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9년 신권 전도 학교 계획표
지시
1989년중 다음과 같은 마련에 따라 신권 전도 학교를 사회할 것이다.
교재: 「성서」[성], 「‘모든 성경은 하나님의 영감을 받은 것으로 유익하다’」[감], 「성경을 사용하여 추리함」[추], 「우리는 지상 낙원에서 영원히 살 수 있다」[원]가 임명의 근거가 될 것이다.
학교는 노래와 기도 및 환영사로 시작한 다음, 아래와 같이 진행할 것이다.
1번 임명: 15분간. 이 임명은 장로나 자격을 갖춘 봉사의 종에 의해 다루어져야 한다. 「‘모든 성경은 하나님의 영감을 받은 것으로 유익하다’」가 임명의 근거가 될 것이다. 이 임명은 10분 내지 12분간의 교훈 연설을 한 다음, 이 부분에 대한 인쇄된 질문을 사용하여 3분 내지 5분간의 구두 복습을 하는 방식으로 다루어져야 한다. 이 연설의 목적은, 내용의 단순한 요약이 아니라 논의되는 내용의 실용적 가치에 주의를 집중시키고, 회중에게 가장 도움이 되는 것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어야 한다. 필요한 경우에는, 주제를 선택해야 한다. 이 내용으로부터 온전한 유익을 얻기 위하여, 주의 깊은 예습을 하도록 모두를 격려한다.
이 연설에 임명된 형제들은 제한된 시간 내에 마치도록 주의해야 한다. 필요하다면 개인적 충고를 줄 것이다.
성서 읽기 범위의 주요점: 6분간. 이 부분은 학교 감독자, 또는 그가 임명한 다른 자격있는 장로나 봉사의 종에 의해 다루어져야 한다. 이것은 단지 지정된 낭독 범위의 요약이어서는 안 된다. 지정된 장들에 대한 전체적인 견해를 간단히 제시한 후, 그 내용이 우리에게 왜 그리고 어떻게 가치가 있는지를 청중이 인식하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주요 자료를 더 얻기 위해 「파수대」를 살펴보라. 이 부분이 끝난 다음에, 학교 감독자는 학생들이 자기가 속한 학급으로 가게 할 것이다.
2번 연설: 5분간. 이 연설은 한 형제가 임명된 성서 범위를 낭독하는 것이다. 그 점은 원학교에서나 보조 학급에서나 동일하게 적용될 것이다. 낭독하도록 임명된 범위의 길이가 대개 짧기 때문에, 학생은 서론과 결론 또는 중간 부분에서도 설명을 곁들인 지식을 간단히 제공할 수 있다. 역사적 배경, 예언적으로 또는 교리적으로 중요한 점, 원칙의 적용을 포함시킬 수 있다. 임명된 구절을 모두 실제로 낭독해야 한다.
3번 연설: 5분간. 이 연설은 자매에게 임명될 것이다. 이 연설을 위한 제목은 「추리」 책과 「영원히 살 수 있다」 책에서 번갈아 사용할 것이며, 「영원히 살 수 있다」 책은 어리거나 새로운 학생에게 임명할 것이다. 임명된 학생은 읽을 줄 아는 사람이어야 한다. 이 연설을 할 때, 학생은 앉아서 할 수도 있고 서서 할 수도 있다. 학교 감독자는 한명의 보조자를 마련해 줄 것이다. 그러나 보조자를 더 사용할 수도 있다. 야외 봉사 또는 비공식 증거와 관련된 장면을 택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연설을 하는 자매가 장면을 설정하는 대화를 시작할 수도 있고, 또는 보조자(들)가 그렇게 하게 할 수도 있다. 장면보다는 내용에 우선적인 중요성을 두어야 한다. 학생은 계획표에 명시된 주제를 사용해야 한다.
4번 연설: 5분간. 이 연설은 형제나 자매에게 임명된다. 형제에게 임명되면, 이 연설은 전체 청중에게 하는 연설이어야 한다. 형제는 보통, 왕국회관에 참석한 청중을 염두에 두고 연설을 준비하는 것이 가장 좋다. 그렇게 할 때 그 연설을 실제로 듣는 사람들에게 참으로 교육적이고 유익한 것이 될 것이다. 그러나 만일 내용 자체가 실용적이며 적절하여, 청중을 달리한 장면이 더 잘 맞는다면, 형제는 그에 따라 연설을 발전시킬 수 있다. 학생은 계획표에 명시된 주제를 사용해야 한다.
이 연설이 자매에게 임명된다면, 3번 연설의 지시에 따라야 한다.
충고와 해설: 각 학생 연설이 끝난 다음에, 학교 감독자는 명확한 충고를 할 것이다. 그러나 ‘연설 충고 용지’의 점진적인 충고 계획을 반드시 따를 필요는 없다. 그보다는 학생이 발전해야 할 필요가 있는 부면들에 주의를 집중해야 한다. 만일 연설한 학생이 단지 “양”만을 받을 만하고 “발”이나 “노”로 표시될 만한 연설 요소가 달리 없다면, 충고자는 학생이 다음에 노력해야 할 연설 요소에 해당되는 네모칸, 즉 보통 “양,” “발,” “노”를 기입하는 칸에 동그라미를 표시해 주어야 한다. 충고자는 그날 저녁 학생에게 이에 대해 말해 주고, 또한 학생의 다음 ‘신권 전도 학교 임명장’ (S-89)에 이 연설 요소를 알려 줄 것이다. 연설을 하는 사람은 회관 앞쪽에 앉아 있어야 한다. 이것은 시간을 절약하게 하며, 또한 학교 감독자가 각 학생에게 직접 충고를 할 수 있게 해준다. 필요한 구두 충고를 한 후에 시간이 허락하는 대로, 충고자는 학생이 다루지 않은 교육적이고 실용적인 점에 대해 해설할 수 있다. 학교 감독자는 각 학생 연설 후의 충고와 해설에 전부 2분을 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만일 성서 읽기 주요점을 다룬 부분에서 부족한 점이 있다면, 개인적으로 충고할 수 있다.
연설 준비: 1번 연설 임명을 맡은 형제는 필요한 경우에 주제를 선택해야 한다. 2번 연설을 임명받은 학생은 내용을 가장 잘 다룰 수 있는 주제를 선택해야 한다. 3번과 4번 연설에 임명된 학생은 계획표에 명시된 주제를 사용해야 한다. 학생은 노력할 연설 요소를 다루고 있는 「학교 지침서」 내용을 연설 전에, 숙독하기 원할 것이다.
시간 조절: 어떠한 연설도 시간을 초과해서는 안 된다. 충고자의 충고와 해설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2번 연설부터 4번 연설까지의 경우, 시간이 차면 재치있게 연설을 중단시켜야 한다. “멈춤 신호”를 하도록 임명된 형제는 즉시 그렇게 해야 한다. 1번 연설 임명을 맡은 형제가 시간을 초과한다면, 그에게 개인적인 충고를 해야 한다. 모두는 시간 조절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학교의 총시간은 노래와 기도를 제외하고 45분간이다.
필기 복습: 주기적으로 필기 복습이 있을 것이다. 필기 복습에 대비하여, 지정된 범위의 내용을 복습하고 계획된 성서 읽기 범위를 다 읽어야 한다. 이 25분간의 복습을 하는 동안, 성서만을 사용할 수 있다. 나머지 시간은 문답식 토론에 사용될 것이다. 각 학생이 자신의 답안지를 채점한다. 학교 감독자는 모든 대답을 낭독하되, 더 어려운 질문에 주의를 기울여서 그 대답을 모두가 명백히 이해하도록 도울 것이다. 만일, 어떤 이유로 지방 혹은 회중 사정상 필기 복습을 계획표에 나와 있는 것보다 한 주일 늦게 할 필요가 있다면 그렇게 할 수 있다.
크고 작은 회중들: 50명 이상의 학생이 학교에 등록한 회중이라면, 또 하나의 학급을 만들어 다른 충고자 앞에서 계획된 연설을 하도록 마련할 수 있다. 물론, 침례받지 않았을지라도 그리스도인 원칙에 순응하는 생활을 하고 있는 사람이라면, 역시 학교에 등록하여 임명을 받을 수 있다.
결석생: 회중 성원 모두는 매주 참석하려고 노력함으로써, 자신의 임명을 잘 준비함으로써 그리고 질문에 대한 해설에 참여함으로써, 이 학교에 대한 인식을 나타낼 수 있다. 모든 학생은 자신의 임명을 진지하게 받아들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계획된 학생이 결석한다면, 자진하는 학생이 그 임명을 수행할 수 있다. 그는 급히 통지를 받아서 시간이 없겠지만, 적용시킬 수 있다고 생각되는 점들을 적용시킬 것이다. 또는 학교 감독자가 적절히 청중을 참여시키면서 내용을 다룰 수 있다.
계획표
1월 1일: 이전 주에 포함
1번: 애가 소개 (감 130-1면, 1-7항)
2번: 에스겔 39:1-13
3번: 참 예언자들은 예언된 것이 언제, 어떻게 이루어질 것인지를 항상 이해하지는 못했다 (추 30면, 둘째 부제목)
4번: 참 예언자의 선포는 참 숭배를 증진시킨다 (추 31면, 부제목)
1월 9일 성서 읽기: 에스겔 40-44장
1번: 애가 1:1-5:22 (감 131-2면, 8-12항)
2번: 에스겔 44:1-16
3번: 예수께서 인간으로 돌아오실 수 없는 이유 (원 17장, 1-5항)
4번: 참 예언자는 산출되는 열매로 식별된다 (추 32면, 첫째 부제목부터 33면, 2항까지)
1월 16일 성서 읽기: 에스겔 45-48장
1번: 에스겔 소개 (감 132-3면, 1-6항)
2번: 에스겔 47:1-12
3번: 여호와의 증인이 행한 잘못으로 참 예언자로서의 그들의 자격이 박탈되지 않는 이유 (추 33면, 3항부터 34면, 2항까지)
4번: 하나님께서는 각 사람이 죽을 때를 예정하시지 않는다 (추 310면, 소제목)
1번: 에스겔 1:1-7:27 (감 134면, 7-11항)
2번: 다니엘 2:36-46
3번: 예수께서는 육체로 하늘에 올라가신 것이 아님 (원 17장, 6-12항)
4번: 일어나는 모든 일이 다 하나님의 뜻은 아니다 (추 311면, 소제목부터 312면, 둘째 부제목까지)
1번: 에스겔 8:1-11:25 (감 134면, 12-14항)
2번: 다니엘 3:19-30
3번: 하나님께서는 모든 일을 예지하시거나 예정하시지는 않는다 (추 312면, 소제목)
4번: 사건들을 예지하고 예정하실 수 있는 하나님의 능력 (추 313면, 부제목)
1번: 에스겔 12:1-23:49 (감 135면, 15-19항)
2번: 다니엘 5:17-31
3번: 그리스도께서 돌아오시는 방법과 그분의 돌아옴을 식별하는 방법 (원 17장, 13-17항)
4번: 하나님께서 아담에 대하여 예지를 행사하시지 않은 이유 (추 314면, 부제목)
1번: 에스겔 24:1-32:32 (감 135-6면, 20-23항)
2번: 다니엘 8:15-27
3번: 하나님께서는 야곱, 에서 및 유다의 운명을 예정하시지 않았다 (추 315면, 첫째와 둘째 부제목)
4번: 그리스도인 회중은 어떠한 면으로 예정되었는가? (추 316면, 부제목)
1번: 에스겔 33:1-39:29 (감 136면, 24-26항)
2번: 다니엘 9:20-27
3번: 그리스도의 “임하심”과 “세상 끝”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원 18장, 1-6항)
4번: 점성술에 대한 성경적 견해는 무엇인가? (추 317면, 전체)
1번: 에스겔 40:1-48:35 (감 137면, 27, 28항)
2번: 다니엘 12:1-13
3번: 하나님을 믿을 수 있는 어떠한 건전한 이유들이 있는가? (추 410면, 첫째 소제목)
4번: 악과 고통이 하나님의 존재를 반증하지 않는다 (추 410면, 둘째 소제목부터 411면, 부제목까지)
3월 6일 성서 읽기: 호세아 1-5장
1번: 다니엘 소개와 정전성 (감 138-9면, 1-7항)
2번: 호세아 5:1-15
3번: 그리스도의 보이지 않는 임재에 대한 보이는 증거인 전쟁과 기근 (원 150면)
4번: 하나님은 감정을 가진 실존하는 인격체이신가? (추 412면, 첫째 소제목과 그 부제목)
3월 13일 성서 읽기: 호세아 6-10장
1번: 다니엘 1:1-4:37 (감 139-40면, 8-11항)
2번: 호세아 8:1-14
3번: 하나님은 시작이 없으셨다 (추 412면, 둘째 소제목)
4번: 하나님의 이름을 사용하는 것은 구원에 필수적이다 (추 413면, 첫째 소제목)
3월 20일 성서 읽기: 호세아 11-14장
1번: 다니엘 5:1-8:27 (감 140-1면, 12-15항)
2번: 호세아 11:1-12
3번: 그리스도의 임재의 증거인 온역, 지진, 두려움 및 불법 (원 151-2면)
4번: 모든 종교는 다 옳은가? (추 413면, 둘째 소제목)
3월 27일 성서 읽기: 요엘 1-3장
1번: 다니엘 9:1-12:13 (감 141면, 16-19항)
2번: 요엘 2:21-32
3번: 예수는 어떤 “하나님”이신가? (추 414면, 소제목)
4번: 하나님을 믿는 것에 대한 이의를 극복함 (추 415면, 1항부터 416면, 1항까지)
4월 3일 성서 읽기: 아모스 1-5장
1번: 호세아 소개 (감 143-4면, 1-8항)
2번: 아모스 3:1-15
3번: 디모데 후서 3:1-5의 성취는 마지막 날의 표징이다 (원 152-4면)
4번: 인간이 지금까지 공의로운 정부를 설립할 수 없었던 이유 (추 330면, 첫째 소제목부터 331면, 첫째 부제목까지)
4월 10일 성서 읽기: 아모스 6-9장
1번: 호세아 1:1-14:9 (감 144-5면, 9-13항)
2번: 아모스 8:1-14
3번: 구출을 가져오려는 인간의 노력이 성공할 수 없는 이유 (추 331면, 첫째 소제목부터 332면, 둘째 부제목까지)
4번: 하나님의 왕국은 인류의 절실한 필요를 위한 유일한 해결책이다 (추 333면, 첫째 소제목하의 첫째 부제목)
4월 17일 성서 읽기: 오바댜 1-21-요나 1-4장
1번: 요엘 소개 (감 146면, 1-5항)
2번: 요나 1:14-2:10
3번: “아마겟돈”이 무서움을 갖게 하는 말이 아닌 이유 (원 19장 1-3항)
4번: 성서 예언은 온전히 신뢰할 만한 것으로 증명되었다 (추 333면, 둘째 부제목)
4월 24일 필기 복습. 에스겔 38장-요나 4장 전체
5월 1일 성서 읽기: 미가 1-4장
1번: 요엘 1:1-3:21 (감 147면, 6-11항)
2번: 미가 4:1-12
3번: 오늘날 병 고침의 기적은 하나님의 영에 의한 것이 아니다 (추 134면, 첫째 소제목부터 135면, 2항까지)
4번: 예수와 사도들이 행한 치료와 오늘날 행해지는 치료의 차이점 (추 135면, 첫째와 둘째 부제목)
5월 8일 성서 읽기: 미가 5-7장
1번: 아모스 소개 (감 148-9면, 1-6항)
2번: 미가 6:3-16
3번: 아마겟돈 후에 인류에게 임할 축복들 (원 156-8면)
4번: 오늘날 참 그리스도인들은 어떻게 식별되는가? (추 136면, 첫째 소제목과 첫째 부제목)
5월 15일 성서 읽기: 나훔 1-3장
1번: 아모스 1:1-9:15 (감 149-50면, 7-12항)
2번: 나훔 1:2-14
3번: 제1세기에 병 고침의 선물이 주어진 이유 (추 137면, 첫째 부제목)
4번: 모든 인류가 실제로 치료될 수 있는 희망이 있는가? (추 138면, 첫째 소제목)
5월 22일 성서 읽기: 하박국 1-3장
1번: 오바댜 소개 (감 151-2면, 1-5항)
2번: 하박국 2:1-14
3번: 아마겟돈을 살아 남는 자들이 받게 될 축복과 일은 무엇인가? (원 19장, 4-7항)
4번: 누구만이 인간으로 태어나기 전에 존재했었는가? (추 417면, 첫째 소제목)
5월 29일 성서 읽기: 스바냐 1-3장
1번: 오바댜 1-21 (감 152면, 6-9항)
2번: 스바냐 2:1-11
3번: 선한 사람은 모두 하늘에 가는 것은 아니다 (추 417면, 둘째 소제목)
4번: 아담은 하늘의 생명을 약속받지 않았다 (추 417면, 첫째 부제목)
1번: 요나 소개 (감 153-4면, 1-5항)
3번: “새 하늘”과 “새 땅”을 식별함 (원 19장, 8-10항)
4번: 행복한 장래를 맞이하기 위하여 반드시 하늘에 갈 필요는 없다 (추 418면, 첫째 부제목)
6월 12일 성서 읽기: 스가랴 1-5장
1번: 요나 1:1-4:11 (감 154면, 6-9항)
2번: 스가랴 4:1-14
3번: 예수께서는 자신이 죽으시기 전에 죽은 사람들을 위하여 하늘로 가는 길을 열어 놓지 않으셨다 (추 418면, 둘째 부제목)
4번: 하늘 생명은 모든 그리스도인들을 위한 희망이 아니다 (추 419면, 소제목)
6월 19일 성서 읽기: 스가랴 6-9장
1번: 미가 소개 (감 155-6면, 1-8항)
2번: 스가랴 8:9-23
3번: 왕국이 인류에게 가져다 주는 축복들 (원 161-2면)
4번: 그리스도인 성경에는 땅에서의 축복들에 대한 희망이 들어 있다 (추 420면, 부제목)
6월 26일 성서 읽기: 스가랴 10-14장
1번: 미가 1:1-7:20 (감 156-7면, 9-15항)
2번: 스가랴 13:1-9
3번: 얼마나 되는 사람들이 하늘의 상을 받을 것이며, 그 수자가 상징적이 아닌 이유는 무엇인가? (추 421면, 소제목과 422면, 둘째 부제목)
4번: 144,000은 육적 유대인뿐이 아니다 (추 422면, 첫째 부제목)
7월 3일 성서 읽기: 말라기 1-4장
1번: 나훔 소개 (감 158-9면, 1-7항)
2번: 말라기 3:1-10, 16-18
3번: 아마겟돈을 살아 남는 자들을 위해 예비된 축복들 (원 19장, 11-21항)
4번: 하늘이 아닌, 하나님의 보좌 앞에 있는 큰 무리 (추 422면, 첫째 소제목)
7월 10일 성서 읽기: 마태 1-3장
1번: 나훔 1:1-3:19 (감 159-60면, 8-10항)
2번: 마태 3:1-17
3번: 144,000이 하늘에서 맡는 임무 (추 423면, 첫째 소제목)
4번: 성서는 죽은 자들이 고통을 겪지 않는다고 알려 준다 (추 364면, 첫째 소제목과 그 부제목)
1번: 하박국 소개 (감 161면, 1-5항)
2번: 마태 5:1-17
3번: 히브리어 성경에 나오는 부활의 희망 (원 20장, 1-4항)
4번: 성서는 선인과 악인 모두가 죽으면 지옥에 간다고 알려 준다 (추 365면, 첫째 소제목부터 366면, 첫째 부제목까지)
1번: 하박국 1:1-3:19 (감 161-2면, 6-11항)
2번: 마태 6:1-14, 31-33
3번: 성서 번역자들은 지옥에 대한 혼란을 야기시킨다 (추 366면, 둘째 부제목)
4번: 악인은 영원한 고초가 아닌 영원한 형벌을 받는다 (추 366면, 소제목)
1번: 스바냐 소개 (감 163-4면, 1-6항)
2번: 마태 9:18-38
3번: 그리스도인 희랍어 성경에 기록된 부활들 (원 20장, 5-9항)
4번: 계시록에 언급되어 있는 영원한 고초의 의미 (추 367면, 부제목)
1번: 스바냐 1:1-3:20 (감 164-5면, 7-9항)
2번: 마태 10:5-15, 24-31
3번: 예수께서 말씀하신 게헨나의 불이란 무엇인가? (추 368면, 부제목)
4번: 악인에 대한 하나님의 형벌은 그분의 성품과 조화된다 (추 369면, 셋째 부제목과 370면, 둘째 소제목)
1번: 학개 소개 (감 166-7면, 1-7항)
2번: 마태 13:34-52
3번: 누가 부활될 것인가? (원 20장, 10-18항)
4번: 부자와 나사로의 비유는 무엇을 가르치는가? (추 370면, 첫째 소제목)
1번: 학개 1:1-2:23 (감 167면, 8-12항)
2번: 마태 15:1-20
3번: 어떤 사실이 예수께서 12월 25일에 태어나지 않았음을 증명하는가? (추 387면, 둘째 소제목과 그 부제목)
4번: 예수를 방문했던 박사들은 누구였는가? (추 388면, 부제목)
1번: 스가랴 소개 (감 168-9면, 1-7항)
2번: 마태 16:13-28
3번: 두 종류의 부활 (원 20장, 19-24항)
4번: 크리스마스 때 선물을 주는 것의 기원은 무엇인가? (추 389면, 부제목)
1번: 스가랴 1:1-7:14 (감 169-70면, 8-17항)
2번: 마태 18:7-22
3번: 그리스도인들은 왜 크리스마스 축하 행사와 관련을 갖지 않아야 하는가? (추 390면, 소제목)
4번: 그리스도인들은 왜 부활절이나 신년을 축하해서는 안 되는가? (추 391면, 첫째와 둘째 소제목)
1번: 스가랴 8:1-14:21 (감 170-1면, 18-22항)
2번: 마태 20:17-34
3번: 부활은 참으로 기적임 (원 20장, 25-27항)
4번: 만영절 행사의 기원은 무엇인가 ? (추 392면, 소제목)
1번: 말라기 소개 (감 172-3면, 1-6항)
2번: 마태 22:15-33
3번: 그리스도인들은 왜 세상 축일에 참여하지 않는가? (추 393면, 첫째 소제목부터 394면, 첫째 소제목까지)
4번: 성서는 형상 숭배에 관하여 무엇이라고 말하는가? (추 424면, 소제목)
1번: 말라기 1:1-4:6 (감 173-4면, 7-12항)
2번: 마태 24:3-22
3번: 심판 날의 길이는 얼마나 되며, 누가 심판할 것인가? (원 21장, 1-4항)
4번: 참 숭배는 형상을 보조물로 필요로 하지 않는다 (추 425면, 첫째 소제목)
10월 9일 성서 읽기: 마태 26장
1번: 로마 소개 (감 204-5면, 1-7항)
2번: 마태 26:1-5, 17-30
3번: “성도들”은 하나님과의 중재자로서 섬길 수 없다 (추 425면, 둘째 소제목)
4번: 하나님께서는 숭배의 대상이 되는 형상들을 어떻게 보시는가? (추 426면, 둘째 소제목)
1번: 로마 1:1-8:39 (감 205-6면, 8-12항)
2번: 마태 28:7-20
3번: 심판 날을 두려워할 필요가 없는 이유는 무엇인가? (원 21장, 5-7항)
4번: 우리가 한때 숭배 행위를 나타낸 형상에 대해 어떻게 생각해야 하는가? (추 427면, 소제목)
1번: 로마 9:1-12:21 (감 206-7면, 13-15항)
2번: 마가 1:1-15
3번: 형상을 사용하는 것은 자신의 장래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 (추 428면, 소제목)
4번: 성서의 도덕 표준을 버리는 것은 자유를 가져다 주지 못한다 (추 86면, 첫째 소제목부터 87면, 1항까지)
1번: 로마 13:1-16:27 (감 207면, 16-19항)
2번: 마가 4:21-34
3번: 생명의 부활과 심판의 부활은 각각 무엇인가? (원 21장, 12-14항)
4번: 물질 추구는 자멸을 초래한다 (추 87면, 2항)
1번: 고린도 전 소개 (감 208-9면, 1-7항)
2번: 마가 6:30-44, 56
3번: 그리스도인은 나쁜 교제를 피해야 한다 (추 88면, 1항)
4번: 사단은 하나님의 명령을 거역하게 하는 주동자다 (추 88면, 첫째 소제목과 그 부제목)
1번: 고린도 전 1:1-7:40 (감 209-10면, 8-13항)
2번: 마가 7:5-23
3번: 심판 날에 사람들은 무엇에 근거하여 심판을 받을 것인가? (원 21장, 15-18항)
4번: 그리스도인들은 어떠한 독립적 태도를 피해야 하는가? (추 89면, 소제목부터 90면, 첫째 부제목까지)
1번: 고린도 전 8:1-11:34 (감 210-11면, 14-17항)
2번: 마가 9:1-13
3번: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일부 성서에서 하나님의 이름이 나오는 곳은 어디인가? (추 248면, 소제목부터 250면, 7항까지)
4번: 많은 번역판에서 하나님의 이름을 경시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추 250면, 소제목)
1번: 고린도 전 12:1-16:24 (감 211면, 18-22항)
2번: 마가 12:28-44
3번: 여호와께서 누가 생명 책에 기록될 것인지를 판정하시는 방법 (원 21장, 19-21항)
4번: 「그리스도인 희랍어 성경」의 필자들이 여호와라는 이름을 사용했음을 어떻게 알 수 있는가? (추 251면, 소제목)
1번: 고린도 후 소개 (감 213면, 1-4항)
2번: 마가 13:21-37
3번: “야훼”보다 “여호와”라는 이름을 택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추 252면, 소제목)
4번: 여호와란 이름을 알고 사용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추 253면, 소제목)
1번: 고린도 후 1:1-7:16 (감 213-14면, 5-12항)
2번: 마가 15:1-15
3번: 현재의 심판 날을 살아 남을 자들은 누구인가? (원 21장, 22, 23항)
4번: “구약”의 여호와는 “신약”의 예수가 아니시다 (추 254면, 소제목)
12월 18일 성서 읽기: 누가 1장
1번: 고린도 후 8:1-13:14 (감 214-15면, 13-17항)
2번: 누가 1:57-80
3번: 우리가 여호와를 사랑하면서 두려워할 수 있는 이유 (추 255면, 소제목)
4번: 우리를 다른 종교와 구별시키는 세 가지 믿음 (지지 성구를 사용한다) (추 256-7면)
12월 25일 필기 복습. 마태 16장-누가 1장 전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