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한국어
  • 성경
  • 출판물
  • 집회
  • 깨77 8/8 20-21면
  • 딱다구리—구멍을 뚫도록 놀랍게 설계된 새

관련 동영상이 없습니다.

죄송합니다. 동영상을 불러오지 못했습니다.

  • 딱다구리—구멍을 뚫도록 놀랍게 설계된 새
  • 깨어라!—1977
  • 비슷한 자료
  • 딱따구리 머리의 충격 흡수 장치
    깨어라!—2012
  • 왜 딱따구리의 목은 부러지지 않는가?
    깨어라!—1994
  • “그야말로 살려고 애쓰는 새랍니다”
    깨어라!—1988
  • 목차
    깨어라!—2012
더 보기
깨어라!—1977
깨77 8/8 20-21면

딱다구리—구멍을 뚫도록 놀랍게 설계된 새

숲속을 지나는 데 빠른 속도로 나무를 쪼는 소리가 들려온다. 딱다구리가 나무 줄기에 구멍을 뚫고 있음이 분명하다. 아마 곤충이나 애벌레를 찾고 있을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보금자리를 만들려고 구멍을 파고 있을 것이다. 그러한 광경은 지구상의 여러 곳에서 흔히 볼 수 있다. ‘마다가스카르’와 ‘오스트레일리아’ 지방을 제외하고는 모든 나라에 딱다구리가 살고 있기 때문이다.

딱다구리는 3초도 못되는 순간에 끌과 같은 부리로 나무 줄기나 가지를 마흔 네번이나 쪼아 댈 수 있다. 딱다구리는 어째서 그처럼 나무를 쪼아대는데도 현기증을 일으키지 않는가?

그 해답은 딱다구리의 머리 구조에 있는 것 같다. 딱다구리의 뇌와 바깥쪽에 있는 질긴 뇌막 사이의 간격이 매우 좁다. 따라서 거기에 들어있는 액체의 양은 딱다구리와 유사하면서도 나무를 쪼거나 치지 않는 새들의 경우보다 더 적다. 이 점은 분명히 충격이나 진동으로 인한 액체의 충격파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비교적 단단하면서도 탄력성을 가진 뼈가 뇌를 싸고 있어서 이 중요한 기관이 움직이지 않게 하고 있다. 두개골과 부리 사이의 뼈를 연결하는 탄력성있는 조직도 충격을 막는다. 머리와 귀 뒤쪽을 덮고 있는 커다란 근육도 그러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근육들은 혀의 운동을 조절하는 외에 머리의 ‘쿠션’ 역할을 하면서도 머리의 회전을 막는 완충 장치의 역할을 한다.

딱다구리의 다른 부분 즉 다리, 발, 꼬리, 혀 등도 역시 활동하는 데 도움이 되는 놀라운 구조를 가지고 있다.

다리를 한번 보자. 짧고 튼튼하여 똑바로 선 채 기어오를 수 있게 되어 있다. 발은 네개의 발가락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두번째와 세번째의 발가락은 앞쪽을 향하고 있고 다른 두개는 뒤쪽을 향하고 있다. 네번째 발가락은 옆이나 앞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되어 있다. 각 발가락에는 굽어진 날카로운 발톱이 있다. 그러므로 각 발은 집게와 같은 역할을 하기 때문에 딱다구리가 나무 줄기나 가지, 낭떠러지나 심지어 건물의 벽을 타고 올라 갈 때 그 올라가는 면에 꼭 붙어있을 수 있다.

꼬리도 딱따구리의 성공적인 생활에 도움이 된다. 그것은 딱따구리가 열심히 쪼아 댈 때 버팀대나 꺽쇠 역할을 한다. 꼬리는 열 두개의 튼튼한 깃털로 되어 있는데 널판지들처럼 포개져 있다. 털갈이 할 때도 가운데의 특별히 튼튼한 두개의 깃털은 다른 깃털이 자라나서 버티는 힘을 발휘할 수 있을 때까지 빠지지 않는다.

딱다구리의 혀도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것은 두개골을 고리처럼 둘러싸고 있으며 뼈와 탄성있는 조직으로 이루어진 설골에 붙어 있다. 근육들이 고리같이 생긴 설골 조직과 연결되어 있어서 혀를 부리 밖으로 상당히 내밀 수 있다. 녹색 딱다구리는 부리로부터 10‘센터미터’ 정도까지 혀를 내밀 수 있다. 부리 안팎으로 날름거리면서 끈끈한 점액의 두꺼운 층으로 덮힌 혀를 쑤욱 내밀어 복잡한 통로 속에 숨어 있는 곤충이나 애벌레들을 잡아낸다. 많은 경우에 딱다구리의 혀 끝은 각질로 되어 있고 거기에 강모들이 붙어 있다. 이러한 강모는 애벌레를 쉽게 꿰뚫을 수 있다. 또한 개미나 흰 개미를 퍼내서 잡을 수 있게 많은 강모가 끝에 붙어있는 ‘스푼’ 모양의 혀를 가진 딱다구리도 있다.

딱다구리는 나무 껍질 밑에 먹이가 숨어 있는지를 어떻게 알아 내는가? 일반적으로 날카로운 청각을 통해서 알게 된다. 나무를 쪼은 다음 잠시 쉬면서 어떤 곤충의 움직임이 있는가 포착한다. 또한 곤충이 만들어 놓은 통로에 따라 딱다구리의 쪼는 소리가 다르게 들린다.

참으로 딱다구리는 놀라운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 머리의 내부 구조를 보고 사람들은 앞으로 더 안전한 모자를 만들어 낼지 모른다. 어쨌든 그러한 훌륭한 장비는 딱다구리의 생활에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한국어 워치 타워 출판물 (1958-2025)
    로그아웃
    로그인
    • 한국어
    • 공유
    • 설정
    • Copyright © 2025 Watch Tower Bible and Tract Society of Pennsylvania
    • 이용 약관
    • 개인 정보 보호 정책
    • 개인 정보 설정
    • JW.ORG
    • 로그인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