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이즈’와 ‘버터’에서 강한 마약으로
「깨어라!」 ‘네델란드’ 통신원 기
‘네델란드’에서는 ‘치이즈’와 ‘버터’와 같은 낙농 제품 외에도 엄청나게 많은 강력한 마약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인접 국가들은 이러한 밀수 행위에 대해 강력히 항의해 왔으며 그러한 상황에 대처할 훨씬 더 강력한 조처를 ‘네델란드’ 정부가 취하도록 촉구하고 있다.
‘네델란드’ 전역 특히 ‘암스테르담’ 시에서 범죄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마약이 암시장에서 엄청나게 비싼 값으로 거래되고 있기 때문에 중독자들은 마약값을 지불하려고 절도를 하고 있다. 그들은 심지어 아편이나 ‘모르핀’을 구하기 위하여 약방에 침입하기도 한다. ‘암스테르담’ 중심가에서는 마약에 취한 창녀들이 창가에 앉아서 손님을 기다리는 것을 볼 수 있다. 마약 매매를 둘러싸고 중국인 패거리들 사이에 치열한 투쟁이 전개되고 있다.
그 문제가 아주 심각하기 때문에 ‘암스테르담’ 시의회는 “중독자들에게 자유로이 마약을 제공”하자는 방침에 전반적으로 찬동함으로써 마약 사용의 합법화를 지지하고 있다. 경찰도 그에 찬성하고 있다. 그러나 다른 사람들은 강력하게 항의하고 있다. 마약 사용을 합법화함으로써 많은 중독자들의 수가 더욱 증가될까 두려워하고 있다.
그러한 상황이 어떻게 발생하게 되었는가?
우리는 이러한 심각한 문제가 어떻게 해서 생겨났는가를 알기 위해서 ‘헤이그’ 소재 법무성 경찰 위원회로부터 직접 내용을 알아 보기로 하였다. 그 정부 관서의 대표자와 회견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게 되었다.
‘네델란드’는 그 중심적인 위치 때문에 ‘유럽’에서 마약 밀매의 중심지가 되었다. 그리고 ‘암스테르담’ 시는 이상적인 곳에 자리잡고 있다. ‘암스테르담’에서 몇 ‘킬로미터’만 가면 아주 번잡한 ‘쉬폴’ 국제 공항이 자리잡고 있다. 육로를 통해 몇시간 내에 ‘벨기에’, 독일 혹은 ‘프랑스’로 갈 수 있다. ‘유럽’ 최대의 항구인 ‘로테르담’은 단지 75‘킬로미터’ 밖에 떨어져 있지 않다. 해안선이 많기 때문에 어선이나 유람선들이 쉽게 외따른 곳에서 불법적인 짐을 떨어뜨려 둘 수 있다. 또한 ‘네델란드’의 관대한 법 제도와 외국인들에게 몹시 관용을 베푸는 정책 때문에 범죄적인 요소들이 매력을 느끼고 있다.
1976년 11월까지는 다량의 아편이나 ‘헤로인’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최고 4년형을 받았다. 동부와 북부 ‘아프리카’에 있는 많은 감옥들과 비교할 때 ‘네델란드’ 감옥은 거의 이상적이다. 재소자들이 구타당하는 일은 전혀 없으며, 음식을 풍부하게 주고, 일을 할 필요가 없으며, ‘텔레비젼’을 볼 수도 있고, 읽을 거리나 친척들의 방문을 받을 수 있다. 그러므로 마약 밀수 때문에 단기간 감옥에 들어가 있어도 별로 문제가 안된다. 그 동안 정부는 벌칙을 더 강화하였지만 아직까지는 바라는 결과에 이르지 못하였다. 경찰과 세관원들은 계속 더 많은 마약을 압수하고 있다.
마약 문제가 다른 인접국가들에서 보다 ‘네델란드’에 더 심한 또 하나의 이유는 이곳에서 불법적인 마약 밀매가 계속되어 왔기 때문이다. 그 이유는 무엇인가? 1930년대에 가난한 중국 선원들이 ‘네델란드’에 왔는데 그들은 본국에 있는 그들의 굶주린 가족들을 위하여 육지에서 돈을 벌려고 자기 직업을 그만 두었다. 이 사람들은 음식을 위해서 매일 몇푼 밖에 사용하지 않았다. 그들은 대도시의 가장 가난한 사람이 사는 곳에서 함께 잠을 잤다. 2차 세계 대전 후의 경제가 회복되자 그들의 상태가 호전되었다. 근면하게 일하고 절약함으로써 이전의 이들 선원 중 많은 사람들은 차례로 중국 음식점을 차리게 되었다. 그러나 상당수의 중국인 정착자들은 아편을 피우는 사람들이었는데 계속 그러한 상태로 있었다. 광대한 중국인 거주지의 상점이나 식당에 필요한 거의 모든 것이 ‘홍콩’으로부터 왔기 때문에 화물에는 작은 아편짐이 여기저기에 들어 있었다.
훨씬 후에 ‘헤로인’과 다른 강력한 마약들이 암시장에 나타나게 되었다. 약 4, 5년 전까지만 해도 경찰이나 세관원들에 의해 ‘헤로인’이 압수된 일이 없다. 그러나 이제는 압수된 것이 수백 ‘킬로그램’에 이르는데 그것은 빙산의 일각으로 보인다. 대부분의 아편과 ‘헤로인’은 “황금의 삼각형”으로 알려진 지역—‘버어마’, ‘라오스’, 북부 ‘타이랜드’에서 오고 있다. 어선들이 “황금의 삼각형”으로부터 ‘홍콩’, ‘싱가포르’ 그리고 더욱 최근에는 ‘방콕’으로 아편을 밀수한다. 실제 마약 밀매를 주관하는 강력한 범죄 조직들이 큰 항구에 자리 잡고 있으며, 가능한 모든 방법을 사용하여 마약을 부유한 서구로 보내고 있다. 생산지에서는 아편 원료의 값이 ‘킬로그램’당 약 53‘달러’ 정도인데 중독자들은 전부해서 한 ‘킬로그램’의 ‘헤로인’에 대하여 약 235,300‘달러’를 지불한다. (아주 간단한 화학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10‘킬로그램’의 아편으로부터 일 ‘킬로그램’의 ‘헤로인’이 만들어진다.)
약 800,000명의 미군들이 월남에 주둔하고 있는 동안에는 “황금의 삼각형”에서 나온 대부분의 ‘헤로인’은 월남으로 갔다. 그 병사들의 일부는 이미 마약을 사용해 오고 있었지만 질병, 염려, 밀림속에서의 전쟁으로 인한 압력 등으로 많은 새로운 중독자들이 더 생겨나게 되었다. ‘유럽’ 특히 ‘네델란드’에서 마약과 관련된 커다란 문제는 미군이 월남에서 철수한 후에 시작되었다. 그 이유는 무엇인가? ‘홍콩’과 ‘방콕’에 있는 중국인 조직들이 월남에 있는 훌륭한 시장을 상실한 대신 ‘유럽’에 시장을 개척하려고 가능한 모든 방법을 다 사용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그들은 ‘네델란드’의 중국인들 사이에 있는 범죄 요소를 주로 이용하였다.
마약 문제는 ‘네델란드’에 몹시 좋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십년 전만 하여도 이 나라에는 비교적 범죄가 없었다. 이제 ‘네델란드’ 사회는 청소년 범죄, 절도, 심지어 살인 등으로 얼룩지고 있다. 어떤 사람이 노상에서 강도를 만나거나 폭행을 당하여도 사람들은 도와 주려고 손가락 하나 까딱하지 않는다. 어떤 주일에는 ‘암스텔담’에서 7,000대의 자동차가 피해를 입어 과로한 경찰들은 피해자들에게 단지 서류만 제출하게 하였을 뿐이다. ‘네델란드’ 정부는 ‘암스테르담’에서의 공포와 강도의 영향력을 저지하기 위하여 얼마 동안은 전차에 헌병들을 배치하였다.
그러므로 범죄가 많이 증가한 것은 마약과 직접 관련이 있다. 구매자와 판매자들은 다른 범죄—창녀 행위, 노름, 절도, 장물 거래—등이 성행되는 지역이나 장소에서 서로 만난다. 중독자는 매일 돈으로 118‘달러’ 정도되는 아마 약 반 ‘그램’의 ‘헤로인’을 필요로 한다. 이만한 돈을 정직한 방법으로는 구할 수 없음이 분명하다. 그러므로 마약 중독자들은 마약 매매, 창녀 행위, 절도 행위를 하게 된다. 사실상 그들은 주저하지 않고 물질적인 것을 얻기 위하여 어떠한 범죄든지 사양하지 않는다. 그들은 마약 습관을 계속하기 위하여 엄청나게 많은 것을 훔쳐야 한다. 장물을 팔 때는 실제 값의 약 십분의 일 정도 밖에 받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마약 중독은 전체적으로 아주 많은 범죄와 연관되어 있다.
현재의 경찰력 만으로는 상황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없다. 그러기 때문에 일부 사람들은 모든 중독자들에게 자유로이 공급한다면 마약과 관련된 범죄가 제거될 것이라고 제안하고 있다.
‘네델란드’에서 마약 문제는 확실히 골치거리이다. 그러나 개인적으로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어떻게? ‘네델란드’나 지구상의 다른 곳에서 이전의 중독자들이 ‘여호와의 증인’들과 성서를 연구함으로써 그러한 습관을 버리도록 도움을 받아왔다. 오늘날에는 이전의 그러한 마약 중독자들이 사회의 정상적인 성원이 되었다. 성서의 충고를 적용함으로써 더 많은 사람들이 도움을 받을 수 있다.
[21면 삽화]
“마약을 가지고 다니겠다고? 깨끗이 잊어 버리는 것이 좋다
외국에서는 중벌로 다스린다”
[자료 제공]
마약의 이동을 저지시키기 위한 ‘네델란드’ 정부의 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