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한국어
  • 성경
  • 출판물
  • 집회
  • 깨90 2/1 31면
  • 바다코끼리와 마약 거래

관련 동영상이 없습니다.

죄송합니다. 동영상을 불러오지 못했습니다.

  • 바다코끼리와 마약 거래
  • 깨어라!—1990
  • 비슷한 자료
  • 야생계—사라져가고 있는가?
    깨어라!—1983
  • ‘아프리카’ 삼림의 거물
    깨어라!—1977
  • 세계를 살펴봄
    깨어라!—1974
  • 상아
    성경 통찰, 제1권
더 보기
깨어라!—1990
깨90 2/1 31면

바다코끼리와 마약 거래

바다코끼리와 코끼리보다도 서로간에 더 차이가 나는 두 가지 큰 포유동물을 상상하기란 어려울 것이다. 그러나 베링 해의 유빙 위에서 빈둥거리며 지내는 거대하고 둔하게 움직이는 바다코끼리는 아프리카 초원을 당당하게 돌아다니는 코끼리와 한 가지 공통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다. 그것은 그들이 소유하고 있는 가장 귀중한 것 때문에 때이른 죽음을 당하게 된다는 점이다. 그들에게는 둘 다 엄니가 있다.

바다코끼리는 어쩌면 코끼리보다도 훨씬 더 그 엄니를 사용해서 살아간다. 바다코끼리는 먹이를 찾기 위해 해양저(底)로 내려가는 경우, 그 엄니를 이용해서 미끄러지듯 나아가면서 두 입술로 조개와 굴을 삼킨다. 일광욕을 하기 위해 유빙 위로 기어오르고자 할 때에는, 그 엄니를 갈고리로 사용해서 900 내지 1,400킬로그램 나가는 거구를 물에서 끌어올린다. 어미 바다코끼리는 엄니를 사용하여, 새끼를 위협하는 어떠한 약탈자와도 죽을 때까지 싸운다.

그러나 바다코끼리에게는 서글픈 일이지만, 그 엄니는 또한 인간들에게도 귀중히 여겨진다. 사람에게는 상아를 갖고 싶어하는 끝없는 갈망이 있다. 그런데 북극의 햇볕을 쬐며 빈둥거리고 있는 3, 4미터 크기의 바다코끼리는 반자동 소총을 가진 사람에게는 어려운 목표물이 아니다. 그러므로 일부 알래스카인이 작은 배를 타고 베링 해를 돌아다니다가 어디서 이 짐승을 만나든지 그들을 잡아서 체인 톱으로 잘라낸 다음, 엄니가 있는 머리를 배에 하나 가득 싣고 집에 오는 일은 보통 있는 일이다.

지금까지의 내용은 너무나 잘 아는 이야기지만, 이번에는 이야기가 묘하게 비뚤어져 나가 마약이 연루된다. 젊은 알래스카 에스키모인들은 바다코끼리의 엄니를 이용하여 자기들이 마약을 상용하는 데 쓸 자금을 충당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것도 「뉴스위크」지가 “교환율은 놀라우리만큼 싸다”라고 지적한 바와 같이 하고 있다. 미국 어류 야생 생물국의 한 특별 감독관은 암시장 상인들이 엄니 한쌍—800달러(약 530,000원)나 값이 나감—을 마리화나 담배 여섯 개비로 사들일 수 있다고 「뉴스위크」지에 말하였다.

법률은 사냥감보다는 사냥꾼을 더 보호한다. 알래스카 원주민들에게는 바다코끼리에서 고기를 얻기 위해서 그것을 사냥하는 일이 법으로 허용된다. 물론, 그들은 그 엄니를 부산물로 보관해 두었다가 토산 공예품을 만드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이 법은 공정한 것같아 보이지만, 비양심적인 사람들에게는 안전 지대가 된다. 일부 비원주민 상아 상인은 자기들이 엄니를 사장해 둔 것이 단지 토산 공예용으로 비축한 것뿐이라고 주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에스키모 여인을 데리고 이주해 왔다.

도살이 계속됨에 따라, 우려가 점증하고 있다. 바다코끼리를 합법적으로 사냥하는 사람들과 그 상아를 실제로 공예품을 만드는 데 사용하는 사람들은 생계에 위협을 느낀다. 나이가 많은 에스키모인들은 에스키모 청소년들 사이에서 갑자기 확대되는 마약 중독 재난이 놀랄 정도라는 것을 알고 있다. 그러면 바다코끼리는 어떤가? 태평양에는 아직 약 250,000마리가 살고 있어 절멸 직전으로 여겨지지는 않는다. 그러나 목없는 바다코끼리의 시체 수백구가 해변 기슭으로 떠밀려온다. 너무나 많은 시체가 시베리아 해안으로 떠내려오고 있기 때문에 소련은 미국에 도살을 중단하라고 촉구해 왔다. 그러나 바다코끼리의 엄니가 탐욕가들에게는 돈벌이를, 무절제한 사람들에게는 마약을 의미하는데, 이 동물은 얼마 동안이나 멸종의 염려가 없을 것인가?

[31면 사진 자료 제공]

H. Armstrong Roberts

    한국어 워치 타워 출판물 (1958-2025)
    로그아웃
    로그인
    • 한국어
    • 공유
    • 설정
    • Copyright © 2025 Watch Tower Bible and Tract Society of Pennsylvania
    • 이용 약관
    • 개인 정보 보호 정책
    • 개인 정보 설정
    • JW.ORG
    • 로그인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