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한국어
  • 성경
  • 출판물
  • 집회
  • 사 98/8 5-6면
  • 신권 전도 학교 복습

관련 동영상이 없습니다.

죄송합니다. 동영상을 불러오지 못했습니다.

  • 신권 전도 학교 복습
  • 우리의 왕국 봉사—1998
우리의 왕국 봉사—1998
사 98/8 5-6면

신권 전도 학교 복습

1998년 5월 4일 주부터 8월 24일 주까지에 걸쳐 신권 전도 학교 임명에서 다룬 내용을, 책을 덮고 하는 복습. 답을 쓰기 위하여 별지를 사용해서 할당된 시간 내에 될 수 있는 한 많은 질문에 대한 답을 써 넣을 것이다.

[주의: 필기 복습 중에는 질문에 대답하기 위하여 성서만 사용할 수 있다. 질문 끝에 표시된 참조문들은 개인 연구 조사를 돕기 위한 것이다. 「파수대」 참조문 중에는 면과 항 수가 나오지 않을 수도 있다.]

다음의 각 문장이 맞는지 틀리는지 대답하십시오

1. 성서 기록에 의하면, 바울은 고린도를 세 번 방문하였다. [「감」 214면 3항]

2. 그리스도인 침례로 나아가는 단계를 밟는 일은, 여호와 하느님과 예수 그리스도에 관한 정확한 지식을 우리의 마음에 섭취함으로 시작된다. [「짓」 173면 7항]

3. 에베소 5:13 이면에 있는 사상은, 세상적인 행위들은 하느님의 말씀의 빛에 비추어 볼 때 죄가 되는 것임이 드러나고 그러한 행위들이 실제로 어떠한 것인지가 밝혀지게 된다는 것이다.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통」(영)-2 254면 3항]

4. 우리는 여호와 하느님을 섬김으로 생명을 벌 수 있다. [「짓」 182면 4항]

5. 갈라디아 5:26은 참 그리스도인들에게 서로 경쟁하게 하는 스포츠나 게임을 모두 금한다. [주간 성서 읽기; 참조 「깨」95 12/8 15면 8항]

6. 왕국 권익을 증진하려는 열심이 대단히 강하다 해도 다른 사람을 대할 때 재치와 감정 이입과 부드러움이 부족한 것이 정당화되지는 않는다. (고린도 첫째 13:2, 3) [주간 성서 읽기; 「파」95 10/15 31면 5항]

7. 바울은 빌립보에 회중을 세운 지 불과 몇 달 후에 빌립보 사람들에게 편지를 썼는데, 그 계기가 된 것은 그들 사이에 심각한 문제들이 생겼기 때문이다. [「감」 224면 3항]

8. 디모데 첫째 3:16에 언급되어 있는 바와 같이, 예수께서는 부활되실 때 영의 생명을 상으로 받으심으로 “영으로 의롭다고 선언받으”셨다. 이것은 예수께서 전적으로 의로우시며 한층 더 높여진 임명을 받을 자격이 있다는 하느님의 선언과 같은 것이다.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90 1/15 13면 12항]

9. 빌립보 1:23에 언급되어 있는 ‘놓이는 것’은, 바울이 사망한 후에 즉시 그리스도와 함께 있게 될 전망을 말하는 것이 분명하다.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95 3/1 30면 4항]

10. 바울은 로마에 첫 번째 투옥되었다가 석방된 때부터 그 곳에 마지막으로 투옥된 시기 사이에 디모데에게 보낸 첫째 편지를 썼다. [「감」 234면 2항]

다음 질문에 대답하십시오

11. 고린도의 일부 사람들은, 그리스도의 죽음의 기념식을 함께 거행하게 되었을 때 어떻게 “합당하지 않게” 표상물을 취하고 있었는가? (고린도 첫째 11:27)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90 2/15 19면 17항]

12. 누구의 존재가 고린도 회중의 복지에 위협이 되었고, 바울로 하여금 고린도에 두 번째 편지를 쓰려는 마음을 갖게 하였는가? [「감」 214면 2항]

13. 여호와께서는 그분에 대한 숭배를 위하여 우리가 치를지 모르는 희생이 어떤 것이든 그에 대해 어떻게 갚아 주실 것인가? [「짓」 169면 20항]

14. 참 숭배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들과 관련하여 상급 법원에 상소함으로써 무슨 성과가 있어 왔는가? [「와」 683면 4항]

15. 바울은 하느님의 말씀을 사용하는 면에서, 오늘날 그리스도인 봉사자들에게 어떻게 탁월한 모범이 되는가? [「감」 217면 19항]

16. 율법은 “범법을 나타내기 위하여 더하여진 것”이라는, 사도 바울이 한 말의 의미는 무엇인가? (갈라디아 3:19) [주간 성서 읽기; 참조 「숭」 147면 3-4항]

17. 빌립보 1:3-7에서, 바울이 형제들을 칭찬한 이유는 무엇이며, 우리는 그 형제들의 모범으로부터 어떤 유익을 얻을 수 있는가? [「감」 225면 12항]

18. 모든 그리스도인 봉사자들이 골로새 4:6에 나와 있는 조언을 따라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감」 228면 13항]

19. 여자들이 “겸허[로] ··· 자기를 단장하기” 바란다고 사도 바울이 한 말의 의미는 무엇인가? (디모데 첫째 2:9) [주간 성서 읽기; 참조 「깨」90 7/1 19면 2항]

20. “말에 대한 논쟁”과 관련하여 그리스도인들은 왜 디모데 첫째 6:4에 나오는 바울의 경고에 유의해야 하는가? [「감」 236면 15항]

다음 각 문장을 완성하는 데 필요한 단어나 구를 써넣으십시오

21. ․․․․․․․년에, ․․․․․․․와(과) 나치 독일은 정교 조약을 체결하였고 히틀러는 독일에서 ․․․․․․․을(를) 말살하려는 운동을 개시하였다. [「와」 659면 2항]

22. 바울이 고린도 사람들에게 보낸 첫째 편지는 ․․․․․․․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데 대단히 유익하다. 이 편지는 거기에서 많이 인용한다. [「감」 213면 23항]

23. 바울은 갈라디아 사람들에게 보낸 편지에서, 의인(義認)은 ․․․․․․․의 행위에 의한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 예수에 대한 ․․․․․․․에 의한 것이며, 따라서 그리스도인들에게 ․․․․․․․은(는) 불필요하다는 것을 증명한다. [「감」 218면 6항]

24. 바울은 데살로니가 사람들에게 보낸 첫째 편지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에 관하여 네 차례 언급하는데, 그 회중에서 이 가르침에 대해 관심이 있었기 때문인 것 같다. [「감」 231면 15항]

25. 데살로니가 사람들에게 보낸 둘째 편지는 ․․․․․․․이[가] ․․․․․․․에서 썼다. [「감」 232면 4항]

다음 각 문장에서 정확한 대답을 선택하십시오

26. 바울은 봉사의 직무를 수행함으로써 생계를 이어갈 수 있는 자신의 권리를 논하면서, (탈무드; 미슈나; 모세의 율법)을(를) 언급하는데, 거기에 의하면 일하는 짐승의 입에 망을 씌워서는 안 되며, 성전 봉사를 하는 (레위인들; 느디님 사람들; 아론 가계의 제사장들)은 제단에서 자기들의 몫을 받게 되어 있었다. [「감」 213면 24항]

27. 갈라디아 사람들에게 보낸 바울의 편지에서는 이사야 54:1-6을 해설하면서, 여호와의 여자가 (지상의 예루살렘; 위에 있는 예루살렘; 새 예루살렘)임을 밝혀 준다. (갈라디아 4:21-26) [「감」 219면 16항]

28. 에베소 1:10에 나오는 관리 체제는 (메시아 왕국; 통치체; 하느님의 집안 일의 관리에 관한 그분의 방법)을(를) 가리킨다. [「감」 221면 8항]

29. (친유대교주의자; 그리스도교국의 교직자 반열; 큰 바빌론)은(는) 데살로니가 둘째 2:3에 언급되어 있는 “불법의 사람”이라고 할 수 있다.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90 1/15 18면 11항]

30. 구혼 기간에 상대방에 대해 몹시 의심이 간다면, 현명한 행동은 (낭만적인 감정이 의심을 이겨 내게 하는 것; 관계를 중단하는 것; 심각한 결점들에 대해 눈감아 주고 결혼 후에 상황이 나아지기를 바라는 것)이다. [「결」 24면 19항]

다음 성구들을 아래 열거된 문장들과 맞추십시오

고린도 첫째 10:11, 12; 고린도 둘째 4:7; 고린도 둘째 8:14; 빌립보 4:6, 7; 데살로니가 둘째 1:8, 9, 12

31. 그리스도인 봉사의 직무를 자신의 생활에서 첫째 자리에 두는 사람은, 하느님께서 주시는 능력을 경험하게 된다.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90 3/1 29면 5항]

32. 우리는 경고의 본보기로서 모세의 인도를 받던 이스라엘 사람들을 유의하고, 과신을 피해야 한다. [「감」 213면 23항]

33. 물질적 자산을 가진 그리스도인들의 관대한 선물은 그러한 혜택을 덜 받는 지역에 있는 그리스도인들의 필요를 충당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반면에 고통당하는 사람들의 열심과 인내는 도움을 베푼 사람들에게 기쁨과 격려의 근원이 될 수 있다.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93 12/15 21면 20항]

34. 우리는 좋은 소식을 전하는 일을 늦추어서는 안 되는데, 성서에 의하면 오늘날 살아 있는 사람들 가운데 현 악한 제도의 끝까지 계속 살아서 참 숭배의 적으로 판결을 받는 사람은 모두 영원한 멸망을 당할 것이기 때문이다.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89 5/1 19면 4항]

35. 여호와께서는 가장 견디기 어려운 상황 가운데서도 평온함과 안정감을 주신다.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88 11/1 30면 19-20항]

    한국어 워치 타워 출판물 (1958-2025)
    로그아웃
    로그인
    • 한국어
    • 공유
    • 설정
    • Copyright © 2025 Watch Tower Bible and Tract Society of Pennsylvania
    • 이용 약관
    • 개인 정보 보호 정책
    • 개인 정보 설정
    • JW.ORG
    • 로그인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