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한국어
  • 성경
  • 출판물
  • 집회
  • 깨92 12/1 13면
  • 샤가스병—물려서 걸리는 치명적인 병

관련 동영상이 없습니다.

죄송합니다. 동영상을 불러오지 못했습니다.

  • 샤가스병—물려서 걸리는 치명적인 병
  • 깨어라!—1992
  • 비슷한 자료
  • 당신은 무엇을 알고 있는가?—‘샤가스’씨병에 대하여
    깨어라!—1979
  • 죽음의 “입맞춤”과의 싸움
    깨어라!—2000
  • 질병—사라질 것인가?
    파수대—여호와의 왕국 선포 1983
  • 세계를 살펴봄
    깨어라!—2005
더 보기
깨어라!—1992
깨92 12/1 13면

샤가스병—물려서 걸리는 치명적인 병

카를루스 샤가스라는 브라질 의사는 의학계에서 남아메리카 트리파노소마증으로 알려진 병에다 자기 이름을 따서 병명을 붙였다. 그가 그 병을 발견한 시기는 트리파노소마라는 기생하는 미생물을 분리시켰을 때인 1909년이었다. 그 병은 검진해 내기가 어렵다. 단세포로 된 이들 기생충이 사람의 혈류 속으로 들어간 후, 대부분이 혈액을 떠나 몸 세포에 잠입하여 쉽사리 검출되지 않기 때문이다.

일단 숙주 안에 머물면, 트리파노소마는 급속히 증식한다. 하지만 병의 증상은 다양하다. 일부 감염자들은 그 병에 걸린 징후가 전혀 나타나지 않는 반면, 일부 사람들의 경우는 감염된 지 얼마 안 있어 비장, 간, 림프절, 심지어는 뇌까지 돌이킬 수 없는 해를 입는다. 남아메리카에서는 그 병이 40세 미만의 사람들이 심부전으로 사망하는 주요인이기도 하다. 아직은 그 병을 치료할 만한 약을 전혀 구할 수 없다. 하지만 런던 임페리얼 대학에서 치료약을 제조하기 위해 분자 연구에 적극 몰두하고 있다.

세계 보건 기구의 보도에 의하면, 중남미 지역에서 9000만 명의 사람들이 샤가스병에 걸릴 위험이 있으며, 이미 감염된 사람들은 무려 1800만 명에 달한다. 이 병은 어떻게 옮는가? 개나 고양이에 의해 사람에게 전염될 수도 있지만, 그보다는 보통 침노린재과의 흡혈 곤충으로 알려진 빈추카에 의해 감염된다. 이 벌레가 흡혈 곤충으로 알려진 것은 밤중에 피해자에게 달라붙어 얼굴의 연한 살, 대개 목이나 눈 주위에서 피를 빨아먹기 때문이다.

이 벌레에 물리면 통증이 없다. 이 벌레는 배가 부풀만큼 피를 빨아먹은 후에 피해자에게 균이 들어 있는 똥을 배설한다. 이 벌레 자체가 비벼서든, 피해자가 물린 것도 모르고 긁어대서든, 똥이 환부에 들어가면 혈류가 오염된다. 믿을 수 없는 일이지만, 일부 멕시코인들은 아직도 흡혈 곤충을 최음제로 먹으며 그로 인해서 트리파노소마에 감염된다고 한다.

가난 병이라고도 하는 샤가스병은 대개 가난한 지역에 국한되어 있다. 그러한 지역에서는 진흙으로 만든 오두막 벽의 틈 사이에서 벌레들이 자유로이 번식한다. 하지만 최근에는 리우데자네이루 같은 부유한 도시에서도 그 병이 유행하고 있다. 이유가 무엇인가? 그 병에 감염된 시골 출신 사람들이 공혈하기 때문이다. 브라질에서는 매년 감염된 혈액의 수혈로 인해 샤가스병에 걸리는 새로운 환자가 수천 명이나 된다. 현재 미국에서는 남아메리카에서 이주해 오는 근로자들로 인하여 우려할 만한 문제가 야기되고 있는데, 미국의 일부 혈액 은행은 벌써 오염되어 있다.

흡혈 곤충이 퍼지는 것을 막는 기본 요건은 청결, 좋은 주택, 적절한 위생 시설이다. 또한 그리스도인의 경우, “피를 멀리 하라”는 명령을 그대로 따른다. 그 명령에 순종하면 생명을 구할 수 있다.—사도 15:20.

    한국어 워치 타워 출판물 (1958-2025)
    로그아웃
    로그인
    • 한국어
    • 공유
    • 설정
    • Copyright © 2025 Watch Tower Bible and Tract Society of Pennsylvania
    • 이용 약관
    • 개인 정보 보호 정책
    • 개인 정보 설정
    • JW.ORG
    • 로그인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