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부—잘 발전하는 성서 연구를 사회함왕국 봉사—2005 | 3월
-
-
7부—잘 발전하는 성서 연구를 사회함
연구할 때 기도를 하십시오
1. (ㄱ) 성서 연구를 시작하고 마칠 때 기도를 하는 것이 적절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ㄴ) 성서 연구를 할 때 어떤 방법으로 기도를 시작할 수 있습니까?
1 성서 연구생이 영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여호와의 축복이 있어야 합니다. (고린도 첫째 3:6) 따라서 연구를 시작하고 마칠 때 기도를 하는 것은 적절한 일입니다. 종교심이 있는 사람과 연구할 때는 흔히 첫 연구에서부터 기도를 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 않은 사람과 연구할 때는 적절한 때를 살펴서 기도를 시작할 필요가 있을 것입니다. 그렇게 하기 위해 시편 25:4, 5과 요한 첫째 5:14을 사용하여 연구생이 왜 기도를 해야 하는지 이해하도록 돕고 또한 요한 15:16을 사용하여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여호와께 기도하는 것의 중요성을 설명할 수 있을 것입니다.
2. 자매가 침례받은 형제나 침례받지 않은 남자 전도인과 함께 성서 연구를 하러 갔다면, 누가 기도를 할 것입니까?
2 성서 연구를 할 때 누가 기도를 해야 합니까? 침례받은 형제가 자매와 함께 성서 연구를 하러 갔다면, 연구 사회는 자매가 머리 덮개를 쓰고 하더라도, 기도는 형제가 할 것입니다. (고린도 첫째 11:5, 10) 반면에, 침례받지 않은 남자 왕국 전도인이 자매와 함께 연구를 하러 갔다면, 자매가 기도를 할 것입니다. 그런 경우 자매는 기도할 때만 아니라 연구를 사회할 때도 머리 덮개를 써야 합니다.
3. 성서 연구를 할 때 하는 기도에 어떤 점들을 포함시키는 것이 적절합니까?
3 기도에 포함시킬 수 있는 점: 성서 연구를 할 때 기도를 길게 할 필요는 없지만 구체적으로 해야 합니다. 하느님께서 성서 연구를 축복해 주실 것을 구하고 진리를 배우는 것에 대해 감사를 드릴 뿐만 아니라, 교훈의 근원이신 여호와께 찬양을 드리는 것이 적절합니다. (이사야 54:13) 또한 연구생에 대한 우리의 진정한 관심과 여호와께서 사용하시는 조직에 대한 우리의 인식을 나타내는 표현을 포함시킬 수 있습니다. (데살로니가 첫째 1:2, 3; 2:7, 8) 연구생이 배우고 있는 것을 적용하기 위해 기울이는 노력을 여호와께서 축복해 주실 것을 요청하는 것은 그가 “말씀을 행하는 사람”이 되는 것의 중요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야고보 1:22.
4. 성서 연구를 시작하고 마칠 때 기도를 하면 어떤 유익이 있습니까?
4 이와 같이 기도를 하면 여러 가지 유익이 있습니다. 기도를 하면 하느님의 축복이 있게 됩니다. (누가 11:13) 또한 하느님의 말씀을 연구하는 것이 진지한 일임을 강조하게 됩니다. 연구생은 우리의 기도를 들으면서 기도하는 법을 배우게 될 것입니다. (누가 6:40) 더 나아가, 하느님에 대한 사랑으로 가득 찬 마음과 그분의 비할 데 없는 특성들에 대한 감사에서 우러나온 기도는 연구생이 여호와와 개인적인 관계를 발전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
잡지 제공 방법 제안왕국 봉사—2005 | 3월
-
-
잡지 제공 방법 제안
파수대 3월 15일호
“세계 곳곳에 있는 많은 사람들은 예수의 가르침을 칭송합니다. [3면 1항의 인용문을 읽는다.] 하지만 이 성구에 나오는 것과 같은 가르침이 오늘날에도 실용적이라고 생각하시는지요? [마태 5:21, 22ㄱ을 읽어 준다. 그런 다음 대답할 시간을 준다.] 이 잡지에서는 예수의 가르침과 그로부터 유익을 얻는 방법을 다루고 있습니다.”
깨어라! 3월 22일호
“산은 그 아름다움 때문에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산이 지상의 생명체에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존재라는 점을 알고 계신지요? [대답할 시간을 준다.] 이 잡지에서는 우리에게 산이 필요한 이유와 오늘날 산에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를 다루고 있습니다. 또한 창조주께서 이 중요한 자원을 어떻게 보존하실 것인지도 알려 줍니다.” 시편 95:4을 읽는다.
파수대 4월 1일호
“과학과 성서는 서로 모순된다는 말을 들어 보신 적이 있으신지요? [대답할 시간을 준다.] 이 잡지에서는 과학과 종교 사이에 있었던 마찰을 역사적으로 검토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참 과학이 성서와 일치한다는 증거도 제시해 줍니다.” 6-7면을 보여 준 다음 전도서 1:7을 읽는다.
깨어라! 4월 8일호
“어려움이 많은 십대 시절에 자녀가 문제를 겪지 않도록 부모가 어떻게 도울 수 있다고 생각하시는지요? [대답할 시간을 준 다음 이사야 48:17, 18을 읽는다.] 이 잡지에서는 성서의 교훈을 적용하는 것이 부모가 자녀와 원활한 의사소통을 하고 자녀에게 합리적인 한계를 정해 주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될 수 있는지 알려 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