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한국어
  • 성경
  • 출판물
  • 집회
  • 통-1 “브네-야아간”
  • 브네-야아간

관련 동영상이 없습니다.

죄송합니다. 동영상을 불러오지 못했습니다.

  • 브네-야아간
  • 성경 통찰, 제1권
  • 비슷한 자료
  • 브에롯 브네-야아간
    성경 통찰, 제1권
  • 모세라
    성경 통찰, 제1권
  • 호르-학깃갓
    성경 통찰, 제2권
  • 브에롯
    성경 통찰, 제1권
더 보기
성경 통찰, 제1권
통-1 “브네-야아간”

브네-야아간

(Bene-jaakan) [야아간의 아들들]

이스라엘 사람들이 광야 여행을 할 때 머물렀던 곳. (민 33:31, 32) 야아간은 창세기 36:27과 역대기 첫째 1:42에 나오는 아칸(대첫 1:42의 경우 마소라 본문에는 “야아간”으로 되어 있음)인 것 같다. 민수기의 기록에 의하면, 이스라엘 사람들은 “모세롯에서 출발하여 브네-야아간에 진을 쳤다. 그 후에 브네-야아간에서 출발하여 호르-학깃갓에 진을 쳤다.”

신명기 10:6에서는 브에롯 브네-야아간을 “모세라”(모세롯의 단수형)와 관련하여 언급한다. 따라서 브에롯 브네-야아간(“야아간의 아들들의 우물들”이라는 의미)이 브네-야아간과 동일한 장소였을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신명기의 기록은 이스라엘의 여행 방향을 민수기의 기록과 반대되는 순서로 언급하여 “이스라엘 자손은 브에롯 브네-야아간에서 모세라로 출발하였”다고 기술한다. 광야에서 여러 해를 보낸 사실을 고려할 때, 이스라엘 사람들이 이 지방을 두 번 지나갔을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모세 오경과 하프토라」(The Pentateuch and Haftorahs)는 이 구절에 관해 이렇게 설명한다. “그럴 법한 설명을 하자면, 이스라엘 사람들은 남쪽 방향인 에돔 땅으로 여행한 후 북쪽으로 급회전해야 했을 것이다.” (J. 헤르츠 편, 런던, 1972년) 이스라엘 사람들은 발걸음을 얼마간 되돌려 자기들이 지나온 곳들 중 일부를 이번에는 반대의 순서로 다시 가야 했을 것이다. 유의할 만한 것으로서, 신명기의 기록(10:6)은 모세라라는 경유지를 언급한 직후에 아론의 죽음을 언급하지만, 민수기의 기록(33:31-39)은 이스라엘이 에시온-게벨로 갔다가 북서쪽인 가데스로 간 후 아론의 죽음이라는 사건을 대하게 되었다고 기술한다. 이러한 점—그리고 관련된 긴 기간—은 이스라엘 사람들이 한번 왔던 길을 어느 정도 되돌아갔을 것이라는 가정과 잘 부합될 것이다.

브네-야아간(브에롯 브네-야아간)은 일반적으로 가데스-바네아에서 북쪽으로 수 킬로미터 떨어진 한 장소와 동일시되고 있다.—브에롯 브네-야아간 참조.

    한국어 워치 타워 출판물 (1958-2025)
    로그아웃
    로그인
    • 한국어
    • 공유
    • 설정
    • Copyright © 2025 Watch Tower Bible and Tract Society of Pennsylvania
    • 이용 약관
    • 개인 정보 보호 정책
    • 개인 정보 설정
    • JW.ORG
    • 로그인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