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한국어
  • 성경
  • 출판물
  • 집회
  • 로마서 6
  • 신세계역 성경 (연구용)

관련 동영상이 없습니다.

죄송합니다. 동영상을 불러오지 못했습니다.

로마서 개요

    • 나. 의는 하느님의 과분한 친절과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을 통해 얻게 되는 것이다 (1:16–11:36)

      • 1. 믿음은 구원에 필수적이다 (1:16, 17)

        • “의로운 사람은 믿음으로 인해 살 것이다” (1:16, 17)

      • 2. 모든 불경건과 불의에 대한 하느님의 진노 (1:18-32)

        • 사람들은 창조주이신 하느님께 영광을 돌리지 않는 것에 대해 변명할 수 없다 (1:18-23)

        • 하느님께서는 불경건한 사람들을 더러움에 내주셨다 (1:24-27)

        • 하느님을 인정하지 않을 때 오게 되는 결과 (1:28-32)

      • 3. 유대인과 그리스인에 대한 하느님의 심판 (2:1-16)

        • 남을 판단하는 것에 대한 경고. 하느님께서는 모든 사람을 공정하게 심판하실 것이다 (2:1-11)

        • 율법 아래 있지만 불순종하는 사람들은 율법에 의해 심판을 받을 것이다 (2:12, 13)

        • 이방 사람들도 그들의 마음에 기록된 율법 즉 양심을 가지고 있다 (2:14-16)

      • 4. 유대인과 율법 (2:17–3:8)

        • 율법을 따른다고 주장하면서 율법을 어기는 사람은 하느님께 불명예를 돌리는 것이다 (2:17-24)

        • 진정한 할례는 내면의 할례이다. 마음의 할례를 받은 사람이 진정한 유대인이다 (2:25-29)

        • 유대인들은 하느님의 신성한 선언을 맡았다 (3:1, 2)

        • “사람은 다 거짓말쟁이라 해도, 하느님은 참되시다는 것이 드러날 것입니다” (3:3-8)

      • 5. 하느님의 의는 율법과 상관없이 나타났다 (3:9-31)

        • 유대인이든 이방인이든 모든 인류가 죄 아래 있다 (3:9-18)

        • 율법의 행위로는 어떤 사람도 의롭다고 인정받지 못할 것이다 (3:19, 20)

        • 그리스도에게 믿음을 나타내는 모든 부류의 사람이 의롭다고 인정받는다. 그것은 하느님께서 값없이 주시는 선물이다 (3:21-28)

        • 하느님은 유대인만의 하느님이 아니라 이방 사람들의 하느님이시기도 하다 (3:29-31)

      • 6. 아브라함은 율법이 주어지기 전에 믿음을 통해 의롭다고 인정받았다 (4:1-25)

        • 아브라함은 아직 할례를 받지 않은 때에 믿음을 통해 의롭다고 여겨졌다 (4:1-12)

        • 아브라함은 믿음에 의한 의를 통해 약속을 받았다 (4:13-15)

        • 그 약속은 아브라함의 믿음에 고착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확실한 것이 되었다 (4:16-25)

      • 7. 하느님과 화해하게 되다. 아담을 통해 죽음이 들어오고, 그리스도를 통해 생명에 이르다 (5:1-21)

        • 믿음으로 의롭다고 인정받으면 하느님과 평화를 누리게 되고 기쁨과 희망을 갖게 된다 (5:1-5)

        • 죄인이자 적이었지만 하느님과 화해하게 되다 (5:6-11)

        • 아담의 죄로 인해 죽음이 모든 사람에게 퍼지고 왕 노릇을 하게 되다 (5:12-14)

        • 하느님께서 그리스도를 통해 주시는 선물은 의롭다는 인정을 가져온다 (5:15-17)

        • 죄가 아니라 과분한 친절이 왕으로 다스리게 되었다 (5:18-21)

      • 8. 그리스도 안으로 침례를 받아 새로운 생명을 얻게 되다 (6:1-23)

        • 그리스도 안으로 침례를 받은 사람들은 그분의 죽음 안으로 침례를 받아 그분과 같은 부활을 받을 희망을 갖게 된다 (6:1-11)

        • ‘죄가 여러분의 몸 안에서 다스리는 일이 없게 하십시오’ (6:12-14)

        • 죄의 종이었다가 하느님의 종이 되다 (6:15-23)

      • 9. 율법의 목적이 달성되다. 모든 사람에게 죽음을 가져오는 죄의 힘 (7:1-25)

        • 율법에서 풀려나는 것에 대한 비유적 설명 (7:1-6)

        • 율법을 통해 죄를 알게 되다 (7:7-12)

        • 죄와의 싸움 (7:13-25)

      • 10. 그리스도 안에 있는 사람들이 갖게 되는 의로운 신분 (8:1-39)

        • 영을 따라 걸으면 하느님을 기쁘시게 하고 생명과 평화를 누리게 된다 (8:1-11)

        • 하느님의 아들로 입양되었다는 것을 하느님의 영이 증언한다 (8:12-17)

        • 인류는 하느님의 아들들이 나타나기를 간절히 기다린다 (8:18-21)

        • 피조물이 현재 신음하며 고통받고 있다 (8:22-25)

        • 영이 거룩한 자들을 위해 하느님께 탄원한다 (8:26, 27)

        • 하느님께서는 자신을 사랑하는 사람들을 위해 자신의 모든 일이 서로 협력하게 하신다 (8:28-30)

        • “하느님께서 우리를 위하신다면 누가 우리를 대적하겠습니까?” (8:31-34)

        • 어떤 것도 의로운 사람들을 하느님의 사랑에서 갈라놓을 수 없다 (8:35-39)

      • 11. 누구도 거스를 수 없는 하느님의 뜻과 육적 이스라엘 (9:1-33)

        • 바울이 자신의 친족인 이스라엘 사람들을 두고 슬퍼하다 (9:1-5)

        • 아브라함의 참자손 (9:6-13)

        • 하느님의 선택은 사람의 바람이나 노력에 달려 있지 않다 (9:14-18)

        • 도공이신 하느님의 선택에 이의를 제기하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다 (9:19-26)

        • 육적 이스라엘의 남은 자만이 구원을 받을 것이다 (9:27-29)

        • 이스라엘은 믿음을 나타내지 않음으로 걸려 넘어졌다 (9:30-33)

      • 12. 하느님 앞에서 의로운 신분을 얻는 방법 (10:1-21)

        • 그리스도는 율법의 마침이 되셨다 (10:1-4)

        • 믿음에서 오는 의. 구원을 위한 공개적 선언 (10:5-10)

        • 유대인이든 그리스인이든 구원을 받으려면 여호와의 이름을 불러야 한다 (10:11-13)

        • 사람들이 여호와에 대해 듣고 그분을 믿고 그분을 부르려면 전파하는 사람이 있어야 한다 (10:14, 15)

        • 육적 이스라엘이 좋은 소식을 배척한 것은 그 소식을 들을 기회가 없어서가 아니라 믿음이 없기 때문이었다 (10:16-21)

      • 13. 온 이스라엘이 어떻게 구원을 받게 되는지 알려 주는 올리브나무의 비유 (11:1-36)

        • 육적 이스라엘이 버림을 받지만 전부는 아니다 (11:1-16)

        • 본래의 가지들인 이스라엘인들 중 일부가 믿음을 나타내지 않기 때문에 잘려 나가고 “야생” 가지들인 비이스라엘인들이 접붙여지다 (11:17-24)

        • 어떻게 영적 이스라엘 전체가 구원을 받게 되는지가 신성한 비밀을 통해 밝혀지다 (11:25-32)

        • “오, 하느님의 부와 지혜와 지식은 참으로 깊습니다!” (11:33-36)

로마서 6:1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성경 구절 이해하기」 기사 42

    「파수대」

    1997/9/1, 15면

  • 출판물 색인

    웹성해 기사 42; 파97 9/1 15

로마서 6:2

상호 참조 성구

  • +벧전 2:24
  • +히 10:26, 27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2권 845면

    「파수대」 (연구용)

    2016/12, 10면

  • 출판물 색인

    통-2 845; 파16.12 10

로마서 6:3

  • 그리스도 예수 안으로 침례를 받은: 예수께서 물침례를 받으셨을 때, 하느님께서는 예수에게 성령으로 기름부으심으로 그분이 그리스도 즉 기름부음받은 자가 되게 하셨다. (행 10:38) 또한 예수께서는 기름부음받으셨을 때 영적인 의미에서 하느님의 아들로 출생하게 되셨다. (마 3:17 연구 노트 참조) 하느님께서 예수에게 성령으로 침례를 베푸신 뒤로, 그분의 제자들도 성령으로 침례를 받을 수 있게 되었다. (마 3:11; 행 1:5) 예수와 마찬가지로 영으로 출생한 하느님의 아들이 되는 사람들은 “그리스도 예수 안으로 침례를 받아야” 즉 기름부음받은 예수 안으로 침례를 받아야 했다. 여호와께서 그리스도의 제자들을 성령으로 기름부으시면 그들은 예수와 연합하게 되고 머리이신 그리스도 아래 그분의 몸을 이루는 회중의 성원들이 된다. (고전 12:12, 13, 27; 골 1:18) 그리스도 예수 안으로 침례를 받은 그 제자들은 또한 “그분의 죽음 안으로 침례를 받는다.”—이 구절에 나오는 그분의 죽음 안으로 침례를 받았다에 대한 연구 노트 참조.

    그분의 죽음 안으로 침례를 받았다: 또는 “그분의 죽음 안으로 잠겼다”. 여기서 바울은 그리스어 밥티조(담그다; 잠기게 하다)를 사용했다. 기원 29년에 예수께서 물침례를 받으셨을 때, 막 10:38에 언급된 또 다른 종류의 침례 즉 그분의 희생적인 행로가 시작되었다. (연구 노트 참조) 이 침례는 그분이 봉사를 하시는 기간 내내 계속되었다. 그리고 그분이 기원 33년 니산월 14일에 처형되시고 3일 뒤에 죽은 사람들 가운데서 일으켜지셨을 때 완료되었다. 예수께서는 이 침례를 언급하실 때, 그분의 제자들도 “[그분이] 받는 침례”를 받을 것이라는 점을 알려 주셨다. (막 10:39) 그리스도의 몸을 이루는 영으로 기름부음받은 자들이 “[예수의] 죽음 안으로 침례를 받는다”는 것은 예수와 마찬가지로 희생적인 삶을 산다는 의미이다. 그 희생적인 삶에는 땅에서 영원히 살 희망을 완전히 포기하는 것이 포함된다. 이 침례는 그들이 시험을 받으면서도 충절을 지키는 인생행로 전체에 걸쳐 계속된다. 그리고 그들이 사망한 뒤 영적 피조물로 부활될 때 완료된다.—롬 6:4, 5.

상호 참조 성구

  • +고전 12:13; 갈 3:27
  • +막 10:38, 39; 눅 12:50; 고전 15:29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성경 질문과 대답」 기사 110

    「파수대」 (연구용)

    2020/12, 14면

    「통찰」 제2권 976-977면

    「파수대」

    2008/6/15, 29-30면

    2006/2/15, 23-24면

  • 출판물 색인

    웹성대 기사 110; 파20.12 14; 통-2 976-977; 파08 6/15 29-30; 파06 2/15 23-24;

    숭 98; 파76 140

로마서 6:4

상호 참조 성구

  • +골 2:12
  • +골 3:10; 요1 3:14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2권 976-977면

  • 출판물 색인

    통-2 976-977;

    파77 389; 파73 163

로마서 6:5

  • 그분과 연합하게 되었다면: 직역하면 “함께 심겼다면”. 여기서 그리스어 심피토스는 동일하거나 비슷한 경험을 통해 연관을 맺는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일부 학자들은 이것이 가지가 나무에 접붙여져 함께 자라는 것을 연상시키는 표현이라고 생각한다.

상호 참조 성구

  • +고후 4:10; 빌 3:10
  • +고전 15:42, 49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파수대」 (연구용)

    2020/12, 6면

  • 출판물 색인

    파20.12 6;

    령 139; 파75 475; 파74 165; 파73 163

로마서 6:6

  • 우리의 옛 인간성: 또는 “우리의 옛 자아; 예전의 우리”. 직역하면 “우리의 옛 사람”. 그리스어 안트로포스는 기본적으로 남자든 여자든 “사람”을 가리킨다.

    그분과 함께 기둥에 못 박힌: 복음서에서 그리스어 동사 신스타우로오는 문자적으로 예수와 함께 처형된 사람들을 가리키는 데 사용되었다. (마 27:44; 막 15:32; 요 19:32) 바울이 자신의 편지들에서 예수께서 기둥에 달려 처형되신 일을 여러 차례 언급한 것은 사실이다. (고전 1:13, 23; 2:2; 고후 13:4) 하지만 이 구절에서 바울은 이 그리스어를 비유적인 의미로 사용한다. 그는 그리스도인들이 처형되신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을 통해 자신들의 옛 인간성을 죽였다고 설명한다. 바울은 갈라디아서에서도 이 단어를 비슷한 의미로 사용하여 “나는 그리스도와 함께 기둥에 못 박혀 있습니다”라고 썼다.—갈 2:20.

각주

  • *

    또는 “죄에 속한 우리의 몸”.

상호 참조 성구

  • +갈 5:24
  • +골 2:11; 3:5
  • +고후 7:1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파수대」 (연구용)

    2022/3, 6면

  • 출판물 색인

    파22.03 6;

    파79 1 14; 파73 402

로마서 6:7

  • 죄에서 해방된: 또는 “죄에서 놓인; 죄를 용서받은”. 직역하면 “죄에서 의롭다고 인정받은”. 여기 사용된 그리스어 디카이오오는 주로 “의롭다고 인정하다”로 번역된다. 문맥을 보면 바울이 당시 살아 있던, 영으로 기름부음받은 그리스도인들에 대해 말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그들은 그리스도 예수 안으로 침례를 받았으며 하늘 생명을 누릴 확실한 전망을 갖고 있었다. 하지만 성령으로 기름부음받아 영으로 출생한 하느님의 아들들로 받아들여지기 위해서는, 비유적으로 말해 불완전한 인간으로서 이전에 걷던 인생행로에 대해 죽고 하느님께 죄를 용서받아야 했다. 그래야만 완전하다고 인정받을 수 있었다. 바울은 기름부음받은 그리스도인들에 관해 그러한 점을 논하면서 한 가지 기본적인 진리를 언급한다. 그는 아담의 죄에 대한 처벌이 죽음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다. (창 2:17) 그 점을 근거로 그는 사람이 죽으면 죄에 대한 처벌을 온전히 받은 것이므로 죽은 사람은 죄에서 해방된 것이라고 말한 것이다. 롬 6:23에서 바울은 “죄의 대가는 죽음”이라고 말한다. 그러므로 사람이 죽으면 그의 죄의 기록은 그에게 더 이상 불리하게 작용하지 않는다. 그리고 예수의 희생과 그를 부활시키려는 하느님의 목적이 없다면 그는 결코 다시 살지 못할 것이다. 하지만 그렇다 해도 그는 죄에서 해방된 상태일 것이다. 하느님께서 그를 다시 조사해서 처벌을 내리시는 일이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행복한 삶을 영원히 누리십시오!」 제29과

    「통찰」 제1권 1273면

    「파수대」

    2014/6/1, 11면

    1995/11/15, 19면

  • 출판물 색인

    행누 제29과; 통-1 1273; 파14 6/1 11; 파95 11/15 19;

    원 175; 파79 1 14; 깨76 1/22 7; 파75 24, 201; 파73 378

로마서 6:9

상호 참조 성구

  • +행 13:34
  • +딤전 6:16; 계 1:17, 18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1권 938면

  • 출판물 색인

    통-1 938

로마서 6:10

  • 죄에 대해 ··· 죽으신: 죄를 없애기 위해 죽으신 것을 가리킨다.

상호 참조 성구

  • +히 9:28; 벧전 3:18

색인

  • 출판물 색인

    파79 9 14

로마서 6:11

상호 참조 성구

  • +벧전 2:24

색인

  • 출판물 색인

    파79 9 14; 부 90

로마서 6:12

상호 참조 성구

  • +창 4:7; 롬 5:14; 7:23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2권 844면

    「파수대」 (연구용)

    2016/12, 10면

  • 출판물 색인

    통-2 844; 파16.12 10

로마서 6:13

  • 여러분의 몸을 ··· 여러분의 몸도: 또는 “여러분의 몸의 한 부분이라도 ··· 여러분의 몸의 모든 부분을”. 직역하면 “여러분의 지체를 ··· 여러분의 지체도”. 그리스어 멜로스(“사람의 몸의 한 부분”)는 여기서 복수형으로 사용되어 몸 전체를 가리킨다. 바울은 로마서 6장과 7장 전체에서 이 단어를 비슷한 의미로 사용한다. (롬 6:19; 7:5, 23) 롬 12:4에 나오는 “우리가 한 몸에 많은 지체를 가지고 있지만”이라는 표현에도 동일한 단어가 사용되었다.

상호 참조 성구

  • +롬 12:1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하느님의 사랑’」 64-65면

  • 출판물 색인

    랑 64-65;

    파82 2/15 17; 파73 53

로마서 6:14

각주

  • *

    또는 “지배하지 않을 것입니다.”

상호 참조 성구

  • +롬 7:6; 갈 5:18; 골 2:13, 14
  • +요 1:17

색인

  • 출판물 색인

    파82 2/15 17; 깨73 2/22 18-19; 파71 287

로마서 6:15

상호 참조 성구

  • +롬 5:21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성경 구절 이해하기」 기사 42

    「파수대」

    1997/9/1, 15면

  • 출판물 색인

    웹성해 기사 42; 파97 9/1 15

로마서 6:16

  • 종: 바울은 롬 1:1에서 이 단어를 자신을 가리키는 데 사용했다. 하지만 이 문맥에서는 죽음을 가져오는 죄에 복종하는 사람이나 거룩함을 가져오는 의에 복종하는 사람을 가리켜 이 단어를 사용한다. 종이라는 개념을 사용한 바울의 설명은 로마의 그리스도인들에게 잘 와닿았을 것이다. 그들 중 일부는 실제로 종이었을 것이다. 그들은 종이 주인의 명령을 따를 의무가 있다는 점을 알고 있었다. 바울이 사람들에게 친숙한 개념을 사용해서 든 이 단순한 비유는 예수께서 산상 수훈 가운데서 하신 말씀과 비슷하다. 바울의 말은 그들이 어느 주인을 섬길 것인지를 분명히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되었을 것이다.—마 6:24; 롬 6:17-20.

상호 참조 성구

  • +벧후 2:19
  • +롬 6:23
  • +요 8:34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파수대」

    1998/3/15, 15-17면

  • 출판물 색인

    파98 3/15 15-17;

    파74 417; 깨73 8/22 22

로마서 6:17

각주

  • *

    또는 “틀”.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행복한 삶을 영원히 누리십시오!」 제34과

    「파수대」 (연구용)

    2016/12, 11면

    「왕국 봉사」

    2005/9, 8면

    「하느님을 숭배하라」 44-45면

  • 출판물 색인

    파25.02 11; 행누 제34과; 파16.12 11; 사 05/9 8; 한 44-45;

    파78 11 38; 파74 303

로마서 6:18

상호 참조 성구

  • +요 8:31, 32
  • +벧전 2:24

색인

  • 출판물 색인

    파25.02 11

로마서 6:19

  • 자기의 지체를 ··· 여러분의 지체를: 롬 6:13 연구 노트 참조.

    불법의 종으로 내주어 불법에 이른: 그리스어 아노미아에는 법을 어기고 업신여기면서 마치 법이 없는 것처럼 행동한다는 의미가 들어 있다. 성경에서는 이 단어가 하느님의 법을 무시한다는 뜻으로 사용된다. (마 24:12 연구 노트; 마 7:23; 고후 6:14; 살후 2:3-7; 요1 3:4 참조) 이 표현에는 아노미아가 두 번 사용되었다. 첫 번째 나오는 아노미아는 불법을 행하려고 하는 상태를 가리키는 것 같으며, 두 번째 나오는 아노미아는 그로 인한 결과, 즉 불법 행위를 가리키는 것 같다. 이 명사의 복수형이 롬 4:7과 히 10:17에서 “불법 행위”로 번역되었다.

상호 참조 성구

  • +롬 12:1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파수대」

    2005/12/1, 29면

  • 출판물 색인

    파05 12/1 29;

    파75 38; 파73 405

로마서 6:21

상호 참조 성구

  • +롬 8:6; 갈 5:19-21

색인

  • 출판물 색인

    파80 7 43

로마서 6:22

상호 참조 성구

  • +갈 5:22, 23
  • +고전 9:25

로마서 6:23

  • 죄의 대가: 또는 “죄가 지불하는 삯”. 그리스어 옵소니온은 문자적으로 “급료; 봉급”을 의미한다. 눅 3:14(연구 노트 참조)에서는 군사 용어로 사용되어 군인이 받는 급료나 보수를 가리킨다. 이 구절에서는 죄를 비유적인 삯을 지불하는 주인으로 의인화한다. 죄를 짓는 사람은 그 삯 즉 “대가”로 죽음을 ‘번다.’ 죽은 사람은 “대가”를 받은 것이며 그의 죄의 기록은 그에게 더 이상 불리하게 작용하지 않는다. 예수의 대속 희생과 죽은 사람을 부활시키려는 하느님의 목적이 없다면 그는 결코 다시 살지 못할 것이다.

    선물: 또는 “과분한 선물; 은혜로운 선물”. 그리스어 카리스마는 기본적으로, 값없이 주어지는 과분한 선물, 받는 쪽이 받을 만한 노력을 한 것도, 받을 자격이 있는 것도 아닌데 주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 단어와 어근이 같은 카리스는 많은 경우 “과분한 친절”로 번역된다. (용어 설명 “과분한 친절” 참조) 여호와께서 자신의 아들을 대속 희생으로 주심으로 보이신 과분한 친절은 헤아릴 수 없이 귀중한 선물이다. 여호와께서 나타내신 그러한 친절 덕분에 예수의 대속 희생에 믿음을 나타내는 사람들이 영원한 생명이라는 선물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요 3:16. 그리스어 카리스마(“선물”)가 두 번 나오는 롬 5:15, 16 참조.

상호 참조 성구

  • +창 2:17
  • +롬 3:24; 딤전 1:16; 요1 2:1, 2; 유 21
  • +마 25:46; 벧전 1:3, 4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성경 질문과 대답」 기사 66

    「성경 구절 이해하기」 기사 42

    「파수대」

    2015/4/1, 9-10면

    2000/8/15, 13면

    1998/2/15, 24면

  • 출판물 색인

    웹성대 기사 66; 웹성해 기사 42; 파15 4/1 9-10; 파00 8/15 13; 파98 2/15 24;

    숭 37, 149; 파81 3 7; 파79 1 10-11, 14; 깨79 3 43; 파78 12 25; 식 70, 87, 101; 파75 24; 부 31; 파73 395, 523; 깨73 9/8 9; 깨72 3/8 23

다른 번역판

절의 번호를 누르면 해당 구절을 다른 번역판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일반

로마 6:2벧전 2:24
로마 6:2히 10:26, 27
로마 6:3고전 12:13; 갈 3:27
로마 6:3막 10:38, 39; 눅 12:50; 고전 15:29
로마 6:4골 2:12
로마 6:4골 3:10; 요1 3:14
로마 6:5고후 4:10; 빌 3:10
로마 6:5고전 15:42, 49
로마 6:6갈 5:24
로마 6:6골 2:11; 3:5
로마 6:6고후 7:1
로마 6:9행 13:34
로마 6:9딤전 6:16; 계 1:17, 18
로마 6:10히 9:28; 벧전 3:18
로마 6:11벧전 2:24
로마 6:12창 4:7; 롬 5:14; 7:23
로마 6:13롬 12:1
로마 6:14롬 7:6; 갈 5:18; 골 2:13, 14
로마 6:14요 1:17
로마 6:15롬 5:21
로마 6:16벧후 2:19
로마 6:16롬 6:23
로마 6:16요 8:34
로마 6:18요 8:31, 32
로마 6:18벧전 2:24
로마 6:19롬 12:1
로마 6:21롬 8:6; 갈 5:19-21
로마 6:22갈 5:22, 23
로마 6:22고전 9:25
로마 6:23창 2:17
로마 6:23롬 3:24; 딤전 1:16; 요1 2:1, 2; 유 21
로마 6:23마 25:46; 벧전 1:3, 4
  • 신세계역 성경 (연구용)
  • 다음 번역판으로 보기: 신세계역 (신세)
  • 다음 번역판으로 보기: 신세계역 (성12)
  • 다음 번역판으로 보기: 개역한글판 (개역)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신세계역 성경 (연구용)
로마서 6:1-23

로마서

6 그러면 우리가 무엇이라고 말해야 하겠습니까? 과분한 친절을 풍성하게 하려고 우리가 죄 안에 머물러 있어야 하겠습니까? 2 결코 그렇지 않습니다! 우리가 죄에 대해 죽었는데,+ 어떻게 죄 안에서 그대로 살 수 있겠습니까?+ 3 그리스도 예수 안으로 침례를 받은 우리 모두가+ 그분의 죽음 안으로 침례를 받았다는 것을 알지 못합니까?+ 4 그러므로 우리는 그분의 죽음 안으로 침례를 받아 그분과 함께 묻혔습니다.+ 그것은 그리스도께서 아버지의 영광을 통해 죽은 사람들 가운데서 일으켜지신 것과 같이, 우리도 새로운 생명 안에서 걷게 하려는 것입니다.+ 5 우리가 그분의 죽음과 같은 죽음으로 그분과 연합하게 되었다면,+ 또한 확실히 그분의 부활과 같은 부활로 그분과 연합하게 될 것입니다.+ 6 우리의 옛 인간성이 그분과 함께 기둥에 못 박힌 것은+ 우리의 죄 많은 몸*이 힘을 잃게 되어서+ 우리가 더 이상 죄의 종이 되지 않게+ 하려는 것임을 우리는 압니다. 7 죽은 사람은 자기의 죄에서 해방된 것입니다.

8 더욱이 우리가 그리스도와 함께 죽었다면, 또한 그분과 함께 살 것을 믿습니다. 9 그리스도께서는 죽은 사람들 가운데서 일으켜지셨으므로+ 다시는 죽지 않으시며,+ 죽음이 더 이상 그분을 지배하지 못한다는 것을 우리는 압니다. 10 그분이 죽으신 것은 죄에 대해 단 한 번 죽으신 것이지만,+ 그분이 사시는 것은 하느님에 대해 사시는 것입니다. 11 이와 같이 여러분도 죄에 대해서는 죽었지만 하느님에 대해서는 그리스도 예수를 통해 살아 있다고 생각하십시오.+

12 그러므로 죄가 여러분의 죽을 몸 안에서 계속 왕으로 다스려+ 여러분이 몸의 욕망에 순종하는 일이 없도록 하십시오. 13 여러분의 몸을 불의의 무기로 계속 죄에게 내주지 말고, 죽은 자들 가운데서 살아난 사람들로서 여러분 자신을 하느님께 바치고 여러분의 몸도 의의 무기로 하느님께 바치십시오.+ 14 여러분은 율법 아래 있지 않고+ 과분한 친절 아래 있으므로+ 죄가 여러분을 지배해서는 안 됩니다.*

15 그러면 무엇이라고 말해야 합니까? 우리가 율법 아래 있지 않고 과분한 친절 아래 있다고 해서 죄를 지을 것입니까?+ 결코 그렇지 않습니다! 16 여러분이 누군가에게 자기를 종으로 내주어 순종한다면, 여러분이 순종하는 그 사람의 종이 된다는 것을 모릅니까?+ 여러분은 죽음을 가져오는+ 죄의 종이+ 되거나 의를 가져오는 순종의 종이 됩니다. 17 그런데 하느님께 감사하게도, 여러분은 한때 죄의 종이었지만 여러분이 전해 받은 그 가르침의 표준*에 마음으로부터 순종하게 되었습니다. 18 그렇습니다. 여러분은 죄에서 자유롭게 되었으므로+ 의의 종이 된 것입니다.+ 19 여러분의 육체의 약함 때문에 나는 사람이 알아들을 수 있는 방식으로 말합니다. 여러분이 자기의 지체를 더러움과 불법의 종으로 내주어 불법에 이른 것과 같이, 이제 여러분의 지체를 의의 종으로 내주어 거룩함에 이르십시오.+ 20 여러분이 죄의 종이었을 때에는 의에 대해 자유로웠습니다.

21 그러면 그때에 여러분이 맺던 열매는 무엇입니까? 지금은 여러분이 부끄러워하는 것들입니다. 그것들의 결과는 죽음입니다.+ 22 그러나 이제는 죄에서 자유롭게 되어 하느님의 종이 되었으므로, 여러분은 거룩함의 열매를 맺고 있으며+ 그 결과는 영원한 생명입니다.+ 23 죄의 대가는 죽음이지만,+ 하느님께서 주시는 선물은 우리 주 그리스도 예수에 의한+ 영원한 생명입니다.+

한국어 워치 타워 출판물 (1958-2025)
로그아웃
로그인
  • 한국어
  • 공유
  • 설정
  • Copyright © 2025 Watch Tower Bible and Tract Society of Pennsylvania
  • 이용 약관
  • 개인 정보 보호 정책
  • 개인 정보 설정
  • JW.ORG
  • 로그인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