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소식을 전함—효과적인 서론으로
1 신권적인 교육과 그리스도인 봉사의 직무에서의 경험을 통해 여호와께서는 우리에게 “학자의 혀”를 주신다. (이사야 50:4) 이것은 왕국 소식에 관심을 불러 일으키기 위해 우리가 하는 말에 있어 보다 분별력을 갖게 해 준다. 호별 방문을 하든지 상가 방문을 하든지, 우리의 첫 마디 표현들은 잘 선택된 것이어야 하며 사람들과 그들의 다양한 환경을 이해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어야 한다.—고린도 전 9:22, 23.
호별 방문
2 호별 방문에서 우리가 ‘합당한 자들’에게 왕국 진리를 전함에 따라 우리는 독특한 도전들을 직면한다. (마태 10:11) 아마 무엇보다도 전혀 모르는 사람에게 접근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대문 안에 있는 사람들은 각기 개성, 환경, 견해가 다른 사람들이다. 이러한 요인들이 우리가 하는 서론의 표현들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3 여러분의 서론이 충분한 영향을 미치려면 미리 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몇 가지 다양한 간단하고 요점잡힌 접근 방법들은 여러분이 보다 융통성있게 해 줄 것이다. 분별력, 자신감, 융통성을 가지라. 집주인에게 종교적인 경향이 있을 것이라는 점을 알려 주는 어떤 것이 있는가? 그 집에 아이들이 있음을 알려 주는 것들이 있는가? 기도하는 마음으로 이러한 점들에 집중한다면 여러분이 말머리의 방향을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4 많은 전도인들은 아래에 제안된 서론들 중 어떤 하나를 사용해서 고무적인 결과들을 즐겼다.
“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극복할 수 없는 문제들을 보고서, 어떤 사람들은 이 땅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앞으로 멸망될 운명에 처해 있다고 생각합니다. 가정 파탄의 증가, 끊이지 않는 전쟁의 위협, 그 외의 다른 문제들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오늘 아침에 안전한 미래를 원하는 모든 분들에게 좋은 소식을 전하기 위해 방문하고 있읍니다.”
“오늘날 많은 가정들이 장래에 대해 확신을 가지고 있지 못합니다. 증가하는 범죄, 실직, 인플레이션은 극단적인 우울증과 불안정을 초래하였읍니다. 우리는 오늘 아침 댁과 댁의 가족이 어떻게 장래에 대한 밝은 전망을 가질 수 있는지 간단히 설명해 드리기 위해 특별한 노력을 기울여 방문했읍니다.”
“우리는 우리 이웃에 계신 많은 분들이 성서에 관해 이야기할 기회를 기꺼이 받아들이신다는 것을 알게 되었읍니다. 그러한 이유로 저는 성서가 알려 주는 희망에 관해 이야기하기 위해 댁을 찾아 뵌 것입니다.” 여러분은 아마 이러한 제안들이 여러분의 구역에서 효과적임을 알게 될 것이다.
5 우리가 사람들에게 접근하는 방법은 우정적이어야 하며 대화체이어야 한다. 많은 전도인들은 무료 소책자나 전도지를 제공함으로 이야기를 시작하기로 하였다. 이러한 접근 방법을 사용한 후에 한 감독자는 이렇게 말했다. “이 방법은 집주인과 성서적인 대화를 시작하기에 충분할 만큼 오래 그들의 주의를 붙들어 둡니다.” 이러한 방법들 중 얼마가 여러분에게 효과가 있을지 알아 보도록 하라!
상가 방문
6 상가 방문에도 역시 우정적인 대화체의 서론이 요구된다. 사람들은 바쁘며 일하고 있다. 상가에서는 많은 사람들을 상대하여 신경이 날카로와져 있을지 모른다. 또한, 계속 드나드는 손님들 때문에 종교적인 문제에 대해 공개적으로 말하는 것을 꺼릴 수 있다. 상점 문을 열고 접근할 때에 이러한 것들을 염두에 두라.
7 어떤 전도인들은 요점잡히고 생각하게 하는 질문들을 효과적으로 사용해서 상점 주인의 주의를 끈다. “우리의 상가가 다시 안전해질까요?” 또는 “지구가 멸망될까요?” 여러분의 질문을 그 사람과 상황에 맞게 손질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라. 그의 외모는 그가 상점 주인, 점원 또는 그 외로 어떤 사람인지를 나타내 주는가? 그 사람이 어떤 점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지를 알아내서 여러분의 서론을 그에 따라 맞추도록 노력하라.
8 상가에 있는 수많은 사람들도 증거를 받아야 한다. 그들의 하루 일이 끝나가는 저녁 때가 그들과 좀더 느긋하게 이야기하기 좋다는 것을 알게 되었는가? 그 때 그들을 방문하여서, 그들에게 흥미를 돋우는 말을 걸어, “다음 5년에서 10년 사이의 인간의 장래에 대한 견해”를 알아 볼 수도 있다. 의미심장한 토론들을 많이 즐길 수 있을지 모르며 아마 그들과도 성서 연구를 시작할 수 있을지 모른다.
9 우리는 성서에 나오는 위안의 소식을 효과적으로 전하려는 우리의 노력을 여호와께서 축복해 주실 것을 간구한다. 우리가 우리의 접근 방법과 태도에 있어 신중한 주의를 기울일 때, 우리는 그분의 영이 우리에게 “피곤한 자에게 말로써 대답하는 방법”을 가르쳐 주실 것을 확신을 가지고 기대할 수 있다.—이사야 50:4, 신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