      13, 14. 집주인이 성귀를 읽을 때, 어떻게 그 주요점을 강조할 수 있는가?

      13 집주인이 낭독하는 성귀. 집주인이 성귀를 읽을 때 그가 잘못된

한국어 워치 타워 출판물 (1958-2025)
로그아웃
로그인
  • 한국어
  • 공유
  • 설정
  • Copyright © 2025 Watch Tower Bible and Tract Society of Pennsylvania
  • 이용 약관
  • 개인 정보 보호 정책
  • 개인 정보 설정
  • JW.ORG
  • 로그인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