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권 전도 학교 복습
다음 문제들은 2014년 8월 25일로 시작하는 주의 신권 전도 학교에서 검토할 것입니다.
레위기 18:3은 옳고 그름에 대한 뒤틀린 감각을 갖게 되는 일을 피하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될 수 있습니까? (에베소 4:17-19) [7월 7일, 「파02」 2/1 29면 4항]
레위기 19:2에 나오는 명령에서 무엇을 배울 수 있으며, 그 명령을 지키기 위해 힘써야 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7월 7일, 「파09」 7/1 9면 5항]
고대의 이삭줍기에 관한 법에 깃들여 있는 원칙은 오늘날 우리에게 어떤 교훈을 줍니까? (레위 19:9, 10) [7월 7일, 「파06」 6/15 22-23면 13항]
“눈은 눈으로”라는 법이 개인의 보복 행위를 권장한 것이 아니라고 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레위 24:19, 20) [7월 14일, 「파09」 9/1 22면 3-4항]
어떤 상황에서는 이스라엘 사람이 자신이 빌려 준 돈에 대해 이자를 부과하는 것이 그릇된 일이었으며, 하지만 어떤 경우에는 이자를 부과하는 것이 허용되었습니까? (레위 25:35-37) [7월 21일, 「파04」 5/15 24면 3항]
이스라엘의 지파는 실제로 열세 개였는데 일반적으로 열두 지파로 언급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민수 1:49, 50) [7월 28일, 「파08」 7/1 21면]
연로한 사람들을 배려하는 일과 관련하여, 민수기 8:25, 26에 나오는 레위 사람들의 의무 봉사에 관한 기록에서 어떤 교훈을 얻을 수 있습니까? [8월 11일, 「파04」 8/1 25면 1항]
이스라엘 사람들이 기적에 의해 이집트에서 탈출한 뒤에 불평하는 영을 갖게 된 이유는 무엇이며, 그 기록을 통해 어떤 중요한 교훈을 얻을 수 있습니까? (민수 11:4-6) [8월 18일, 「파95」 3/1 15-16면 10항]
엘닷과 메닷이 예언자로 행동하기 시작했을 때 모세가 나타낸 반응에서 무엇을 배울 수 있습니까? (민수 11:27-29) [8월 18일, 「파04」 8/1 26면 4항]
이스라엘 사람들에게 ‘자신을 위하여 옷자락 끝에 술을 달라’고 한 명령에서 어떤 중요한 원칙을 배울 수 있습니까? (민수 15:37-39) [8월 25일, 「파04」 8/1 26면 7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