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권 전도 학교 복습
다음 질문들은 2015년 12월 28일로 시작하는 주의 신권 전도 학교에서 검토할 것입니다. 각각의 요점이 다루어지도록 계획된 주간이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매주 학교를 예습하면서 이 내용을 연구·조사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일부 사람들이 역대기상 20:3을 근거로 결론짓는 것처럼, 다윗은 포로들을 잔혹하게 대했습니까? [11월 2일, 「파05」 2/15 27면]
다윗이 관대한 영을 나타낸 이유는 무엇이었으며, 우리도 그렇게 하는 데 무엇이 도움이 됩니까? (역대기상 22:5) [11월 9일, 「파05」 10/1 11면 7항]
다윗은 무슨 의미로 솔로몬에게 “네 아버지의 하느님을 알아라” 하고 말했습니까? (역대기상 28:9) [11월 16일, 「파10」 11/1 30면 3, 7항]
역대기하 1:10에 나오는 솔로몬의 요청을 보면 그에 대해 무엇을 알 수 있으며, 우리는 여호와께 개인적으로 드리는 기도를 분석해 봄으로 무엇을 알게 될 수 있습니까? (역대기하 1:11, 12) [11월 23일, 「파05」 12/1 19면 6항]
역대기하 6:29, 30에 따르면 여호와께서는 어떤 독특한 능력을 가지고 계시며, 우리는 왜 그분께 기도로 속마음을 털어놓아야 합니까? (시 55:22) [11월 30일, 「파10」 12/1 11면 7항]
아사는 무엇을 근거로 매우 큰 군대와 싸워 승리할 수 있게 해 달라고 기도했으며, 우리는 영적 전쟁에 대해 어떤 점을 확신할 수 있습니까? (역대기하 14:11) [12월 7일, 「파12」 8/15 8면 6항–9면 1항]
여호와께서 실수를 범한 여호사밧 왕을 대하신 방식은 어떻게 하느님의 사랑을 확증해 주며, 이 사실은 우리가 다른 사람들을 보는 방식에 어떤 영향을 미쳐야 합니까? (역대기하 19:3) [12월 14일, 「파03」 7/1 17면 13항; 「까」 244면 12항]
오늘날 우리는 왜 그리고 어떻게 “자리를 잡고 그대로 서” 있어야 합니까? (역대기하 20:17) [12월 21일, 「파05」 12/1 21면 3항; 「파03」 6/1 21면 15-16항]
여호람의 죽음에 관한 역대기하 21:20의 내용을 보면 진지하게 고려해 보아야 할 어떤 교훈을 발견할 수 있습니까? [12월 21일, 「파98」 11/15 32면 4항]
역대기하 26:5에 따르면 누가 어린 웃시야에게 좋은 영향을 미쳤으며, 오늘날 청소년들은 회중에 있는 장성한 그리스도인에게서 어떻게 유익을 얻을 수 있습니까? [12월 28일, 「파07」 12/15 10면 2, 4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