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한국어
  • 성경
  • 출판물
  • 집회
  • 마태복음 23
  • 신세계역 성경 (연구용)

관련 동영상이 없습니다.

죄송합니다. 동영상을 불러오지 못했습니다.

마태복음 개요

    • 카. 예수께서 마지막으로 예루살렘에서 수행하신 봉사 (21:1–23:39)

      • 예수께서 예루살렘으로 승리의 입성을 하시다 (21:1-11)

      • 성전을 깨끗하게 하시다 (21:12-17)

      • 무화과나무를 저주하시다 (21:18-22)

      • 예수의 권한에 의문을 제기하다 (21:23-27)

      • 아버지와 두 아들에 관한 비유 (21:28-32)

      • 살인을 저지른 포도원 경작자들에 관한 비유 (21:33-46)

      • 결혼 잔치에 관한 비유 (22:1-14)

      • 하느님과 카이사르 (22:15-22)

      • 부활에 관한 질문 (22:23-33)

      • 가장 큰 두 계명 (22:34-40)

      • 어떻게 그리스도가 다윗의 아들이 될 수 있는가? (22:41-46)

      • 서기관들과 바리새인들의 행위를 따라 하지 말라 (23:1-12)

      • 서기관들과 바리새인들에게 화가 있다 (23:13-36)

      • 예수께서 예루살렘을 두고 탄식하시다 (23:37-39)

마태복음 23:2

  • 모세의 자리에 앉아 있습니다: 또는 “자신들을 모세의 위치에 두었습니다”. 그들은 주제넘게도 자신들이 하느님의 법을 해석할 권위를 가지고 있는 것처럼 행동함으로 자신들을 모세의 위치에 두었다.

색인

  • 출판물 색인

    파79 4 12

마태복음 23:3

상호 참조 성구

  • +말 2:7, 8; 마 15:3, 6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파수대」

    2005/4/15, 26-27면

  • 출판물 색인

    파05 4/15 26-27;

    복 126

마태복음 23:4

  • 무거운 짐: 당시 사람들에게 짐스럽게 여겨졌던 규정들과 말로 전해져 내려온 전통을 가리키는 것 같다.

    손가락 하나 까딱하려고 하지 않습니다: 무거운 짐을 지고 있는 사람들의 부담을 줄여 주는 데 전혀 관심이 없던 종교 지도자들의 태도를 가리키는 표현인 것 같다. 그들은 사람들을 위해 사소한 규정 하나도 없애 주려고 하지 않았다.

상호 참조 성구

  • +마 11:28
  • +눅 11:46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886, 1163면

    「통찰」 제2권 99면

    「파수대」

    2005/4/15, 26-27면

    1994/10/15, 18면

    1993/4/1, 29-30면

    1990/10/1, 11면

  • 출판물 색인

    통-1 1163; 통-2 99, 886; 파05 4/15 26-27; 파94 10/15 18; 파93 4/1 29-30; 파90 10/1 11

마태복음 23:5

  • 부적처럼 차고 다니는 성구 갑: 또는 “경문”. 유대인 남자들은 율법의 네 부분(출 13:1-10, 11-16; 신 6:4-9; 11:13-21)이 담긴 작은 가죽 상자를 이마에 달고 왼쪽 팔에 차고 다녔다. 이러한 관습은 하느님께서 출 13:9, 16; 신 6:8; 11:18에서 이스라엘 사람들에게 하신 지시를 문자적으로 해석한 데서 유래했다. 종교 지도자들은 다른 사람들에게 과시하려고 성구 갑을 크게 만들었고 그것이 부적처럼 자신들을 보호해 줄 수 있다고 잘못 생각했다. 예수께서는 그러한 종교 지도자들을 비난하셨다.

    옷 술을 길게 합니다: 민 15:38-40에서 이스라엘 사람들은 옷 끝에 술을 달라는 명령을 받았다. 하지만 서기관들과 바리새인들은 과시하기 위해 다른 사람보다 더 긴 술을 달았다.

멀티미디어

  • 성구 갑 또는 경문

상호 참조 성구

  • +마 6:1, 2
  • +신 6:6, 8
  • +민 15:38, 39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2권 606면

    「통찰」 제1권 1107면

    「예수—길」 252면

    「파수대」

    2010/5/1, 13면

    1990/2/15, 8면

    1988/8/15, 11면

  • 출판물 색인

    통-1 1107; 통-2 606; 예길 252; 파10 5/1 13; 역 제109장; 파90 2/15 8; 파88 8/15 11

마태복음 23:6

  • 앞자리: 또는 “제일 좋은 자리”. 회당 책임자들과 명망 있는 사람들은 성경 두루마리들이 있는 곳 가까이에 앉았을 것이다. 그 자리는 회중 전체가 볼 수 있는 곳이었다. 이 특별 좌석에는 그처럼 영향력 있는 사람들만 앉을 수 있었던 것 같다.

멀티미디어

  • 1세기 회당

  • 회당의 앞자리

  • 만찬에서의 윗자리

상호 참조 성구

  • +막 12:38, 39; 눅 11:43; 14:7, 10; 20:46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1207, 1246면

    「파수대」

    2010/4/1, 17면

  • 출판물 색인

    통-1 1246; 통-2 1207; 파10 4/1 17;

    파78 12 15

마태복음 23:7

  • 장터: 또는 “집회 장소”. 여기 사용된 그리스어 아고라는 고대 근동과 그리스•로마 세계의 도시와 마을에서 물건을 사고파는 중심지이자 공공 집회 장소 역할을 한 광장을 가리킨다.

    랍비: 문자적으로 “나의 위대한 분”을 의미한다. “위대하다”를 의미하는 히브리어 라브에서 유래했다. 일반적으로 “랍비”는 “선생님”을 의미했지만 (요 1:38) 영예로운 칭호로도 쓰이게 되었다. 일부 학식 있는 사람과 서기관과 율법 교사들은 자신을 부를 때 이 칭호를 사용해 줄 것을 요구했다.

색인

  • 출판물 색인

    파76 161

마태복음 23:8

상호 참조 성구

  • +요 13:13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행복한 삶을 영원히 누리십시오!」 제20과

    「파수대」 (연구용)

    2018/6, 9-10면

    「통찰」 제1권 552, 1092-1093면

    「예수—길」 252면

    「파수대」

    2001/6/1, 14-15면

    2000/6/15, 17-19, 21-22면

    1996/7/1, 30-31면

    1990/2/15, 8면

    「선포자」 204면

  • 출판물 색인

    행누 제20과; 파18.06 9-10; 통-1 552, 1092-1093; 예길 252; 파01 6/1 14; 파00 6/15 17, 19, 21-22; 파96 7/1 30-31; 와 204; 역 제109장; 파90 2/15 8;

    파82 5/1 6-7; 깨77 10/8 23; 파76 161, 231; 파73 283; 파71 391

마태복음 23:9

  • 아버지: 예수께서는 “아버지”라는 말을 사람에게 영예를 돌리는 형식적 또는 종교적 칭호로 사용하는 것을 금하셨다. “신부”(神父)라는 칭호도 이에 해당한다.

상호 참조 성구

  • +마 6:9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행복한 삶을 영원히 누리십시오!」 제20과

    「통찰」 제2권 31, 33면

    「깨어라!」

    1992/8/15, 13면

  • 출판물 색인

    행누 제20과; 통-2 31, 33; 깨92 8/15 13;

    깨77 10/8 23; 파73 283

마태복음 23:10

  • 지도자: 그리스어 원어는 8절에서 “선생”으로 번역된 그리스어와 비슷한 의미를 지닌 말이다. 이 구절에서 이 단어는 인도와 교훈을 베푸는 사람, 즉 영적 지도자라는 의미이며 당시에는 종교적 칭호로 사용된 것 같다.

    여러분의 지도자: 불완전한 인간은 아무도 참그리스도인들의 영적 지도자가 될 수 없기 때문에, 지도자라는 칭호로 불리기에 합당한 분은 오직 예수뿐이시다.—바로 앞에 나오는 지도자에 대한 연구 노트 참조.

    그리스도: “기름부음받은 자”라는 의미. 그리스어 원문에서는 이 단어 앞에 정관사가 나온다. 이 정관사는 예수께서 약속된 메시아 즉 특별한 의미에서 기름부음받은 분임을 나타낸다.—마 1:1; 2:4 연구 노트 참조.

상호 참조 성구

  • +벧전 5:2, 3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행복한 삶을 영원히 누리십시오!」 제20과

    「조직」 15면

    「통찰」 제2권 853면

    「파수대」

    2007/4/1, 21면

  • 출판물 색인

    행누 제20과; 직 15; 통-2 853; 파07 4/1 21; 봉 20;

    파84 5/15 16; 봉 20; 깨77 10/8 23; 파73 278, 283; 조 8

마태복음 23:11

  • 여러분을 섬기는 사람: 또는 “여러분의 종”.—마 20:26 연구 노트 참조.

상호 참조 성구

  • +마 20:26; 막 9:35; 10:43, 44; 눅 9:48; 22:26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행복한 삶을 영원히 누리십시오!」 제20과

  • 출판물 색인

    행누 제20과;

    파76 161; 파73 283

마태복음 23:12

상호 참조 성구

  • +잠 16:18
  • +잠 15:33; 29:23; 마 18:4; 눅 14:11; 18:13, 14; 롬 12:3; 엡 4:1, 2; 벧전 5:5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행복한 삶을 영원히 누리십시오!」 제20과

    「파수대」

    2012/11/15, 14면

  • 출판물 색인

    행누 제20과; 파12 11/15 14

마태복음 23:13

  • 위선자들: 마 6:2 연구 노트 참조.

    당신들에게 화가 있습니다: 예수께서는 일곱 번에 걸쳐 그 당시 종교 지도자들에게 화가 있다고 말씀하셨는데, 이 표현은 그중 첫 번째이다. 그분은 종교 지도자들이 위선자이자 눈먼 인도자임을 폭로하셨다.

    하늘 왕국을 닫아 버리기: 또는 “하늘 왕국의 문을 닫아 버리기”. 사람들이 들어가지 못하게 막는다는 뜻이다.

상호 참조 성구

  • +눅 11:52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파수대」

    2001/11/15, 21면

    1991/3/15, 5면

    1990/10/1, 23면

    「깨어라!」

    2000/6/8, 13면

  • 출판물 색인

    파01 11/15 21; 깨00 6/8 13; 파91 3/15 5; 파90 10/1 23;

    사 79/4 1

마태복음 23:14

  • 일부 사본에는 다음과 같은 말이 들어 있다. “서기관과 바리새인, 위선자들이여, 당신들에게 화가 있습니다! 당신들은 과부들의 집을 삼키며 겉치레로 길게 기도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당신들은 더 무거운 심판을 받을 것입니다.” 하지만 가장 오래되고 중요한 사본들에는 이 구절이 나오지 않는다. 그런데 막 12:40과 눅 20:47의 영감받은 원문에는 이와 비슷한 표현이 나온다.—부록 가3 참조.

마태복음 23:15

  • 개종자: 그리스어 원어 프로셀리토스는 유대교로 개종한 이방인을 가리킨다. 남자라면 할례도 받아야 했다.

    게헨나에 들어갈 사람: 직역하면 “게헨나의 아들”. 영원한 멸망을 받아 마땅한 사람을 가리킨다.—용어 설명 “게헨나” 참조.

멀티미디어

  • 힌놈 골짜기(게헨나)

  • 오늘날의 힌놈 골짜기

상호 참조 성구

  • +마 6:2; 눅 12:56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2권 422면

    「통찰」 69, 560면

    「파수대」

    2008/1/15, 31면

    1992/3/1, 13면

    1987/10/1, 30-31면

  • 출판물 색인

    통-1 69; 통-2 422, 560; 파08 1/15 31; 파92 3/1 13; 파87 10/1 30-31;

    파82 7/15 19; 부 96

마태복음 23:16

상호 참조 성구

  • +마 15:14
  • +마 5:34, 35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예수—길」 252-253면

    「파수대」

    2000/9/15, 19면

    1995/3/15, 25-26면

    1990/2/15, 8-9면

  • 출판물 색인

    예길 252; 파00 9/15 19; 파95 3/15 25-26; 역 제109장; 파90 2/15 8-9

마태복음 23:17

  • 어리석고: 성경에서 “어리석다”는 말은 일반적으로 이치에 맞게 생각하려 하지 않고 하느님의 의로운 표준에서 벗어나 도덕적으로 무분별한 행로를 따르는 사람을 묘사하는 표현이다.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2권 153면

    「예수—길」 252-253면

    「파수대」

    1990/2/15, 8-9면

  • 출판물 색인

    통-2 153; 예길 252; 역 제109장; 파90 2/15 8-9

마태복음 23:18

상호 참조 성구

  • +마 5:23, 24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2권 782면

  • 출판물 색인

    통-2 782

마태복음 23:21

상호 참조 성구

  • +왕상 8:13; 시 11:4; 26:8; 132:13, 14

마태복음 23:22

상호 참조 성구

  • +마 5:34, 35

마태복음 23:23

  • 박하와 딜과 쿠민의 10분의 1: 모세 율법 시대에 이스라엘 사람들은 수확물의 10분의 1 즉 십일조를 바쳐야 했다. (레 27:30; 신 14:22) 율법에 박하, 딜, 쿠민과 같은 향신료의 10분의 1을 바쳐야 한다는 명확한 규정은 없었지만, 예수께서는 이 전통에 반대하지 않으셨다. 그분은 서기관과 바리새인들이 율법의 사소한 점들에는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면서 율법의 바탕이 되는 공의, 자비, 충실과 같은 원칙은 소홀히 하는 것을 책망하신 것이었다.

멀티미디어

  • 박하, 딜, 쿠민

각주

  • *

    직역하면 “더 무거운”.

  • *

    또는 “믿음”.

상호 참조 성구

  • +레 27:30
  • +미 6:8; 요 7:24
  • +마 9:13; 12:7
  • +눅 11:42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따르십시오’」 103면

    「통찰」 346, 518, 990면

    「통찰」 제1권 806면

    「파수대」 (연구용)

    2017/11, 13-14면

    「파수대」

    2001/7/15, 22면

    1990/2/15, 9면

  • 출판물 색인

    통-1 346, 518, 806; 통-2 990; 파17.11 13-14; 따 103; 파01 7/15 22; 역 제109장; 파90 2/15 9;

    파79 4 42; 파76 542; 파73 527; 파71 549

마태복음 23:24

  • 작은 벌레는 걸러 내면서 낙타는 삼키고 있습니다: 이 구절에서 “작은 벌레”는 “각다귀”로도 번역할 수 있다. 각다귀라는 곤충은 이스라엘 사람들이 쉽게 떠올릴 만한 부정한 생물 가운데 가장 작은 것이었고 낙타는 가장 큰 것이었다. (레 11:4, 21-24) 예수께서는 과장법을 사용하여 종교 지도자들의 잘못을 지적하신 것이다. 그들은 의식상 부정해지지 않기 위해 음료에서 각다귀는 걸러 내면서, 율법의 더 중요한 것은 완전히 무시함으로 낙타를 삼키는 것에 비할 만한 행동을 하고 있었다.

멀티미디어

  • 낙타

상호 참조 성구

  • +마 15:14
  • +레 11:23
  • +레 11:4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1권 42, 346면

    「예수—길」 253면

    「파수대」

    2002/9/1, 11면

    1990/2/15, 9면

  • 출판물 색인

    통-1 42, 346; 예길 253; 파02 9/1 11; 역 제109장; 파90 2/15 9

마태복음 23:25

각주

  • *

    또는 “강탈; 강도질”.

상호 참조 성구

  • +막 7:3, 4
  • +막 12:38, 40
  • +눅 11:39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2권 754면

    「예수—길」 254면

    「파수대」

    2000/9/15, 19면

  • 출판물 색인

    통-2 754; 예길 254; 파00 9/15 19

마태복음 23:26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예수—길」 254면

  • 출판물 색인

    예길 254

마태복음 23:27

  • 회칠한 무덤: 이스라엘에는 지나가는 사람이 부지중에 무덤에 닿아 의식상 부정해지는 일이 없도록 무덤에 석회를 발라 하얗게 칠하는 관습이 있었다. (민 19:16) 유대교의 「미슈나」(셰칼림 1:1)에 따르면, 사람들은 매년 유월절이 되기 한 달 전에 석회를 칠했다. 예수께서 사용하신 이 표현은 위선적인 태도를 가리키는 비유적인 말이었다.

상호 참조 성구

  • +눅 12:56
  • +눅 11:44; 행 23:3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1권 290, 630, 695, 1081면

    「통찰」 제2권 570면

    「파수대」

    2009/11/1, 15면

    1995/10/15, 29면

    1990/3/1, 24면

    1989/7/15, 25면

    1986/12/1, 14면

  • 출판물 색인

    통-1 290, 630, 695, 1081; 통-2 570; 파09 11/1 15; 파95 10/15 29; 역 제110장; 파90 3/1 24; 파89 7/15 25; 깨86 12/1 14

마태복음 23:28

  • 불법: 마 24:12 연구 노트 참조.

상호 참조 성구

  • +눅 16:15

마태복음 23:29

  • 무덤: 또는 “기념 무덤”.—용어 설명 “기념 무덤” 참조.

상호 참조 성구

  • +마 6:2
  • +눅 11:47

마태복음 23:31

상호 참조 성구

  • +눅 11:48; 행 7:52; 히 11:32, 37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2권 268-269면

  • 출판물 색인

    통-2 268

마태복음 23:32

  • 당신들의 조상들이 시작한 일을 마저 끝내십시오: 또는 “당신들의 조상들의 분량을 마저 채우십시오”. 이 관용적인 표현은 문자적으로 “다른 사람이 채우기 시작한 분량을 마저 채우는 것”을 의미한다. 예수께서는 유대교 지도자들에게 실제로 그들의 조상들이 시작한 일을 끝내라고 명령하신 것이 아니다. 그분은 반어법을 사용하여, 과거에 그들의 조상들이 하느님의 예언자들을 죽인 것처럼 그들도 자신을 죽일 것임을 예언하신 것이다.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2권 268-269면

  • 출판물 색인

    통-2 268

마태복음 23:33

  • 뱀들이여, 독사의 자식들이여: 영적인 의미에서, “원래의 뱀”인 사탄은 참숭배를 반대하는 자들의 시조라고 할 수 있다. (계 12:9) 따라서 예수께서 이 종교 지도자들을 “뱀들이여, 독사의 자식들이여”라고 부르신 것은 합당한 일이었다. (요 8:44; 요1 3:12) 그들의 악은 사람들에게 영적으로 치명적인 해를 끼쳤다. 침례자 요한도 “독사의 자식들이여”라는 표현을 사용한 적이 있다.—마 3:7.

    게헨나: 마 5:22 연구 노트 및 용어 설명 참조.

멀티미디어

  • 뿔북살무사

상호 참조 성구

  • +마 3:7; 12:34; 눅 3:7
  • +마 10:28; 눅 12:5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2권 422면

    「통찰」 472, 560, 930, 1204-1205, 1279면

    「예수—길」 254면

    「파수대」

    2008/6/15, 7면

    1990/3/1, 24면

  • 출판물 색인

    통-1 472, 930, 1279; 통-2 422, 560, 1205; 예길 254; 파08 6/15 7; 역 제110장; 파90 3/1 24;

    원 86; 파77 520; 부 96, 99; 깨73 6/22 23

마태복음 23:34

  • 강사들: 또는 “학식 있는 사람들”. 그리스어 그람마튜스는 유대교 율법 교사들을 가리킬 경우 “서기관”이라고 번역된다. 하지만 이 문맥에서 예수께서는 다른 사람들을 가르치도록 보냄을 받은 자신의 제자들을 가리켜 이 표현을 사용하셨다.

    회당: 용어 설명 참조.

멀티미디어

  • 채찍

상호 참조 성구

  • +눅 11:49-51
  • +마 13:52
  • +요 16:2; 행 7:59
  • +마 10:17; 행 5:40; 고후 11:24
  • +눅 21:12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1권 632-633면

    「통찰」 제2권 868면

    「예수—길」 254면

    「파수대」

    2013/4/15, 12-13면

  • 출판물 색인

    통-1 632-633; 통-2 868; 예길 254; 파13 4/15 12-13

마태복음 23:35

  • 의로운 아벨의 피로부터 ··· 스가랴의 피에 이르기까지: 이것은 히브리어 성경의 첫 번째 책에 나오는 아벨(창 4:8)부터 전통 유대교 정경의 마지막 책인 역대기에 나오는 스가랴(대하 24:20)까지, 살해당한 모든 여호와의 증인을 포함하는 표현이다. 따라서 “아벨의 피로부터 ··· 스가랴의 피에 이르기까지”라는 예수의 말씀은 사실상 “첫 번째 경우부터 마지막 경우까지”라는 뜻이었다.

    당신들이 ··· 살해한: 이 유대교 지도자들이 실제로 스가랴를 죽인 것은 아니지만 조상들과 같은 살인적인 성향을 나타냈기 때문에 예수께서는 그들에게도 책임이 있다고 말씀하신 것이다.—계 18:24.

    신성한 곳과 제단 사이에서: 대하 24:21에서는 스가랴가 “여호와의 집 뜰에서” 살해당했다고 알려 준다. 하지만 예수의 말씀은 이 기록과 모순되는 것이 아니다. 번제 제단이 안뜰에, 신성한 곳 현관 정면에 있었기 때문이다.—부록 나8 참조.

    바라갸의 아들: 대하 24:20에 따르면 이 구절에서 언급하는 스가랴는 “제사장 여호야다의 아들”이다. 여호야다가 성경에 나오는 다른 인물들의 경우처럼 (마 9:9과 막 2:14 비교) 이름이 두 개였을 것이라는 견해도 있고, 바라갸가 스가랴의 할아버지이거나 더 윗대의 조상이라는 견해도 있다.

상호 참조 성구

  • +창 4:8, 10; 히 11:4
  • +대하 24:20-22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773, 775면

    「통찰」 제1권 1198-1199면

    「예수—길」 254면

    「파수대」

    1990/3/1, 24면

  • 출판물 색인

    통-1 775, 1198-1199; 통-2 773; 예길 254; 역 제110장; 파90 3/1 24

마태복음 23:36

  • 진실로: 마 5:18 연구 노트 참조.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1권 775, 1133면

    「예수—길」 254면

    「파수대」

    1995/11/1, 12-13면

    1990/3/1, 24면

  • 출판물 색인

    통-1 775, 1133; 예길 254; 파95 11/1 13; 역 제110장; 파90 3/1 24;

    파79 2 48

마태복음 23:37

  • 예루살렘아, 예루살렘아: 눅 13:34에 따르면, 예수께서는 얼마 전 페레아에 계실 때 이와 매우 비슷한 말씀을 하셨다. 그분이 이 구절에 나오는 말씀을 하신 때는 그분의 지상 봉사의 마지막 주간이었던 니산월 11일이다.—부록 가7 참조.

멀티미디어

  • 병아리를 모으는 암탉

상호 참조 성구

  • +요 8:59; 살전 2:14-16; 히 11:32, 37
  • +눅 13:34; 19:41, 42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113, 428면

    「파수대」 (배부용)

    2016년 제6호 9면

    「파수대」

    2006/2/1, 19면

    2005/6/15, 19-20면

    1992/1/15, 11-12면

  • 출판물 색인

    통-1 428; 통-2 113; 파배16.6 9; 파06 2/1 19; 파05 6/15 19-20; 파92 1/15 11-12;

    파77 451; 파76 483

마태복음 23:38

  • 보십시오!: 마 1:23 연구 노트 참조.

    집: 성전을 가리킨다.

    버림받을: 일부 고대 사본에는 “황폐한”에 해당하는 단어가 들어 있어 “황폐된 채로 당신들에게 남겨질”이라고 번역할 수도 있다.

상호 참조 성구

  • +왕상 9:7, 8; 렘 12:7; 22:5; 마 21:43; 눅 21:20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파수대」

    1996/7/1, 13면

    「깨어라!」

    1993/8/15, 13면

  • 출판물 색인

    파96 7/1 13; 깨93 8/15 13;

    파81 12/1 16; 파76 259

마태복음 23:39

  • 여호와: 이 구절에서 인용한 시 118:26의 히브리어 원문에는 네 개의 히브리어 자음으로 표기된 하느님의 이름(יהוה, 로마자로 음역하면 YHWH)이 나온다.—부록 다 참조.

상호 참조 성구

  • +시 118:26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예수—길」 254면

    「파수대」

    1990/3/1, 24면

  • 출판물 색인

    예길 254; 역 제110장; 파90 3/1 24;

    파76 259

다른 번역판

절의 번호를 누르면 해당 구절을 다른 번역판으로 볼 수 있습니다.

평행 기록

마태 23:6막 12:38, 39; 눅 20:46

인용

마태 23:39시 118:26

일반

마태 23:3말 2:7, 8; 마 15:3, 6
마태 23:4마 11:28
마태 23:4눅 11:46
마태 23:5마 6:1, 2
마태 23:5신 6:6, 8
마태 23:5민 15:38, 39
마태 23:6눅 11:43; 14:7, 10
마태 23:8요 13:13
마태 23:9마 6:9
마태 23:10벧전 5:2, 3
마태 23:11마 20:26; 막 9:35; 10:43, 44; 눅 9:48; 22:26
마태 23:12잠 16:18
마태 23:12잠 15:33; 29:23; 마 18:4; 눅 14:11; 18:13, 14; 롬 12:3; 엡 4:1, 2; 벧전 5:5
마태 23:13눅 11:52
마태 23:15마 6:2; 눅 12:56
마태 23:16마 15:14
마태 23:16마 5:34, 35
마태 23:18마 5:23, 24
마태 23:21왕상 8:13; 시 11:4; 26:8; 132:13, 14
마태 23:22마 5:34, 35
마태 23:23레 27:30
마태 23:23미 6:8; 요 7:24
마태 23:23마 9:13; 12:7
마태 23:23눅 11:42
마태 23:24마 15:14
마태 23:24레 11:23
마태 23:24레 11:4
마태 23:25막 7:3, 4
마태 23:25막 12:38, 40
마태 23:25눅 11:39
마태 23:27눅 12:56
마태 23:27눅 11:44; 행 23:3
마태 23:28눅 16:15
마태 23:29마 6:2
마태 23:29눅 11:47
마태 23:31눅 11:48; 행 7:52; 히 11:32, 37
마태 23:33마 3:7; 12:34; 눅 3:7
마태 23:33마 10:28; 눅 12:5
마태 23:34눅 11:49-51
마태 23:34마 13:52
마태 23:34요 16:2; 행 7:59
마태 23:34마 10:17; 행 5:40; 고후 11:24
마태 23:34눅 21:12
마태 23:35창 4:8, 10; 히 11:4
마태 23:35대하 24:20-22
마태 23:37요 8:59; 살전 2:14-16; 히 11:32, 37
마태 23:37눅 13:34; 19:41, 42
마태 23:38왕상 9:7, 8; 렘 12:7; 22:5; 마 21:43; 눅 21:20
  • 신세계역 성경 (연구용)
  • 다음 번역판으로 보기: 신세계역 (신세)
  • 다음 번역판으로 보기: 신세계역 (성12)
  • 다음 번역판으로 보기: 개역한글판 (개역)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신세계역 성경 (연구용)
마태복음 23:1-39

마태복음

23 그때에 예수께서 무리와 제자들에게 이렇게 말씀하셨다. 2 “서기관과 바리새인은 모세의 자리에 앉아 있습니다. 3 그러므로 그들이 여러분에게 말하는 것은 모두 행하고 지키십시오. 그러나 그들의 행위는 따라 하지 마십시오. 그들은 말만 하고 행하지는 않기 때문입니다.+ 4 그들은 무거운 짐을 묶어 사람들의 어깨에 지우면서도,+ 자기들은 손가락 하나 까딱하려고 하지 않습니다.+ 5 그들이 하는 일은 다 사람들에게 보이려고 하는 것입니다.+ 그들은 자기들이 부적처럼 차고 다니는 성구 갑을 크게 하며+ 옷 술을 길게 합니다.+ 6 만찬에서는 윗자리에, 회당에서는 앞자리에 앉기를 좋아합니다.+ 7 그리고 장터에서 인사를 받는 것과 사람들에게 랍비라고 불리는 것을 좋아합니다. 8 그러나 여러분은 랍비라고 불리지 마십시오. 여러분의 선생은 오직 하나이며+ 여러분은 모두 형제입니다. 9 또 땅에 있는 그 누구도 아버지라고 부르지 마십시오. 여러분의 아버지는 오직 한 분,+ 하늘에 계신 분입니다. 10 또한 지도자라고 불리지 마십시오. 여러분의 지도자는 오직 그리스도뿐입니다.+ 11 여러분 중에 가장 큰사람은 여러분을 섬기는 사람이 되어야 합니다.+ 12 누구든지 자기를 높이는 사람은 낮추어지고,+ 자기를 낮추는 사람은 높여질 것입니다.+

13 서기관과 바리새인, 위선자들이여, 당신들에게 화가 있습니다! 당신들은 사람들 앞에서 하늘 왕국을 닫아 버리기 때문입니다. 당신들 자신도 들어가지 않고, 들어가려는 사람도 들어가지 못하게 하고 있습니다.+ 14 ——

15 서기관과 바리새인, 위선자들이여,+ 당신들에게 화가 있습니다! 당신들은 개종자 하나를 만들려고 바다와 육지를 두루 다니다가 개종자가 생기면, 그를 당신들보다 배나 더 게헨나에 들어갈 사람으로 만들기 때문입니다.

16 눈먼 인도자들이여,+ 당신들에게 화가 있습니다. 당신들은 ‘성전을 두고 맹세하면 지키지 않아도 되지만, 성전의 금을 두고 맹세하면 지켜야 한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17 어리석고 눈먼 사람들이여! 사실 어느 것이 더 중요합니까? 금입니까, 아니면 그 금을 거룩하게 하는 성전입니까? 18 또 당신들은 ‘제단을 두고+ 맹세하면 지키지 않아도 되지만, 그 위에 있는 예물을 두고 맹세하면 지켜야 한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19 눈먼 사람들이여! 사실 어느 것이 더 중요합니까? 예물입니까, 아니면 그 예물을 거룩하게 하는 제단입니까? 20 그러므로 제단을 두고 맹세하는 사람은 제단과 그 위에 있는 모든 것을 두고 맹세하는 것이고, 21 성전을 두고 맹세하는 사람은 성전과 거기에 거하시는 분을 두고 맹세하는 것이며,+ 22 하늘을 두고 맹세하는 사람은 하느님의 왕좌와 그 위에 앉아 계신 분을 두고 맹세하는 것입니다.+

23 서기관과 바리새인, 위선자들이여, 당신들에게 화가 있습니다! 당신들은 박하와 딜과 쿠민의 10분의 1은+ 바치면서도, 율법의 더 중요한* 것, 곧 공의와+ 자비와+ 충실*은 등한시해 왔기 때문입니다. 그런 것들도 행해야 하지만 다른 것들도 등한시하지 말아야 했습니다.+ 24 눈먼 인도자들이여,+ 당신들은 작은 벌레는+ 걸러 내면서 낙타는+ 삼키고 있습니다!

25 서기관과 바리새인, 위선자들이여, 당신들에게 화가 있습니다! 당신들은 잔과 접시의 겉은 깨끗이 하지만,+ 그 속에는 탐욕*과+ 탐닉이 가득하기 때문입니다.+ 26 눈먼 바리새인이여, 먼저 잔과 접시의 속을 깨끗이 하십시오. 그러면 겉도 깨끗해질 것입니다.

27 서기관과 바리새인, 위선자들이여,+ 당신들에게 화가 있습니다! 당신들은 겉은 아름다워 보이지만 속에는 죽은 사람들의 뼈와 온갖 더러운 것이 가득한 회칠한 무덤과+ 같기 때문입니다. 28 그처럼 당신들도 겉으로는 사람들에게 의로워 보이지만 속에는 위선과 불법이 가득합니다.+

29 서기관과 바리새인, 위선자들이여,+ 당신들에게 화가 있습니다! 당신들은 예언자들의 무덤을 만들고 의로운 사람들의 무덤을 꾸미면서+ 30 ‘우리가 조상들의 시대에 살았다면, 예언자들의 피를 흘리는 일에 조상들과 함께 참여하지 않았을 것이다’라고 말하기 때문입니다. 31 그러므로 당신들은 예언자들을 살해한 자들의 자손이라는 것을 스스로 증언하고 있습니다.+ 32 그러니 당신들의 조상들이 시작한 일을 마저 끝내십시오.

33 뱀들이여, 독사의 자식들이여,+ 당신들이 어떻게 게헨나의+ 심판을 피하겠습니까? 34 이 때문에 내가 당신들에게 예언자들과+ 지혜로운 사람들과 강사들을+ 보내는 것입니다. 당신들은 그들 중에 얼마는 죽이고+ 기둥에 달아 처형할 것이며, 또 얼마는 회당에서 채찍질하고+ 이 도시 저 도시로 다니며 박해할+ 것입니다. 35 그리하여 의로운 아벨의 피로부터+ 당신들이 신성한 곳과 제단 사이에서 살해한 바라갸의 아들 스가랴의 피에 이르기까지,+ 땅에서 흘려진 모든 의로운 피가 당신들에게 돌아갈 것입니다. 36 진실로 당신들에게 말하는데, 이 모든 일이 이 세대에게 닥칠 것입니다.

37 예루살렘아, 예루살렘아, 예언자들을 죽이고 자기에게 보내진 이들을 돌로 치는 자야,+ 암탉이 제 병아리들을 날개 아래 모으듯이 내가 얼마나 자주 너의 자녀를 모으려 했던가! 그러나 당신들은 원하지 않았습니다.+ 38 보십시오! 당신들의 집이 버림받을 것입니다.+ 39 내가 말하는데, 당신들이 ‘여호와의 이름으로 오시는 이는 축복받으신 분!’+ 하고 말할 때까지, 이제부터 당신들은 결코 나를 보지 못할 것입니다.”

한국어 워치 타워 출판물 (1958-2025)
로그아웃
로그인
  • 한국어
  • 공유
  • 설정
  • Copyright © 2025 Watch Tower Bible and Tract Society of Pennsylvania
  • 이용 약관
  • 개인 정보 보호 정책
  • 개인 정보 설정
  • JW.ORG
  • 로그인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