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8년 신권 학교 시간표
지시
1978년 중 신권 학교를 사회할 때 다음과 같은 마련이 있을 것이다.
교재: 성서(성), 「파수대」(파), 「깨어라!」(깨), 「모든 성경은 하나님의 영감을 받은 것으로 유익하다」(감), 「인생에는 분명히 목적이 있다」(목), 「연설 골자」(골), 「대답을 위한 성서 제목」(답) 등이 임명의 근거가 될 것이다.
학교는 노래와 기도 및 환영사로 시작할 것이며, 그 다음 아래와 같이 진행될 것이다:
성서 읽기 범위 내의 주요점들: 5분간. 학교 감독자는 주간 성서 읽기 범위에 근거한 주요점들 및 질문을 제시할 것이다.
교훈 연설: 1번: 15분간. 이 연설은 다만 임명된 재료의 요약 정도여서는 안된다. 이 연설은 선택된 한 제목에 관한 잘 발전된 연설이어야 하며, 가능한 한 장로에게 임명하되, 필요하다면 자격을 갖춘 봉사의 종에게 임명할 것이다. 재료를 단지 피상적으로만 취급하지 말고 회중에 참으로 교훈적이고 도움이 되게 연설할 것이다. 구두 복습은 없을 것이다. 따라서 교훈 연설이 끝나면, 학생들은 각기 자기 반으로 갈 것이다.
2번 연설: 6분간. 이 연설은 한 형제가 임명된 성서 범위를 낭독하는 것이다. 낭독 임명은 학생이 서론과 결론에서, 그리고 도중에서도 간단한 설명을 할 정도의 짧은 길이이다. 역사적 배경, 예언적 또는 교리적으로 중요한 점, 원칙들의 적용 및 성귀에 나타난 지혜에 대한 감사의 표시 등을 포함시킬 수 있다. 임명된 모든 귀절들이 실제로 낭독되도록 연설을 짤 것이다. 주어진 시간을 온전히 이용할 것이다. 내용을 회중에 하는 연설로 제공할 수도 있고, 또는 어떤 소년이 연단 위에 앉아 있는 자기 아버지나 다른 자격을 갖춘 연로한 형제에게 낭독해 주는 것일 수도 있다. 그 아버지나 기타 연로한 형제는 질문을 사용하여 내용의 가치에 관한 해설을 그 소년으로부터 이끌어 낼 수도 있다.
3번 연설: 6분간. 이 부분은 연설이 아니라, 한 자매가 사회하는 성서 연구가 될 것이다. 연구를 사회하는 자매는 성서 연구를 사회하는 이러한 실용적인 훈련이 유익한 것이 되도록, 가능하다면 도움이 되고 실제적인 것이 되도록 노력할 것이다. 어떤 항들은 낭독할 수 있지만, 항을 반드시 낭독할 필요는 없다. 또한 임명된 내용 전부를 반드시 다 다루어야 하는 것도 아니다. 때로는 어떤 적절한 항목을 선택하고 질문을 일으키고 성귀를 찾아 보고 고려할 수도 있다. 어떤 대답이 온전치 못할 경우 학생은 대답을 이끌어 내는 보조적인 질문을 해야 할 것이다. 학생이 이렇게 하지 않을 때, 학교 감독자는 그 제공이 끝난 후 이에 주의를 이끌 것이다. 학교 감독자는 한 명의 보조자가 있도록 계획할 것이다. 그러나 더 많은 보조자들을 사용할 수도 있다.
4번 연설: 6분간. 이 연설 역시 가능한 한 자매들에게 임명될 것이다. 이 연설을 할 때, 학생은 앉거나 서서 할 수 있다. 학교 감독자는 한명의 보조자를 계획해 줄 것이다. 그러나 더 보조자들을 사용할 수 있다. 장면은 가정 내에서, 야외 봉사에서, 회중에서 기타 다른 경우에 일어나는 상태를 포함시킬 수 있다. 연설을 하는 자매가 장면을 조성하기 위하여 대화를 시작할 수도 있고, 또는 보조자(들)가 그렇게 할 수도 있다. 장면보다는 내용에 우선적인 중요성을 두어야 한다.
5번 연설: 6분간. 이 연설은 어느 정도 경험이 있는 형제에게 임명하는 것이 좋다. 이 연설은 전체 회중에게 하는 연설이어야 한다. 원고를 가지고 연설을 하면서 연사는 임명된 재료로부터 적절하다고 생각될 경우 인용문이나 요점잡힌 발췌문을 낭독할 수 있다. 연사는 일반적으로 왕국회관에 있는 청중을 머리에 간직하고 그의 연설을 준비하는 것이 좋다. 그러면 그 연설을 실제로 듣게 될 사람들에게 참으로 교훈적이고 유익한 것이 될 것이다. 그러나 만일 내용 자체가 실용적이며 적절한 어떤 다른 장면에 특별히 잘 적용된다면, 연사는 그에 따라 연설을 발전시킬 수 있다.
부가적 해설: 2번 연설부터 5번 연설까지 각 연설이 끝난 후, 학교 감독자는 학생들이 연설에서 혹시 빠뜨린 진리나 원칙들을 강조하기 위하여 각각 2분씩 사용할 것이다. 이 부가적인 해설은 가정 생활에서, 학교에서, 직장에서, 회중내에서 또는 야외 봉사에 나갔을 때 등 형제들에게 도움이 될 만한 요점들을 강조해 주는 가치있는 해설이 되어야 한다. 때로는 임명된 재료 내에서 적용될 수 있는 요점들에 관하여 청중들에게 질문을 할 수도 있다.
충고: 이것은 언제나 집회 후에 개인적으로 주어져야 할 것이다. 아마 적절한 충고를 하려면 2분 이상이 소요될 것이다. 3번 연설에 대한 개인적인 충고에서는 연구가 사회된 방법에 관한 전체적인 인상을 포함시킬 수 있을 것이다. 연설 충고 용지에는 성서 연구를 사회하는 사람에게 적절히 적용되는 점들만 사용하라.
연설을 준비하는 일: 내용으로 보아서, 할 수 있다면, 연설들은 잘 발전시킨 하나의 주제를 따라야 할 것이다. 주어진 시간 내에 내용을 가장 잘 취급할 수 있게 하는 주제를 하나 선택하라. 연설 충고 용지에서 이번 연설시에 고려될 점들을 머리에 간직하고 연설을 준비하라.
시간 조절: 어떠한 연설도 시간을 초과해서는 안 된다. 부가적인 해설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2번 연설부터 5번 연설까지 시간이 끝나면 재치있게 연설을 끝낼 것이다. 만일 학교 감독자가 어떤 형제에게 “멈춤 신호”를 하도록 임명을 할 경우, 그 형제는 연설이 시간을 초과할 때마다 그렇게 해야 할 중요성에 관하여 숙고해야 한다. 교훈 연설 연사도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개인적으로 충고를 받아야 한다. 모든 연사들은 신권 학교가 전체적으로 시간을 초과하지 않도록 시간 조절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필기 복습: 주기적으로 필기 복습이 있을 것이다. 준비할 때 주로 감, 목, 지, 파, 깨 등의 내용을 복습하고, 개인 성서 읽기 임명을 마치도록 하라. 이 30분간의 복습을 하는 동안에는 성서만을 사용할 수 있다. 나머지 시간은 문답식 토론에 바쳐질 것이다. 각 학생은 자신의 답안지를 검토하며, 대답을 낭독할 때, 학교 감독자는 더 어려운 질문들에 집중하고 정확한 지식을 얻는 문제를 강조하며, 청중으로 하여금 교재 어디를 찾아 보면 대답을 찾을 수 있는지 알려 줄 것이다. 만일 어떤 지방 환경상 이유로 필기 복습을 시간표에 나타난 때보다 한 주일 늦게 할 필요가 있다면 그렇게 할 수 있다.
크고 작은 회중들: 50명이나 그 이상의 학생들이 등록한 회중에서는 학생들의 다른 집단이 다른 충고자들 앞에서 시간표에 계획된 연설을 하도록 마련할 수 있다. 학생들을 여러 장소로 돌려 가며 임명할 것이다. 필요하다면 자매들이, 4번 연설에 관하여 설명된 방법과 같이, 다른 자매를 상대로 어떤 연설이든 할 수 있다.
결석: 형제 자매들은 가능하다면 매주 참석함으로써, 자신의 임명을 잘 준비함으로써, 그리고 질문을 하면 참여함으로써 이 집회에 대한 인식을 나타낼 것이다. 만일 계획된 학생이 참석하지 않으면, 자진하는 학생이 그 임명을 수행할 수 있다. 그는 급히 통지를 받아서 시간이 없지만, 적용시킬 수 있다고 생각되는 점들을 적용시킬 것이다. 또는 학교 감독자가 적절히 청중 참여로써 내용을 다룰 수도 있다.
시간표
1월 1일 성서 읽기: 민수기 13-16
1번: 감 성서 낱권4권 34-35면 32-38항
2번: 민수기 14:11-25
3번: 목 5면-8면 9항
4번: 골 2ㄹ “그리스도인 부모에게는 어떠한 책임이 있는가?”
5번: 파 76년 27, 28면
1월 8일 성서 읽기: 민수기 17-20
1번: 지 44-47면 제9과 1-12항
2번: 민수기 17:1-11
3번: 목 8면 10항-11면 19항
4번: 골 2ㅅ “‘가인’은 어디서 아내를 얻었는가?”
5번: 파 76년 71, 72면
1월 15일 성서 읽기: 민수기 21-24
1번: 지 47-48면 제9과 13-20항
2번: 민수기 22:20-34
4번: 골 3ㄱ “성서는 과학과 일치하는가?”
5번: 파 76년 75, 76면
1월 22일 성서 읽기: 민수기 25-28
1번: 지 49-54면 제10과
2번: 민수기 25:1-15
3번: 목 15면-18면 13항
4번: 골, 4ㄹ “교회는 ‘베드로’ 위에 세워졌는가?”
5번: 파 76년 99-102면
1월 29일 성서 읽기: 민수기 29-32
1번: 지 54-58면 제11과
2번: 민수기 30:3-15
4번: 골 5ㅁ “모든 사람이 결국은 다 구원을 받는가?”
5번: 파 76년 123, 124면
2월 5일 성서 읽기: 민수기 33-36
1번: 지 58-63면 제12과
2번: 민수기 35:9-25
3번: 목 21면 1항-24면 8항
4번: 골 7ㄱ “하나님께서는 어떠한 기도를 들으시는가?”
5번: 파 76년 138, 139면
2월 12일 성서 읽기: 신명기 1-4
1번: 지 63-69면 제13과
2번: 신명기 1:6-21
3번: 목 24면 9항-28면 19항
4번: 골 8ㄷ “하나님께서는 땅을 멸망시키실 것인가?”
5번: 파 76년 147, 148면
2월 19일 필기복습, 민수기 13장-신명기 4장 전체
2월 26일 성서 읽기: 신명기 5-8
1번: 감 성서 낱권5권 36-37면 1-9항
2번: 신명기 6:4-19
4번: 답 10ㄱ “마귀란 우리 속에 있는 악을 가리키는 것인가?”
5번: 파 76년 383, 384면
3월 5일 성서 읽기: 신명기 9-12
1번: 감 성서 낱권5권 37-38면 10-15항
2번: 신명기 10:8-19
3번: 목 31면 1항-34면 9항
4번: 답 11ㄷ “‘마리아’는 왜 ‘종신 처녀’가 아니었는가?”
5번: 파 76년 171, 172면
3월 12일 성서 읽기: 신명기 13-16
1번: 감 성서 낱권5권 38-39면 16-23항
2번: 신명기 13:1-16
4번: 답77 12ㄱ “왜 흡연은 하나님을 불쾌하시게 하는 일인가?”
5번: 파 76년 195, 196면
3월 19일 성서 읽기: 신명기 17-21
1번: 감 성서 낱권5권 39-40면 24-29항
2번: 신명기 18:9-22
4번: 답 13ㄴ “용서받기 위해 ‘미사’가 필요한가?”
5번: 파 76년 281-284면
3월 26일 성서 읽기: 신명기 22-25
1번: 감 성서 낱권5권 40-41면 30-34항
2번: 신명기 23:9-23
3번: 목 40면-42면 11항
4번: 답77 14ㄹ “1914년에 마지막 날이 시작되었음을 어떻게 알 수 있는가?”
5번: 파 76년 173, 174면
4월 2일 성서 읽기: 신명기 26-29
1번: 지 69-73면 제14과
2번: 신명기 28:1-14
4번: 답 16ㄷ “아내가 복종하는 일에는 참 숭배를 포기하는 일까지 요구되는가?”
5번: 파 76년 197-199면
4월 9일 성서 읽기: 신명기 30-34
1번: 지 73-78면 제15과
2번: 신명기 32:1-14, 43
4번: 답 18ㄹ “그리스도인들은 방언을 말할 수 있어야 하는가?”
5번: 파 76년 149-151면
4월 16일 필기 복습: 신명기 5-34장 전체
4월 23일 성서 읽기: 여호수아 1-4
1번: 감 성서 낱권6권 42-43면, 45-46면 1-5, 21-24항
4번: 답77 23ㅁ “성서 서적을 읽는 일을 금하는 것이 이치적인가?”
5번: 파 76년 187-189면
4월 30일 성서 읽기: 여호수아 5-8
1번: 감 성서 낱권6권 43-44면 6-15항
2번: 여호수아 6:15-25
4번: 답77 23ㅅ “‘다 읽을 수 없을 만큼 많은 책을 가지고 있다’고 사람들이 말할 때”
5번: 파 76년 381, 382면
5월 7일 성서 읽기: 여호수아 9-12
1번: 감 성서 낱권6권 44-45면 16-20항
2번: 여호수아 10:3-14
3번: 목 54면-57면 11항
4번: 답77 24ㄴ “진실성, ‘황금률’을 지키는 것으로 충분한가?”
5번: 파 76년 387, 388면
5월 14일 성서 읽기: 여호수아 13-16
1번: 지 78-84면 제16과
2번: 여호수아 14:6-14
4번: 답 25ㄱ “성서는 참으로 영감받았는가?”
5번: 파 76년 243, 244면
5월 21일 성서 읽기: 여호수아 17-20
1번: 지 84-90면 제17과
2번: 여호수아 20:1-9
4번: 답 26ㄴ “생일을 축하해서는 안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5번: 파 76년 267, 268면
5월 28일 성서 읽기: 여호수아 21-24
1번: 지 90-96면 제18과
2번: 여호수아 23:1-11
3번: 목 64면-67면 13항
4번: 답77 27ㄱ “그리스도인은 언제, 어떻게 심판을 받는가?”
5번: 파 76년 411, 412면
6월 4일 성서 읽기: 사사기 1-4
1번: 지 96-100면 제19과
2번: 사사기 4:12-24
4번: 답 28ㄱ “예수께서 달리신 것은 십자가였는가?”
5번: 파 76년 330, 331면
6월 11일 성서 읽기: 사사기 5-8
1번: 지 100-108면 제20과
2번: 사사기 7:12-22
3번: 목 72면 1항-75면 13항
4번: 답 29ㄷ “사랑의 하나님께서 어떻게 세상을 멸망시키실 수 있는가?”
5번: 파 77년 164-166면
6월 18일 필기 복습. 여호수아 1장-사사기 8장 전체
6월 25일 성서 읽기: 사사기 9-12
1번: 감 성서 낱권7권 46-47면 1-8항
2번: 사사기 11:30-40
4번: 답 30ㄷ “세계적 고난의 책임은 누구에게 있는가?”
5번: 파 76년 483, 484면
7월 2일 성서 읽기: 사사기 13-16
1번: 감 성서 낱권7권 47-49면 9-18항
2번: 사사기 16:23-31
4번: 답77 30ㅅ “악한 자의 번영은 얼마나 오래 갈 것인가?”
5번: 파 76년 387, 388면
7월 9일 성서 읽기: 사사기 17-21
1번: 감 성서 낱권7권 49-50면 19-29항
2번: 사사기 20:3-13
3번: 목 81면 1항-85면 14항
4번: 답 32ㅂ “모든 사람이 다 동일한 하나님을 섬기는가?”
5번: 파 77년 23, 24면
7월 16일 성서 읽기: 룻기 1-4
1번: 감 성서 낱권8권 51-53면 1-10항
2번: 룻기 4:1-11
4번: 답77 33ㄷ “여호와의 증인들은 어떻게 자금을 조달하는가?”
5번: 파 77년 187, 188면
7월 23일 성서 읽기: 사무엘 상 1-4
1번: 감 성서 낱권9권 53-54면 1-6항
2번: 사무엘 상 3:1-13
3번: 목 89면-91면 6항
4번: 답77 34ㄴ “메시야의 초림 시기가 예언되었는가?”
5번: 파 76년 507, 508면
7월 30일 성서 읽기: 사무엘 상 5-8
1번: 감 성서 낱권9권 54-56면 7-17항
2번: 사무엘 상 8:4-10, 19-22
3번: 목 91면 7항-94면 17항
4번: 답 35ㄴ “모든 종교가 다 좋은가?”
5번: 파 76년 531-532면
8월 6일 성서 읽기: 사무엘 상 9-12
1번: 감 성서 낱권9권 56-57면 18-26항
2번: 사무엘 상 12:1, 16-25
4번: 답 36ㄷ “신비주의에는 어떠한 위험성이 있는가?”
5번: 파 77년 46-48면
8월 13일 필기 복습. 사사기 9장-사무엘 상 12장 전체.
8월 20일 성서 읽기: 사무엘 상 13-16
1번: 감 성서 낱권9권 57-58면 27-35항
2번: 사무엘 상 13:5-14
4번: 답 37ㄱ “영혼이란 무엇인가?”
5번: 파 77년 99, 100면
8월 27일 성서 읽기: 사무엘 상 17-20
1번: 지 108-113면 제21과
2번: 사무엘 상 17:42-51
4번: 답77 39ㄴ “‘일단 구원받으면 영원히 구원받는다’는 것이 참인가?”
5번: 파 77년 116, 117면
9월 3일 성서 읽기: 사무엘 상 21-24
1번: 지 113-116면 제22과
2번: 사무엘 상 23:1-13
4번: 답 40ㄷ “형상을 사용하는 데 그릇된 점은 무엇인가?”
5번: 파 77년 123, 124면
9월 10일 성서 읽기: 사무엘 상 25-27
1번: 지 116-121면 제23과
2번: 사무엘 상 26:1-11
4번: 답77 41ㄹ “그리스도인들이 십계명을 지켜야 하는가?”
5번: 파 76년 435, 436면
9월 17일 성서 읽기: 사무엘 상 28-31
1번: 지 122-126면 제24과
2번: 사무엘 상 30:1-8, 16-19
4번: 답 42ㄴ “하나님께서는 악인을 지옥에 보내어 고초를 겪게 하시는가?”
5번: 파 77년 219, 220면
9월 24일 성서 읽기: 사무엘 하 1-4
1번: 감 성서 낱권10권 59-60면, 63-64면 1-5, 28-31항
2번: 사무엘 하 4:1, 2, 5-12
4번: 답77 43ㄷ “흑인은 저주받았는가?”
5번: 파 77년 267-269면
10월 1일 성서 읽기: 사무엘 하 5-8
1번: 감 성서 낱권10권 60-61면 6-13항
2번: 사무엘 하 7:12-22
4번: 답 46ㅁ “자기의 종교를 바꾸는 것은 잘못인가?”
5번: 파 77년 291, 292면
10월 8일 성서 읽기: 사무엘 하 9-12
1번: 감 성서 낱권10권 61-63면 14-27항
2번: 사무엘 하 12:1-12
4번: 답 47ㄴ “우리가 ‘아담’의 죄로 인하여 고통을 받아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5번: 파 77년 522, 523면
10월 15일 필기 복습. 사무엘 상 13장-사무엘 하 12장 전체
10월 22일 성서 읽기: 사무엘 하 13-16
1번: 지 126-129면 제25과
2번: 사무엘 하 15:1-12
4번: 답77 47ㅁ “우리는 자신의 죄를 누구에게 고백해야 하는가?”
10월 29일 성서 읽기: 사무엘 하 17-20
1번: 지 130-133면 제26과
2번: 사무엘 하 20:1, 2, 15-22
4번: 답 48ㄷ “사람이 죽은 자와 이야기할 수 있는가?”
11월 5일 성서 읽기: 사무엘 하 21-24
1번: 지 133-138면 제27과
2번: 사무엘 하 23:8-12, 18-22
4번: 답 49ㅅ “진리를 증거하는 일은 왜 그렇게 중요한가?”
5번: 깨 76년 6/8 21-23면
11월 12일 성서 읽기: 열왕 상 1-4
1번: 감 성서 낱권11권 64-65면, 68-69면 1-5, 23-26항
2번: 열왕 상 3:4-14
4번: 답 51ㄴ “하나님께서 쉬시는 날은 얼마나 긴 기간인가?”
11월 19일 성서 읽기: 열왕 상 5-8
1번: 감 성서 낱권11권 65-67면 6-14항
2번: 열왕 상 8:22-30, 41-43
4번: 답77 52ㄹ “그리스도께서는 오순절 날 왕이 되셨는가?”
5번: 깨 76년 7/22 3, 4면
11월 26일 성서 읽기: 열왕 상 9-12
1번: 감 성서 낱권11권 67-68면 15-22항
2번: 열왕 상 10:1-10, 13
4번: 답 55ㄴ “어떠한 대가를 치르고서라도 생명은 구해야 하는가?”
12월 3일 성서 읽기: 열왕 상 13-16
1번: 지 138-142면 제28과
2번: 열왕 상 13:1-10
4번: 답77 56ㅁ “상징물들에 경의를 표하는 데 대한 올바른 태도”
5번: 깨 76년 8/22 3, 4면
12월 10일 성서 읽기: 열왕 상 17-19
1번: 지 142-148면 제29과
2번: 열왕 상 17:13-24
4번: 답 57ㄴ “하늘에 가는 사람은 얼마나 되는가?”
12월 17일 성서 읽기: 열왕 상 20-22
1번: 지 149-153면 제30과
2번: 열왕 상 22:5-9, 19-23
4번: 답77 59ㄴ “겉 모양을 꾸미는 일이 그리스도인 여자들에게 합당한가?”
12월 24일 성서 읽기: 열왕 하 1-4
1번: 감 성서 낱권12권 69-71면 1-11항
2번: 열왕 하 2:11-14, 19-24
4번: 답77 60ㄱ “헌신이란 무엇인가?”
12월 31일 필기복습. 사무엘 하 13-열왕 하 4장 전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