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말뚝으로 받쳐진 도시깨어라!—1978 | 5월 22
-
-
집에 대한 수요가 증가했지. 17세기 초에 꽉찬 모래의 두꺼운 층이 도시의 진흙 밑 약 11‘미터’에서 발견됐어. 그 때부터 이 시 당국은 말뚝을 경토층에까지 박도록 요구했지.”
“그거 참 재미있네요, 할아버지. 하지만, 그런 긴 말뚝을 어떻게 땅에 박았지요?” 하고 ‘프랭크’가 말했다.
“오랫 동안 말뚝 박는 일을 손으로 했지. 처음에는, 간단한 나무 망치로 사용됐어. 후에, 말뚝박는 일은 양쪽에 손잡이가 달리고 두 사람이 들어 올리는 보다 무거운 망치 나무 토막으로 행해졌어. 다시 그 후에는, 망치 나무가 두개의 똑바른 ‘가이드 폴’ 사이로 오르내리도록 만들어졌지. 이 망치는 바퀴에 감긴 밧줄에 의해서 높이 올려졌어. 그 망치를 끌어 올리고 내리는 데는 힘센 사람이 여러 명 필요했지.”
“그렇게 많은 사람들이 서로 넘어지지 않고 어떻게 밧줄을 당길 수 있었나요?”
“좋은 질문이다. 좀더 가는 여러 개의 밧줄을 중심 밧줄에 매어서 각 사람이 각기 자기 밧줄을 당겼지. 물론, 그건 단조로운 작업이었어. 그 단조로움을 덜기 위해서 망치의 ‘리듬’에 맞춘 특별한 말뚝박는 노래를 불렀지. 감독이 노래를 부르면 인부들은 ‘리듬’을 맞추었어. ‘리듬’과 노래의 속도를 빨리 하기 위하여 독한 술이 제공됐지. 그러나 이 때문에 흔히 그릇된 행동과 난동이 유발됐고, 이것은 건축법에 위배되는 것이었어.
“수백년간 단지 나무 말뚝만이 사용됐지. 이 말뚝들은 단지 8 내지 12‘톤’만을 지탱할 수 있기 때문에, 상당한 크기의 건축물 밑에 많은 말뚝이 필요했어. 너는 며칠 전에 왕궁을 본 생각이 나지? 그건 13,659개의 나무 말뚝 위에 건축된거란다.”
“하지만, 할아버지, 그 나무 말뚝이 썩지 않나요? 새로운 말뚝으로 교체해야 되지 않나요?”
“얼핏 생각하면 그렇겠지만, 말뚝 꼭대기가 수위(水位) 밑으로 박아지면 그 말뚝은 수명이 수백년이 된단다.”
“지금도 나무 말뚝이 사용되나요?”
“비교적 작은 건물을 지을 때는 때때로 사용되고 있지. 하지만 보통은 철근 ‘콘크리이트’ 말뚝이 사용되고 있어. ‘콘크리이트’ 말뚝은 수위 밑으로 박을 필요도 없고 나무 말뚝보다 훨씬 더 무거운 것을 지탱할 수 있지. 이제 네가 말한 썩은 말뚝을 교체하는 문제를 생각해 보자. 교체용 말뚝은 1.2‘미터’ 정도되는 몇개의 부분으로 되어 있지. 이 부분말뚝의 속은 비어 있어서 하나의 부분말뚝이 다른 말뚝에 맞아서 하나의 완전한 말뚝이 되게 하지. 이러한 말뚝을 수력으로 땅속에 박거든. 부분말뚝이 박히면서 밑에 있는 흙이 빈 속으로 제거되지. 하나의 부분말뚝이 땅에 박히면, 다른 부분말뚝을 한번에 하나씩 박아서 마침내 경토층에 이르게 하지. 그 후에 빈 속을 ‘콘크리이트’로 채워서 부분으로 된 말뚝에 강도를 더하고 아래를 넓게 하여 더 나은 지구력을 갖게 하지. 이 방법은 또한 종래의 말뚝박는 방식으로는 손상을 줄 건축 지역에서 혹은 사람들이 말뚝박는 소리로 피해를 입을 병원이나 사무실 지대에서도 사용되고 있지.”
“할아버지, 자세히 알려 주셔서 고맙습니다. 집에 가면 ‘네델란드’에서 보낸 방학에 대해서 친구들에게 할 이야기가 많겠어요.”
-
-
장족의 발전인가?깨어라!—1978 | 5월 22
-
-
장족의 발전인가?
눈 화장은 최근에 생긴 것이 아니다. 고대 ‘이스라엘’의 왕후 ‘이세벨’은 ‘예후’와 대면하려고 할 때 “눈을 그리”었다. (열왕 하 9:30) 적어도 일부 ‘이스라엘’ 여인들은 다른 중동 지방에 사는 여인들처럼 눈을 그렸다. (예레미야 4:30; 에스겔 23:40) 성서가 충실한 ‘이스라엘’ 여인들과 관련해서는 전반적으로 눈을 그리는 것을 언급하지 않았다. 한편 ‘욥’의 한 딸의 이름은 ‘게렌합북’이었는데 “‘안티몬’의 뿔” 혹은 “눈 그리는 화장품의 뿔”을 의미한다.—욥 42:14.
‘수잔 셀리거’는 눈 화장품에 사용되는 방부제와 관련하여 「내셔널 옵저어버」지에서 다음과 같이 기술하였다. “고대 ‘애굽’인들까지도 방부제의 가치를 인정했다. 그들은 눈 화장에 항생 효과를 가진 청록색나는 구리로 된 두가지 물질을 사용했다고 한다.” 그 다음에 그는 다음과 같이 비꼬았다. “우리가 장족의 발전을 했다고 할 자가 누구인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