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한국어
  • 성경
  • 출판물
  • 집회
  • 통-2 “함”
  • 함

관련 동영상이 없습니다.

죄송합니다. 동영상을 불러오지 못했습니다.

  • 함
  • 성경 통찰, 제2권
  • 비슷한 자료
  • 흑인들은 하나님으로부터 저주를 받았는가?
    깨어라!—1978
  • 가나안
    용어 설명
  • 가나안
    성경 통찰, 제1권
  • 노아
    성경 통찰, 제1권
더 보기
성경 통찰, 제2권
통-2 “함”

함

(Ham)

1. 노아의 세 아들 가운데 하나. 기원전 2470년 이후에 태어났다. (창 5:32; 7:6; 11:10) 그는 막내아들인 듯하지만(창 9:24), 창세기 5:32과 6:10 및 그 밖의 구절들에서 이름이 두 번째로 언급되어 있다. 창세기 10:21에서 셈은 “맏이인 야벳의 동생”으로 불린다. 어떤 사람들은 창세기 9:24의 “막내아들”(youngest son)이라는 표현이 노아의 손자인 가나안을 가리킨다고 생각한다.—가나안, 가나안 사람 1번 참조.

함은 네 아들 구스, 미스라임, 풋, 가나안의 아버지였다. (창 10:6; 대첫 1:8) 이 아들들로부터 에티오피아 사람들, 이집트 사람들, 아라비아와 아프리카의 일부 부족들, 가나안 사람들이 나왔다. 창세기 10장에 열거되어 있는 함 계통의 일부 부족과 민족들이 셈 계통의 언어를 사용했다는 주장이 있기는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들이 함의 자손이라는 사실과 그들이 원래 함 계통의 언어를 사용했다는 사실이 부정되는 것은 아니다. 많은 민족들이 자기들의 정복자나, 자기들과 교류하던 타민족이나, 자기들이 이주한 땅의 언어를 받아들였기 때문이다.

함은 대홍수 전에 결혼하였다. 그는 자기 아내, 아버지와 어머니, 그리고 두 형제와 그 아내들과 함께 대홍수를 생존하였다. (창 6:18; 7:13; 8:15, 16, 18; 베첫 3:19, 20) 함의 아들들은 대홍수 후에 태어났다.

얼마 후에 그는 자기 아들 가나안에게 저주가 내려지게 만든 한 사건에 연루되었다. 노아가 포도주에 취하여 자기 천막 안에서 몸을 드러내고 있었다. 함은 자기 아버지의 벌거벗음을 보았으며, 가장이자 하느님께서 인류를 보존하는 일에 도구로 사용하신 종이며 예언자인 노아에게 합당한 존경심을 보인 것이 아니라, 자기가 발견한 사실을 자기의 두 형제에게 알렸다. 셈과 야벳은 아버지의 벌거벗음을 보아서 치욕을 돌리는 일이 없도록, 망토를 가지고 뒷걸음으로 들어가서 노아에게 덮어 줌으로 합당한 존경심을 나타냈다. 노아는 술이 깼을 때 함에게가 아니라 함의 아들인 가나안에게 저주를 내렸다. 그에 덧붙여진 셈에 대한 축복 가운데, 야벳에 대한 축복은 들어 있었지만, 함은 언급되지 않고 무시되었다. 저주를 받을 것으로 단지 가나안만 언급되었고 셈과 야벳의 종이 될 것으로 예언되었다.—창 9:20-27.

가나안 자신이 그 사건에 직접 연루되었는데 그의 아버지 함이 가나안을 시정하지 못했을 가능성도 있다. 또는 노아가 영감을 받아 예언적으로 말하는 가운데, 함에게 있는 악한 경향, 어쩌면 그의 아들 가나안에게서 이미 드러난 악한 경향을 가나안의 자손들이 물려받을 것을 내다본 것일 수도 있다. 그 저주는 셈족인 이스라엘 사람들이 가나안 사람들을 정복했을 때 부분적으로 성취되었다. 멸망되지 않은 가나안 사람들(예로서, 기브온 사람들[수 9장])은 이스라엘의 종이 되었다. 여러 세기 후에, 함의 아들인 가나안의 자손들이 야벳 계통의 세계 강국들인 메디아·페르시아, 그리스, 로마의 지배를 받게 되었을 때 그 저주는 더 성취되었다.

어떤 사람들은 가나안에게 내려진 저주의 결과로 흑인종이 생겨났고 그 인종에 속한 사람들이 노예가 된 것이라고 잘못 생각해 왔다. 그와는 달리, 저주받은 자인 가나안의 자손들은 흑인종이 아니었다. 흑인종은 구스와 어쩌면 풋의 자손이다. 구스와 풋은 그 사건이나 그 저주와 관련이 없는 함의 다른 아들들이다.

2. 요르단 강 동쪽의 수심의 한 도시. (창 14:5) 이 도시는 엘람 왕과 그의 동맹자인 다른 세 왕이 사해 인근 지역 도시들의 반역을 진압했을 때 엘람 왕에게 패배를 당하였다. (창 14:1-12) 창세기 14:5, 6에서 함이 나열된 순서를 보면 이 도시가 아스드롯-가르나임의 남쪽에, 그리고 사웨-기랴다임의 북쪽에 있었던 것 같다. 이 도시의 이름은 와디에르레예일레(와디함이라고도 불림)에 있는 함이라는 현대 도시의 이름 속에 보존되어 있다. 이 도시는 아일룬에 있는 이르비드에서 남남서쪽으로 약 6킬로미터, 그리고 갈릴리 바다의 남쪽 끝에서 남동쪽으로 약 30킬로미터 지점에 위치해 있다. 그 근처에 있는 텔, 즉 고대 도시 유적층(텔함) 자리에 그 고대 도시가 있었던 것 같다.

3. 시편에서는 “함”이 이집트와 관련되어 언급되는데, 이집트를 “함의 땅”이라고 부른다.—시 78:51; 105:23, 27; 106:21, 22. 이집트, 이집트인 참조.

    한국어 워치 타워 출판물 (1958-2025)
    로그아웃
    로그인
    • 한국어
    • 공유
    • 설정
    • Copyright © 2025 Watch Tower Bible and Tract Society of Pennsylvania
    • 이용 약관
    • 개인 정보 보호 정책
    • 개인 정보 설정
    • JW.ORG
    • 로그인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