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 아래에서도 많은 일을 수행함
신체가 목 아래로 마비되어, 움직일 수 있는 근육이 단지 목의 근육 뿐인 사람을 상상해 보라. 그런 사람은 자기 연민과 절망에 빠져 죽기만 바랄 것이라고 생각하는가? 그렇지 않으면 유익한 일을 하여 보람있고 행복한 생활을 하면서 자신의 생계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는가? 그러한 신체 장애자 가운데 후자와 같이 해온 사람들이 더러 있다.
예를 들면 ‘캐나다’의 ‘브리티쉬 콜럼비아 뱅쿠버’에 사는 한 사람의 예를 생각해보자. 그는 열 아홉살에 소아마비에 걸려 목 아래로 마비되어 팔 다리를 전혀 쓰지 못하게 되었다. 그는 어떻게 하였는가? 그는 특수 교육을 받아 붓과 조색칼을 입에 물고 그림을 그리는 기술을 배웠다. 그는 앓기 전에 그가 직장을 가졌던 일이 있는 ‘브리티쉬 콜럼비아’ 해안의 풍경을 기억에 의하여 그렸다. 그의 그림은 정부 청사, 병원 및 개인 가정의 장식품이 되고 있으며 현재 그는 또한 ‘뱅쿠버’ 시립 대학교에서 미술을 가르치고 있다.
그는 자기가 가고 싶은 어느 곳에나 가기 위하여 자신과 자기의 ‘휠췌어’를 운반하는 데 사용할 배달차를 살 수 있었다. 잠을 편안히 자기 위하여 그는 병원에서 흔들침대를 사용해야 하는데 그것이 사실상 그의 집이다. 이것은 병원 이외의 장소에서는 어디에서도 잘 수 없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그는 고심한 끝에 흔들침대의 구조를 변경시켜 휴대용으로 다시 꾸몄다. 이제 그는 자기 어머니의 집에서도 잘 수 있다. 또한 상당히 멀리 있는 친척을 방문할 수도 있게 되었다.
그러나 그가 참으로 행복한 사람이 되게 한 것은 하나님의 왕국의 진리와의 접촉이었다. 마침내 그는 하나님께 헌신하고 완전히 물의 침례를 받았다. 그는 ‘휠췌어’와 운반차에 의지하여 정기적으로 여호와의 증인의 집회에 참석할 수 있다. 동료 그리스도인이 왕국회관에서 그에게 성서를 펴 보이고 기타 사용되는 모든 성서 연구 보조물을 펴 보여준다. 그 사람이 해설을 하기를 원할 때는 그 동료가 대신 손을 든다. 그뿐 아니라 그는 정기적으로 회중의 신권 전도 학교에서 연설을 한다. 그는 또한 회중을 대표하여 기도하는 특권을 때때로 가지는 것을 기뻐한다.
그는 매우 큰 장애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기회가 있을 때마다—병원 의사, 친구들과, 자기의 누이와 두 동생을 포함하여 친척들에게—열심히 증거한다. 그의 어머니도 역시 증인이다. 그는 성서에 대하여 더 알고자 하는 사람들을 재방문하고 있으며, 병원 환자의 친구인 또 다른 젊은이와 정기적 성서 연구를 사회한다.
그는 또한 거리에서 잡지 배부에도 참여한다. 기후가 좋을 때 그는 번화한 길 모퉁이에서 행인들의 주의를 끌고 있는데 이것이 그의 기쁨의 원천이다. 그가 좋은 소식을 전하는 또 다른 방법은 편지 쓰는 방법이다. 그는 입에 문 막대기로 ‘타이프’를 친다. 그가 증거하는 또 다른 방법은 어머니의 집을 방문하여 전화하는 것이다.
제약 아래서도 많은 일을 수행한다고? 확실히 이 헌신한 여호와의 그리스도인 증인의 경우는 그러하다. 그는 노력을 요하는 시간 계획을 짰다. 하루에 네 다섯 시간 동안 그림을 그리어 생계를 유지하고 모든 회중 집회에 참석하고 집회를 준비하고 왕국 소식을 다른 사람들에게 전하는 데 온전히 참여한다. 이 모든 것은 그와 교제하는 연합한 사람들에게 진정한 격려의 원천이 되며 충실함과 결단력과 근면의 즐거운 본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