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사회 계획표
2월 14일로 시작하는 주
10분: 회중 광고. 「우리의 왕국 봉사」에서 선택한 광고. (회중 구역에 적합할 경우) 8면의 제안을 사용하여 「파수대」 2월 15일호와 「깨어라!」 2월 22일호를 제공하는 방법을 실연한다. 어떻게 제공 방법 제안을 회중 구역의 필요에 맞게 조정할 수 있는지 간단히 검토한다.—「우리의 왕국 봉사」 2005년 1월호 8면 참조.
35분: “기념식 철—더 많은 활동을 할 때.”a 봉사 감독자가 다룬다. 6항을 토의할 때 「깨어라!」 2004년 9월 8일호 12-13면에 나오는 내용을 포함시킨다. 보조 파이오니아로 등록한 사람들을 발표한다. 가외로 마련된 야외 봉사 모임들을 간단히 설명한다. 이번 기념식 철에 모든 사람이 어떤 식으로든 더 많은 영적 활동을 하도록 격려한다.
노래 14 및 마치는 기도.
2월 21일로 시작하는 주
10분: 회중 광고. 6면에 나오는 “계속 증거를 받도록 도우십시오” 네모의 주요점을 검토한다. 필요할 경우 모든 사람이 「다음 사람을 방문해 주십시오」(S-43) 용지를 즉시 작성하도록 격려한다.
20분: “여호와의 사랑의 친절에 감사드리십시오.”b 기념식이 열릴 시간과 장소에 더해, 연사의 이름을 비롯한 세부 사항들을 발표한다. 4항을 토의할 때 전도인이 잡지 통로인 사람을 기념식에 초대하는 간단한 실연을 포함시킨다. 기념식 초대장을 아직 나누어 주지 않았다면, 이 집회 후에는 받을 수 있게 할 것이다.
15분: “잘 발전하는 성서 연구를 사회함—6부.”c 성서 연구생이 기념식에 참석하는 사람들 중 매우 소수만이 빵과 포도주를 취하는 이유를 질문하는 4분간의 실연을 포함시킨다. 연구 사회자는 질문한 데 대해 연구생을 칭찬하고 질문을 적어 놓으면서 그 주의 연구 내용을 고려한 다음 토의하자고 제의한다. 연구의 끝부분에서 사회자는 「추리」 책 62-3면에 나오는 “누가 빵과 포도주를 취하는가?” 질문 아래의 내용에 연구생의 주의를 이끈다. 두 사람은 함께 그 내용을 읽으며 연구생은 자신의 질문에 대해 명확한 대답을 해 준 데 대해 감사를 표한다.
노래 21 및 마치는 기도.
2월 28일로 시작하는 주
15분: 회중 광고. 회계 보고. 전도인들에게 2월 야외 봉사 보고를 제출하도록 상기시킨다. (회중 구역에 적합할 경우) 8면의 제안을 사용하여 「파수대」 3월 1일호와 「깨어라!」 3월 8일호를 제공하는 방법을 실연한다. 다른 실용적인 제공 방법도 사용할 수 있다. 한 실연의 끝부분에서는 전도인이 「깨어라!」 3월 8일호 마지막 면을 사용하여 집주인을 기념식에 초대하는 장면을 보여 준다.
20분: 약한 사람들에게 관심을 나타내십시오. (사도 20:35) 1분 이내로 서론을 한 다음 「파수대」 2004년 7월 1일호 17-18면 12-16항을 「파수대」 연구 때처럼 문답식 토의로 진행한다. 유능하게 잘 낭독하는 형제가 항들을 낭독하게 한다. 이 내용을 다가오는 기념식 및 특별 강연과 관련하여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에 초점을 맞춘다.
10분: 「깨어 있으십시오!」 팜플렛을 제공하십시오. 3월에 이 팜플렛을 전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제공 방법들을 토의하고 실연한다. 「우리의 왕국 봉사」 2005년 1월호 삽입물에 나오는 제공 방법 제안이나 회중 구역에서 효과적인 다른 제공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노래 72 및 마치는 기도.
3월 7일로 시작하는 주
10분: 회중 광고. “기념식 유의 사항” 네모의 주요점을 검토한다.
15분: 회중의 필요.
20분: “봉사의 직무에서 잡지를 활용하십시오.”d 3, 4항을 토의할 때 내용을 회중에 적용한다. 사업 구역 봉사, 가두 증거, 공공장소 봉사, 비공식 증거 등에서 잡지를 잘 전하는 한두 명의 전도인과 간단히 회견한다. 그러한 상황에서 어떻게 잡지를 제공하는지 설명해 줄 것을 요청한다. 제공 방법 한 가지를 간단히 실연하거나 경험한 일 한 가지를 재연한다.
노래 192 및 마치는 기도.
[각주]
a 1분 이내로 서론을 하고, 이어서 문답식으로 다룬다.
b 1분 이내로 서론을 하고, 이어서 문답식으로 다룬다.
c 1분 이내로 서론을 하고, 이어서 문답식으로 다룬다.
d 1분 이내로 서론을 하고, 이어서 문답식으로 다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