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한국어
  • 성경
  • 출판물
  • 집회
  • 통-1 “고산”
  • 고산

관련 동영상이 없습니다.

죄송합니다. 동영상을 불러오지 못했습니다.

  • 고산
  • 성경 통찰, 제1권
  • 비슷한 자료
  • 하볼
    성경 통찰, 제2권
  • 하라
    성경 통찰, 제2권
  • 레젭
    성경 통찰, 제1권
  • 델-아살
    성경 통찰, 제1권
더 보기
성경 통찰, 제1권
통-1 “고산”

고산

(Gozan)

한 장소와 한 강에 붙여진 것으로 보이는 이름. 열왕기 둘째 19:12과 이사야 37:12에 나오는 고산은 일개 도시보다 더 큰 범위의 지역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그 주민이 아시리아 사람들에게 정복된 “나라들” 가운데 언급되어 있기 때문이다. 많은 학자들은 아마도 단어의 유사성을 근거로, 고산이 가우자니티스에 해당할 것이라고 생각하는데, 가우자니티스는 프톨레마이오스에 의해 언급된 메소포타미아의 한 지역이며 또한 아시리아의 기록들에서 언급하는 “구자나”와 동일한 곳으로 여겨지는 지역이다. 고대의 구자나는 일반적으로 갈릴리 바다에서 동북동쪽으로 590킬로미터쯤 떨어진, 하부르 강 상류에 있는 현대의 텔할라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열왕기 둘째 17:6과 18:11에서, 일부 번역판들은 “고산 강가에 있는 하볼”(「신세」, Yg)이라는 표현 대신 “고산의 강 곧 하볼”(AS, RS)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여 이 성구들에 나오는 고산을 하나의 장소로 이해하게 한다. 하지만 “고산의 강 곧 하볼”이라는 번역 표현은 역대기 첫째 5:26과 일치하지 않는다. 이 구절에서 하볼은 할라와 하라 사이에 언급되어 있고, 하볼이 아니라 하라가 고산 앞에 언급되어 있다. 이 점은 하볼과 “고산의 강”(AS)이 같지 않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고산을 일관되게 하나의 장소로 간주하는 사람들은 어쩔 수 없이 역대기에 언급된 내용을 배척하게 된다. 하지만 히브리어에서는 이 세 구절 모두 “고산 강”으로 일관성 있게 번역할 수 있으며, 따라서 아시리아 왕이 유배된 북쪽 왕국의 이스라엘 사람들 일부를 정착시킨 장소가 고산이라고 불리는 강 근처였다고 생각하는 것은 타당하다. “고산 강”일 것으로 제시되고 있는 곳은 이란 북서부의 케젤오우잔 강이다. 그 강은 우르미아 호(湖)의 남동쪽에 있는 산맥(이 산맥은 메디아 사람들의 땅이었던 곳에 있음)에서 발원하여 결국 세피드루드 즉 백강(白江, 그 강의 하류에 붙여진 이름)이 되어 카스피 해 남서부로 흘러 들어간다. 그런가 하면 고산이 메소포타미아에 있는 강이라는 견해도 있다.

    한국어 워치 타워 출판물 (1958-2025)
    로그아웃
    로그인
    • 한국어
    • 공유
    • 설정
    • Copyright © 2025 Watch Tower Bible and Tract Society of Pennsylvania
    • 이용 약관
    • 개인 정보 보호 정책
    • 개인 정보 설정
    • JW.ORG
    • 로그인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