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과
성서를 사용하여 대답하기
우리의 신앙, 생활 방식, 최근 사건들에 대한 견해, 미래에 대한 희망 등에 대해 질문을 받을 때, 우리는 성서를 사용하여 대답하려고 노력합니다.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성서는 하느님의 말씀이기 때문입니다. 성서는 우리 신앙의 근원이 됩니다. 우리의 생활 방식도 성서에 근거한 것입니다. 성서는 세계 사건들에 대한 우리의 견해를 형성시켜 줍니다. 미래에 대한 우리의 희망은 성서에 나오는 영감받은 약속에 굳게 뿌리를 박고 있습니다.—디모데 둘째 3:16, 17.
우리는 우리의 이름에 수반되는 책임을 예리하게 인식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여호와의 증인입니다. (이사야 43:12) 그러므로 우리가 질문에 대답할 때 근거로 삼는 것은, 인간 철학이 아니라, 영감받은 성서에 들어 있는 여호와의 말씀입니다. 우리 각자가 사물에 대한 개인적인 의견을 가지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우리는 하느님의 말씀에 따라 우리의 견해를 형성해 나갑니다. 그 말씀이 진리라는 것을 굳게 확신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물론, 성서는 많은 문제에서 우리에게 개인적인 기호를 허용합니다. 우리는 자신의 기호를 다른 사람에게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 성경에서 알려 주는 원칙들을 가르침으로 듣는 사람들이 우리가 누리는 것과 동일한 선택의 자유를 행사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사도 바울처럼, 우리도 “믿음에 의한 순종을 장려”하려고 합니다.—로마 16:26.
계시록 3:14에서 예수 그리스도는 “충실하고 참된 증인”으로 묘사되어 있습니다. 예수께서는 질문들에 대답하시거나 도전이 되는 상황들에 대처하실 때 어떻게 하셨습니까? 때로는 예를 사용하여 사람들로 하여금 생각해 보게 하셨고, 또 어떤 때에는 질문자에게 성구를 어떻게 이해하는지 묻기도 하셨습니다. 그러나 많은 경우에는, 성구들을 인용하시거나 알기 쉽게 풀어 말씀하시거나 간접적으로 언급하셨습니다. (마태 4:3-10; 12:1-8; 누가 10:25-28; 17:32) 1세기에, 회당에는 대개 성경 두루마리가 보관되어 있었습니다. 예수께서 그러한 두루마리의 개인용 전집을 가지고 계셨다는 증거는 없지만, 그분은 성경을 잘 알고 계셨고 다른 사람들을 가르칠 때 성경을 자주 언급하셨습니다. (누가 24:27, 44-47) 그분은 자신의 가르침이 독자적인 것이 아니라고 진실하게 말씀하실 수 있었습니다. 그분은 아버지에게서 들은 것을 말씀하셨습니다.—요한 8:26.
우리는 예수의 모범을 따르기를 원합니다. 우리는 하느님께서 말씀하시는 것을 예수처럼 직접 들은 적이 없습니다. 그러나 바로 성서가 하느님의 말씀입니다. 우리는 성서를 대답의 근거로 사용할 때 우리 자신에게 주의를 이끌지 않게 됩니다. 우리는 불완전한 인간의 견해를 표명하는 것이 아니라, 진리가 무엇인지에 관한 발언권을 하느님께 돌리기로 굳게 결심했음을 나타냅니다.—요한 7:18; 로마 3:4.
물론, 우리가 바라는 것은 단지 성서를 사용하는 것만이 아닙니다. 우리는 듣는 사람에게 가장 큰 유익을 줄 만한 방법으로 성서를 사용하기를 원합니다. 우리는 그 사람이 열린 정신으로 잘 듣기를 원합니다. 그 사람의 태도에 따라, 당신은 이러한 말로 성서의 사상을 소개할 수 있을 것입니다. “참으로 중요한 것은 바로 하느님의 말씀이라는 사실에 동의하시지 않습니까?” 혹은 이렇게 말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바로 그 질문에 대해 성서에서 설명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계셨습니까?” 성서를 존중하지 않는 사람과 이야기할 경우에는 다소 다른 서론을 사용할 필요가 있을지 모릅니다. 이렇게 말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 고대 예언을 전해 드리고자 합니다.” 혹은 이렇게 말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인간 역사상 가장 널리 배포된 책에서는 이렇게 알려 줍니다. ···”
어떤 경우에는, 단지 성구를 알기 쉽게 풀어 말하는 방법을 선택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가능하다면 성서 자체를 펴서 그 말씀을 읽어 주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실용적인 경우에는 언제든지 상대방의 개인용 성서로 성구를 보여 주십시오. 이처럼 성서를 직접 사용하면, 흔히 사람들에게 강력한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히브리 4:12.
그리스도인 장로들은 질문에 대답할 때 성서를 사용해야 할 특별한 책임이 있습니다. 장로로 섬기는 데 요구되는 자격 조건들 중 한 가지는, 그 형제가 “가르치는 기술에 있어서 신실한 말씀을 굳게 지켜야” 한다는 것입니다. (디도 1:9) 회중의 한 성원이 장로가 베푸는 조언을 듣고 생활상의 심각한 결정을 내릴지도 모릅니다. 성경을 그러한 조언의 확고한 근거로 삼는 것은 대단히 중요합니다! 그렇게 하는 장로의 모범은 다른 많은 사람의 가르치는 방식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