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권 전도 학교 복습
1991년 9월 2일 주부터 12월 23일 주까지에 걸쳐 신권 전도 학교 임명에서 다룬 내용을, 책을 덮고 하는 복습. 답을 쓰기 위하여 별지를 사용해서 할당된 시간 내에 될 수 있는 한 많은 질문에 대한 답을 써 넣을 것이다.
[주의: 필기 복습중에는 질문에 대답하기 위하여 성서만을 사용할 수 있다. 질문 끝에 표시된 참조문들은 개인 연구 조사를 돕기 위한 것이다. 「파수대」 참조문 중에는 면과 항 수가 나오지 않을 수도 있다.]
다음의 각 문장이 맞는지 틀리는지 대답하라
1. 「신세계역」은 그리스도인 희랍어 성경에 하나님의 이름을 회복시킨 최초의 번역판이다. [「감」 326면 2항]
2. 고레스 원통은 포로들을 이전의 장소로 복귀시킨 고레스 왕의 정책을 알려 준다. [「감」 336면 20항]
3. 유대인들뿐 아니라 고대 필자들도 모세를 모세 오경의 필자로 받아들였다. 이들 중 일부는 유대인들의 적이었다. [「감」 338면 5항]
4. 세겜이 디나를 강간한 것이 분명하다. (창세 34:1-3)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영) 85 6/15 31면]
5. 오난이 정액을 흘려 버린 일에 대한 창세기 38:8-10의 기록은 피임법의 사용을 금한다.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영) 73 255면]
6. 유다는 창녀로 생각한 여인과 관계를 가짐으로써 바르지 않게 행하긴 하였지만, 하나님의 법의 특정한 명령을 범한 것은 아니었다. (창세 38:11-18)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영) 73 384면]
7. 여호와의 증인이 통치자의 지위에 대한 경의와 존경심에서 우러나와 통치자 앞에서 일어서거나, 허리를 구부려 절하거나, 엎드려 절하기까지 하는 것은 그것이 나라의 관습일 경우 적절한 일이다. (창세 44:14)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영) 74 62면]
8. 모세가 애굽의 모든 물을 피로 변하게 한 후에, 애굽의 술객들은 그 묘기를 흉내냈는데, 자기들의 술법을 행하기 위하여 샘물을 사용했을 것이다. (출애굽 7:19-24)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84 2/15 10면]
9. 셰키나 빛이 성막과 솔로몬의 성전의 지성소에 분명히 있었다. (비교 출애굽 25:21, 22)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영) 66 543면]
10. “다른 해[“치명적인 사고”, 「신세」]”는 산모에게만 적용된다. (출애굽 21:23)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영) 77 479-80면]
다음 질문들에 대답하라
11. 많은 성서 번역본에는 무슨 결점들이 들어 있는가? [「감」 323면 16항]
12. 성서 번역자들이 소위 언어와 형식의 우아함을 살리기 위해 직역을 포기할 때 그 결과는 어떠한가? [「감」 325면 31항]
13. 「신세계역」은 어떻게 일관된 표현을 사용하는가? [「감」 327면 7항]
14. 무엇이 성서의 확실성을 뚜렷하게 알려 주는가? [「감」 342면 25항]
15. 창세기 30:14, 15에서 알려 주는 바와 같이, 라헬이 레아에게 합환채를 받는 대신에 임신할 기회를 기꺼이 주겠다고 한 이유는 무엇인가?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영) 67 320면]
16. 창세기 39:9은 어린 자녀에게 하나님의 말씀을 가르치는 것이 자녀의 장래의 생활에 유익할 것임을 어떻게 알려 주는가?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73 566면 17, 18항]
17.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 백성이 애굽을 영구히 떠나게 하는 것이 자신의 목적이었으면서도, 모세로 하여금 바로에게 광야로 사흘 길을 가게 해달라고 요청하게 하신 이유는 무엇인가? (출애굽 3:18)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83 1/1 24면]
18. 사람의 이름이 하나님의 ‘생명책’에 들어 있다고 하여 영원한 생명이 보증되는가? (출애굽 32:32, 33)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87 9/1 29면]
19. 우리는 “여호와께서는 모세와 대면하여 말씀”하셨다는 사실을 어떤 의미로 설명할 수 있는가? (출애굽 33:11)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영) 70 320면]
다음 각 문장을 완성하는 데 필요한 단어나 구를 써넣으라
20. 히브리어 동사 형태를 번역하는 데 있어서 부정확하게 되는 한 가지 이유는 오늘날 ․․․․․․․이라고 부르는 문법 이론이다. [「감」 328면 14항]
21. 「신세계역」은 1963년까지 ․․․․․․․ 언어로 발표되었으며 ․․․․․․․ 이상이 발행되었다. [「감」 330면 21, 22항]
22. 어느 고고학자에 의하면, 여러 언어들이 퍼져 나가게 된 시발점은 ․․․․․․․였다. [「감」 339면 13항]
23. 재혼의 권리가 있는 이혼의 유일한 근거는 ․․․․․․․이다. [「원」 29장 28항]
24. 실로라는 이름은 ․․․․․․․을 의미하며, 예언적으로 ․․․․․․․를 가리켰다. (창세 49:10) [주간 성서 읽기; 참조 「계」 83-4면]
25. ․․․․․․․ 계약은 ‘제사장 나라와 거룩한 백성’이 형성되는 데 도움이 된다. (출애굽 19:6)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89 2/1 18-19면]
다음의 각 문장에서 정확한 대답을 선택하라
26. 기혼에서의 고고학상의 발견으로 (바벨탑; 다윗 성의 물 터널; 시삭의 유다 침공)에 대한 성서 기록이 확증될 수 있다. [「감」 333면 9항)
27. (티투스 개선문; 본디오 빌라도 비문; 아레오바고)는 아직도 아덴에 남아 있어 사도 행전 17:16-34의 배경을 확증해 준다. [「감」 336면 24항]
28. 분노가 혈압에 영향을 미치며 심장 발작, 두통, 비출혈, 현기증 및 발성 능력 상실을 일으킨다는 현대 의학의 연구 결과는 (잠언 14:30; 욥 19:20; 시 12:3)의 말씀과 일치한다. [「감」 340면 15항(1991년 개정판 참조)]
29. “해 질 때에[“두 저녁 사이에”, 「신세」]”라는 표현은 (정오부터 일몰까지; 해질 때부터 어두움이 덮이는 때까지; 달력상 어느 날 저녁부터 다음날 저녁까지)를 의미한다. (출애굽 12:6)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74 140면]
30. 출애굽기 40:34에 묘사된 것은 (여호와께서 성막을 승인하셨다는 증거; 여호와께서 보이시지 않는 분임을 생각나게 하는 것; 어두운 시대가 닥치리라는 표징)이었다. [주간 성서 읽기; 참조 「령」 57면 30항]
다음 성구들을 아래 열거된 문장들과 맞추라
출애굽 14:21; 신명 23:9-14; 열왕 하 3:4, 5; 시 19:7-10; 시 77:11, 12
31. 모압 비석은 이 성서 기록을 확증한다. [「감」 333면 11항]
32. 위생에 관한 성서의 교훈은 의학적으로 건전하다. [「감」 340면 17항]
33. 다윗은 하나님의 지혜에 대해 마음에서 우러나온 인식을 나타냈다. [「감」 350면 7항]
34. 성경으로부터 유익을 얻기 위해서는, 하나님의 말씀을 끊임없이 묵상해야 한다. [「감」 351면 12항]
35. 그럴싸한 설명이 제시되기도 하지만, 이 사건은 모종의 자연 현상에 불과한 것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개입하신 경우임에 틀림없다.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영) 81 8/15 18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