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소식을 전함—성서를 사용함
1 예수와 그의 사도들의 전도 봉사에서 참으로 인상적이었던 것 중 하나는 그들이 성귀들을 끊임없이 사용하였다는 사실이다. (요한 7:16; 사도 17:2) 현명하게도, 우리도 그 본에 따르고자 노력한다. 그러나 개인적으로 당신은 원하는 만큼 성서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가? 개인 혹은 가족 연구 외에도, 우리가 성서에 더 익숙해 질 수 있는 어떤 방법이 있는가?
2 그 한가지 방법은 집회 도중에 성서를 더 많이 사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공개 강연 도중 당신은 연사가 말하는 성귀들을 개인적으로 찾아보는가? 만일 당신이 찾아보며 연사가 낭독할 때, 당신도 따라 낭독한다면, 그 성귀들은 당신의 머리에 더 오래 머무는 인상을 남길 것이다. 그리고 만일 당신이 나중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되는 주요 성귀를 다시 찾는 데 도움이 되는 일을 좀 한다면, 당신은 성서를 사용하는 당신의 능력을 발전시킬 수 있다. 어떤 종이 쪽지에 좀 기록해서 당신의 성서에 끼워 두는 것이 도움이 됨을 알게 될지 모른다. 혹은 집회 도중 성귀 절 수에 동그라미를 치거나 혹은 아마 그 성귀의 기본 사상을 전달하는 어떤 주요 단어에 단정히 밑줄을 쳐서 다시 그 성귀를 찾을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3 재방문을 할 때 성서를 사용하기란 어렵지 않다. 당신은 당신의 제공을 다음과 같이 말함으로써 시작할 수 있다. 즉 당신은 집주인이 관심을 가질 흥미있는 점들을 알려 주고자 하며 성서가 가까이에 있는지 질문한다. 당신이 그 사람에게 전한 서적을 낭독하기로 결정할 수 있으며, 낭독하면서 비록 성귀 내용이 그대로 책에 나와 있을지라도 그 성귀들을 함께 찾아볼 수 있다. 처음부터 그렇게 함으로써 서적에 대한 신뢰감을 세워 나아갈 수 있다.
4 만일 집주인이 자기 성서로 성귀를 찾는 방법을 모른다면, 왜 그를 돕지 않겠는가? 성서 책들의 목록을 그에게 보여 주고 장을 표시하는 굵은 글씨와 절을 표시하는 작은 글씨를 사용하는 방법을 알려 주라. 만일 집주인이 성서의 사용을 싫어하거나 혹은 기타 환경으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면, 단순히 제목을 토론하고 성귀들은 말로 설명하라.
5 그러나 집주인이 당신의 제공으로서 대답되지 않은 어떤 점을 질문한다면 어떻게 할 수 있는가? 만일 당신이 그는 그 문제에 관하여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먼저 반문한다면, 그것은 당신으로 적절한 성귀를 찾을 시간을 허용할 것이다. 어떤 전도인들은 「연설 골자」를 그들의 성서 뒤에 붙여두어 질문에 대답할 때 그것을 참조한다. 만일 당신에게 「연설 골자」가 없다면 한권 구입하여 정말로 당신을 돕는지 알아보지 않을 이유는 무엇인가? 우리는 원하는 사람이 구입할 수 있도록 곧 「연설 골자」를 다시 인쇄할 수 있게 되기 바란다. 어떤 특정한 질문은 보통 다른 것보다 더 자주 질문된다. 그러한 것을 준비하는 데는 개인적인 연구에서나 집회에서 당신이 대답에 사용하기를 원하는 성귀들을 표하는 것을 포함할지 모른다. 각 귀절에 따라 관련된 제목을 명확히 기록하라. 어떤 전도인은 그러한 일을 공책에나, 성서에 끼워 두는 종이 쪽지에 혹은 그들의 성서의 앞 뒤 면지에 그렇게 한다. 만일 그렇게 하는 것이 당신에게 도움이 된다면, 아마 당신은 다음과 같이 하기를 원할 것이다: “하나님은 죽지 않았다—베드로 후 3:9” “세계 상태들—디모데 후 3:1-5” “질병—계시 21:4” 등. 그리고 만일 앞으로 이러한 화제가 논의되면, 당신은 그에 적절한 성귀를 알고 있을 것이다.
6 만일 당신이 집회에서나 개인 연구에서 당신의 성서를 잘 사용한다면, 야외 봉사에서 당신의 성서를 잘 사용하기란 어렵지 않을 것이다.—디모데 전 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