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를 살펴봄
급증하는 소년 범죄
◆ ‘뉴질랜드’ 경찰국장 ‘더불류. 샤프’의 의회에 대한 보고에 의하면 소년들의 범죄가 놀랄 만큼 증가하였다. 1966년부터 1970년에 배로 증가하였다. 근년에 와서 건수는 37% 이상이나 된다. 이제 모든 범죄의 4분의 1은 청소년들에 의하여 저질러진다.
10대의 부도덕
◆ 미국 ‘캘리포니아’의 한 기관은 10대 사이의 성병과 임신의 충격적인 증가를 보고하였다. 1970년에 10대의 임질 감염율은 1960년보다 거의 10배나 된다. 이제 고등학교 학생의 5분의 1은 졸업전에 성병에 걸리게 될 것이라고 추산된다. 어떤 학교에서는 학생의 반수가 성병에 걸릴 것으로 추산된다. 또한 1970년에 10대 신부의 44‘퍼센트’ 이상이 결혼할 때 이미 임신해 있었다. 어쩔 수 없이 한 이러한 결혼은 4년 이내에 이혼으로 마친다.
낙태 법의 결과
◆ 1970년 7월 1일에 ‘뉴욕’ 주(미국)에서 자유 낙태법이 제정 공포되었다. 1971년 6월 30일로 1년이 된 그 법의 실시 중에 ‘뉴욕’ 시에서만도 거의 165,000건의 낙태 수술이 행하여졌다. 이것은 그 법이 제정되었을 때에 당국자들이 추산했던 수 보다 훨씬 많은 수이다.
정부에 대한 불신 풍조
◆ ‘디트로이트’(미국)의 「푸리프레스」지는 다음과 같이 보도하였다. “광범위하게 조사된 학구적 통계에 의한 새로운 자료에 의하면 미국 시민들 사이에 정부에 대한 견유(犬儒)주의적 태도가 만연하고 있다는 사실이 화요일 들어 났다. ··· 단지 7‘퍼센트’만이 ‘거의 언제나’ 오른 일을 할 것으로 정부를 신뢰할 수 있다고 말하였다.”
믿음을 침식하는 과학
◆ 주로 과학이 진리의 무오류의 근원이라는 개념 때문에 신에 대한 믿음이 침식되고 있다고 ‘유피아이’ 편집 부국장 ‘루이스 카셀스’는 말하였다. 그는 “모든 연령층의 사람들에게는 그들 연령층의 미신이 있다. 우리 연령층의 미신은 과학이 무오류이고 진리에 대한 절대 완전한 지침이라는 개념이다”라고 말하였다. 그는 또한 “과학에 대한 우리의 무조건 추종과 세속적인 일에 몰두로 말미암아 우리는 모든 일들이 물리학적 용어로 설명될 수 있는 누구나 읽을 수 있는 책인 세계에서 살고 있으며 아무 것도 설명할 수 없는 신비란 있을 수 없다고 생각하는 습관에 빠져 버렸다”고 부언하였다. 그러나 ‘카셀스’는 “이것은 그러한 세계가 아니다. 나서 죽을 때까지 우리는—우리 자신의 존재라는 충격적인 사실은 그만두고라도—항상 우리를 경이에 싸여있게 하는 불가사의에 둘려 있다”고 선언하였다.
‘죽어가는’ ‘갈릴리’ 바다
◆ ‘이스라엘’의 과학자들은 즉시 시정책을 마련하지 않는 한 ‘갈릴리’ 바다는 3년 내지 10년이면 없어질 것이라고 예언하였다. ‘이리’ 호(미국)와 기타 호수에 일어나고 있는 바와 같이 그것은 ‘하이파’ 동북쪽 80‘킬로미터’쯤 떨어저 있는 ‘훌라’ 지방에서 이 호수로 흘러 들어오는 질산염으로 말미암은 영양과다 때문이다. 약 15년 전에 이 늪지대는 배수되어 ‘요단’ 강으로부터 공급되는 물로 농사를 지어 왔다. 배수는 이탄지의 흙을 말렸고, 분해 작용을 촉진시켰다. 이것은 질산염의 독을 축적시켰다. 관개수는 이러한 질산염을 조그만 물줄기들로 씻겨 내리게 하여 ‘갈릴리’ 바다로 흘러 들어가게 하였다.
‘그들의 손에 묻은 피’
◆ ‘라살레’ 대학 종교학 교수 ‘피터 리가’는 월남 전쟁중 미국의 ‘가톨릭’ 주교의 행위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논평하였다. “우리 시대의 가장 큰 도덕 문제에 있어서 도덕적 인도의 대거 실패로 말미암아 이 전쟁을 지지한 이들 미국 ‘가톨릭’ 주교들(약 95‘퍼센트’)은 모두 사직해야 한다. 이들은 더는 그 직책에 맞지 않기 때문이다. ··· 손에 피가 묻은 자는 봉사자가 될 수 없다는 교회의 옛 격언이 오늘날처럼 적용되는 때는 없었다. 나는 미국 ‘가톨릭’ 주교들은 그들의 도덕적 실패 때문에 그들의 손에 사람들의 피가 묻어 있다고 주장한다.”
새로운 오염 걱정
◆ 어느 전문가들은 유독 철물인 ‘카드뭄’이 오염물인 수은의 적수가 되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미 일본에서는 ‘카드뭄’의 독으로 말미암은 사망이 발생하였다. 미국의 ‘일리노이즈’, ‘캘리포니아’, ‘와싱턴’ 주에서 적어도 15명이 ‘카디뭄’ 다량이 함유된 과자를 먹고 병에 걸려 있다. 이 금속은 높은 방부성 때문에 그 수요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 이 금속은 자동차 부분품, 용구, 기계, 그릇, 빗장 기타 많은 물품에 사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