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한국어
  • 성경
  • 출판물
  • 집회
  • 깨93 7/15 3-4면
  • 이혼—서양에 물드는 동양

관련 동영상이 없습니다.

죄송합니다. 동영상을 불러오지 못했습니다.

  • 이혼—서양에 물드는 동양
  • 깨어라!—1993
  • 비슷한 자료
  • 이혼—반드시 피해자가 있게 마련이다
    깨어라!—1991
  • 이혼 폭발
    깨어라!—1992
  • 결혼 생활—많은 사람이 저버리는 이유
    깨어라!—1993
  • 이혼—그로 인한 가슴 아픈 결과
    깨어라!—1992
더 보기
깨어라!—1993
깨93 7/15 3-4면

이혼—서양에 물드는 동양

「깰 때이다」 일본 통신원 기

“저 역시 퇴직하겠어요.” 일본 굴지의 무역 회사의 경영 간부 자리에서 퇴직한 한 사람은 그 말을 듣고 깜짝 놀랐다. 아내가 배우자와 주부 역할에서 퇴직하기를 원한 것이다. 일본에서 이혼율이 치솟고 있는데, 놀랍게도 중년층 이상을 휩쓸고 있다. 50대와 60대 연령층 가운데 이혼 건수가 20년 사이에 세 배로 늘었다. 결혼을 끝내는 것이야말로 더 행복한 인생을 발견하는 마지막 기회가 된 것 같다.

한편 젊은 부부들은 신혼 여행중에 서로 실망한 나머지 나리타 이혼을 하고 만다. 나리타는 도쿄의 국제 공항인데, 나리타 이혼이란 나리타 공항으로 돌아온 신혼 부부가 결혼을 끝내고 서로 헤어지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사실, 일본에서 부부 네다섯 쌍 중 한 쌍이 이혼하려고 한다. 이들은 이혼이 더 행복한 인생으로 들어가는 문이라고 생각한다.

중국의 오래 된 가치관이 여전히 강하게 자리잡고 있는 홍콩에서도 1981년에서 1987년까지 6년 사이에 이혼율이 갑절 이상이나 늘었다. 싱가포르의 경우 이슬람교인 사이에서든 비이슬람교인 사이에서든 1980년과 1988년 사이에 이혼이 거의 70퍼센트나 늘었다.

사실, 동양에서 여성의 견해는 오랫동안 억압받아 왔다. 예를 들어, 옛날 일본에서는 남편이 겨우 “석 줄 반”만 쓴 글을 가지고 아내와 이혼할 수 있었다. 남편은 이혼을 확증하는 글 석 줄 반을 쓴 종이쪽을 아내에게 주기만 하면 되었다. 반면에 아내는 신사(神社)에 가서 숨지 않는 한 이혼이 쉽지 않았다. 신사는 못살게 구는 남편에게서 도망나온 여자에게 성역이 되었다. 아내들은 자기를 부양할 수단이 없었으므로, 애정 없는 결혼 생활과 남편의 혼외 정사까지 견디지 않으면 안 되었다.

오늘날, 직장에 몰두하는 많은 남편은 사실상 가족을 버리는 셈이다. 이런 남편은 회사를 위해 사는 것을 조금도 잘못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이토록 일에 전념하기 때문에, 아내가 필요로 하는 의사 소통을 태만히 하며, 아내는 남편을 위해 집에서 요리하고 청소하고 빨래하는 무보수 하녀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서양 사상이 흘러 들어오자 결혼과 결혼 생활에 대한 동양 여성의 사고 방식이 달라지고 있다. 「아시아 매거진」은 “여성 ‘해방’이야말로 아시아에서 이혼율 증가에 절대적으로 큰 몫을 하는 요소다”라고 지적한다. 싱가포르 상담 보호 센터 책임자 앤소니 예오는 이렇게 말하였다. “여성은 자기 권리를 더 주장하려 들고 여성의 존엄성을 더 의식하게 되었다. 더는 기꺼이 물러나 앉아서 조용히 참으려 하지 않는다. 오늘날의 여성의 경우 선택의 폭은 더 넓어졌으면서도 태만과 학대를 허용하는 폭은 좁아졌다. 그리고 부부간의 행복을 발견할 수 없는 사람들은 실제로 이혼을 선택하고 있다. 특히 이혼을 오점으로 여기는 일이 상당히 없어져서 25년 전의 상태가 아닌 지금 그렇다.”

서구 나라들 역시 지난 사반 세기 동안 상당히 변했다. 새뮤얼 H. 프레스턴은 그런 변화를 “지난 20년 내에 미국 가정을 온통 뒤흔든 지진”이라고 불렀다. 1985년에 18세 미만의 자녀를 둔 모든 가정 중 거의 4분의 1이 홀어버이 가정이었다. 대개 이혼 때문이었다. 예측컨대, 1984년에 태어난 아기 중 60퍼센트는 18세가 되기 전에 홀어버이 가정에서 살게 될 것이다.

결혼 제도가 약해지고 있으므로, 이혼은 과연 더 행복한 인생의 문인가? 대답을 하기에 앞서, 무엇 때문에 사람들이 이혼을 가정 문제의 만병 통치약으로 생각하게 되었는지 살펴보자.

[4면 네모]

“동거 이혼”의 결과

실제 이혼 건수의 저변에는 “잠재” 이혼이 도사리고 있다. 많은 여자가 경제적으로 여전히 남편에게 의존해 있고 남성 지배라는 끈질긴 전통에 속박되어 있는 일본의 경우, “동거 이혼”이라는 상태로 어쩔 수 없이 한 지붕 아래서 사는 부부들이 있다. 그런 상황에서 아내는 자녀 양육에 온 힘을 기울이려고 한다. 이런 어머니는 종종 자녀를 지나치게 보호하여, 자녀가 나중에 자립하는 것을 어렵게 만든다.

그 결과 그런 어머니의 아들들은 자라서 결혼한 뒤 “무접촉 증후군”에 걸리는 수가 많다. 이들은 결코 아내를 사랑스럽게 만져 주지 않으며, 결혼 생활을 한 지 여러 해가 지났는데도 그렇다. 이들은 “엄마에게 응석부리기”라는 문제를 겪으며, 흔히 어머니가 권하기 때문에 결혼하였다. 「아사히 이브닝 뉴스」지에 따르면, 결혼 문제 상담 전문가인 나라바야시 야스시 박사는 지난 10년간 문제가 갈수록 늘고 있으며 수십만에 달하는 남성이 부끄럽기 때문에 조언을 구하기를 꺼린다고 말한다.

    한국어 워치 타워 출판물 (1958-2025)
    로그아웃
    로그인
    • 한국어
    • 공유
    • 설정
    • Copyright © 2025 Watch Tower Bible and Tract Society of Pennsylvania
    • 이용 약관
    • 개인 정보 보호 정책
    • 개인 정보 설정
    • JW.ORG
    • 로그인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