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한국어
  • 성경
  • 출판물
  • 집회
  • 깨96 9/22 26-27면
  • 이명—견딜 만한 소음인가?

관련 동영상이 없습니다.

죄송합니다. 동영상을 불러오지 못했습니다.

  • 이명—견딜 만한 소음인가?
  • 깨어라!—1996
  • 소제목
  • 비슷한 자료
  • 이 질병의 원인은 무엇인가?
  • 어떻게 치료하는가?
  • 이 질병을 견디며 살아감
  • 독자로부터
    깨어라!—1997
  • 세계를 살펴봄
    깨어라!—1992
  • 청각을 보호하라!
    깨어라!—2002
  • 소음—당신이 할 수 있는 일
    깨어라!—1997
더 보기
깨어라!—1996
깨96 9/22 26-27면

이명—견딜 만한 소음인가?

베토벤, 독일의 작가 괴테, 이탈리아의 조각가 미켈란젤로는 모두 이 병을 앓은 것인지도 모릅니다. 고대 이집트 사람들 역시 이 병에 대해 알고 있었을지 모르는데, 그들은 이 병을 가리켜 “마법에 걸린 귀”라고 언급한 것 같습니다. 오늘날에는 이 병을 이명(耳鳴) 즉 귀울음이라고 부르며, 서양 인구의 15퍼센트가 주기적으로 혹은 만성적으로 이명을 앓고 있는 것으로 추산됩니다. 1000명당 약 다섯 명은 심한 고통을 겪습니다.

이 괴로운 질병은 정확히 무엇입니까? 이명에 해당하는 영어 단어(tinnitus)는 “딸랑거리다”를 의미하는 라틴어 티니레에서 유래하였으며, “아무런 외부 자극 없이 귀에서 나는 소리”로 묘사됩니다. 「머크 진단 및 요법 편람」(The Merck Manual of Diagnosis and Therapy)에 따르면, 이명에는 “윙윙거리거나 왕왕거리거나 멍멍하거나 쉭쉭거리는 소리가 나는 특징이 [있을 수 있으며] 또한 시간마다 변하는 좀더 복합적인 소리가 관련될 수도 있다. 그러한 소리는 간헐적이거나 지속적으로 또는 규칙적으로 날 수 있다.” 이러한 소음의 크기는 거의 들리지 않을 정도에서부터 짜증 날 만큼 시끄러운 정도에 이르기까지 다양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 소음은 그 소리로 고통받는 사람으로서는 꺼버릴 수 없는 소리입니다. 따라서 그칠 줄 모르는 그 소리는 여러 가지 부작용을 유발하는데, 그 가운데는 감정적 괴로움, 수면 장애, 통증, 집중력 감퇴, 피로, 의사 소통 장애, 우울증 등이 있습니다.

이 질병의 원인은 무엇인가?

이명이 시작되면, 환자는 걱정이 되어서 무엇이 잘못된 것인가 하고 의아해할지 모릅니다. 뇌출혈이 일어난 것인지, 정신 질환을 겪는 것인지 혹은 종양이 생긴 것은 아닌지 염려하게 될 것입니다. 다행히, 심각한 질병으로 인해 이명이 생기는 경우는 드뭅니다. 어떤 사람들은 머리에 외상을 입은 후로 이명이 진행되었습니다. 그리고 스웨덴의 예테보리에 사는, 이명 문제 연구가이자 전문가인 알프 악셀손 교수는 “아스피린 같은 일부 약품을 과다 복용하면 일시적인 부작용으로서 이명이 일어날 수 있다”고 본지에 말하였습니다.

그러나 대체로 이명은 귀 질환 때문에 발생합니다. 악셀손 교수는 이렇게 설명하였습니다. “대개 달팽이관이라는 내이(内耳) 부분에 문제가 있는데, 그 달팽이관에는 현미경으로나 보이는 1만 5000여 개의 털 모양의 감각 세포가 있습니다. 그 세포 가운데 일부가 손상되면, 그것이 보내고 받는 신경 신호의 흐름이 불균형을 이루게 될 수 있습니다. 환자는 이러한 현상을 소음으로 인식하게 됩니다.”

귀가 그와 같은 손상을 입는 원인은 무엇입니까? 악셀손 교수에 따르면, 이명의 한 가지 원인은 시끄러운 소리에 노출되는 것입니다. 일례로, 스테레오 헤드폰을 사용하는 사람들은 데시벨이 높게 음악을 틀어서 해를 입는 경우가 흔합니다. 이명은 그로 인해 생길 수 있는 결과 중 하나입니다.

물론, 리처드 핼럼이 자신의 저서 「이명을 견디며 살아감」(Living With Tinnitus)에서 말한 이와 같은 내용을 염두에 두는 것이 좋습니다. “신체는 완벽하게 고요한 곳이 아니며, 따라서 어느 정도의 ‘이명’은 정상적인 것이다. 근육, 뼈, 혈액 그리고 공기 등의 물리적인 움직임의 결과로 소리가 나게 된다. ·⁠·⁠· 일상적인 상태에서는 이러한 잡음이, 주변 환경에서 나는 더 큰 소리에 묻혀, 전혀 들리지 않게 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 기사를 읽음으로써, 당신은 그러한 잡음에 대해 더 잘 알게 되었을 것입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의 경우 그 잡음은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어떻게 치료하는가?

당신이 이 질병으로 심각한 고통을 겪고 있다면 어떻게 할 수 있습니까?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의사를 만나는 것입니다. 의사는 증상의 원인이 되는 치료 가능한 질병이 있는지 당신이 알도록 도와 줄 것입니다. 유감스럽게도 대부분의 경우 소음을 없애는 치료책은 없습니다. 하지만 그 소음을 견디며 살아가는 데 도움이 되도록 할 수 있는 일들이 많이 있습니다.

▪ 수술: 영국 이명 협회에서 발행한 「이명」(Tinnitus)이라는 팜플렛에서는 이렇게 기술합니다. “이명은 때때로 중이(中耳)에 생긴 질병 때문에 발생하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귓속이나 그 주위에 있는 혈관 혹은 근육에 이상이 생겨 발생하기도 한다. 매우 드문 일이긴 하지만, 이러한 경우에는 수술을 통해 이명이 완전히 없어질 가능성이 있다.”

▪ 약물 치료: 환자가 수면 장애를 겪고 있거나 불안, 긴장, 우울증으로 고통을 겪고 있다면, 의사는 이러한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진정제나 항우울제를 처방해 줄지 모릅니다.

▪ 보청기 및 “차단기”: 가벼운 청각 장애가 있다면, 보청기가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보청기처럼 생긴 차단기라고 하는 기구도 있습니다. 이 기구는 배경음을 내서 이명을 차단합니다. 하지만 때로는 단지 라디오나 선풍기를 틀어 놓는 것만으로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그 밖의 치료법: 악셀손 교수는 본지에 이렇게 말하였습니다. “일부 환자들에게는 고압 산소 요법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 요법에서는 환자를 압력실에 넣어 순수한 산소에 노출되게 합니다. 이렇게 하면, 내이의 치유력이 강화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일부 환자들에게 있어서 이명 증상은 그들이 긴장하거나 불안할 때 더 악화되는 것 같기 때문에, 어떤 의사들은 다양한 긴장 완화 훈련 요법a을 추천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긴장을 푸는 법을 배우고 가능한 한 신체적, 정신적 스트레스를 피하는 것만으로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 질병을 견디며 살아감

그렇지만 이명에 대한 진정한 치료책은 아직까지 묘연합니다. 그러므로 이명은, 견디며 사는 법을 배워야 할 하나의 소음입니다. 「이명을 견디며 살아감」 책에서는 이렇게 말합니다. “현재 나와 동료들은, 이명에 대한 정상적인 반응은 점진적으로 내성이 길러지는 것이라고 굳게 믿고 있다.”

그렇습니다. 당신은 자기 뇌를 훈련시켜서, 그러한 소리는 무시해 버리고 주의를 기울일 가치가 없는 것으로 여기게 할 수 있습니다. 당신은 소음이 많이 들리는 지역에 살고 있습니까? 혹은 선풍기나 에어컨을 사용합니까? 처음에는 그러한 소음이 귀에 거슬릴지 모르지만, 얼마 후에는 그냥 무시해 버리게 됩니다. 사실, 당신은 심지어 그러한 소음이 들리는 가운데서 잠을 자는 법을 터득하였을지도 모릅니다! 그와 마찬가지로 당신은 이명에 지나치게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 법을 배울 수 있습니다.

이명은 다가오는 하느님의 신세계가 도래하기 전까지, 견디어야 하는 많은 질병들 가운데 하나입니다. 신세계에서는 “그 거민은 내가 병들었노라 하지 아니할 것”입니다. (이사야 33:24) 그 때까지는 이명이 좌절을 일으키는 문제일 수 있지만, 그렇다고 당신의 생활을 망치거나 거기에 좌우될 필요는 없습니다. 이명은 견디며 살아가는 방법을 배울 수 있는 하나의 소음임을 확신하기 바랍니다!

[각주]

a 그리스도인은 그러한 요법이 성서 원칙에 위배되는 것이 아닌지를 확인하기를 원할 것이다. 일례로서, 본지 1984년 6월 1일 호에 실린 자가 훈련에 관한 기사 참조.

[26면 삽화]

자격 있는 의사에게 검진을 받는 것이 이명을 견디며 사는 법을 배우는 첫걸음일 수 있다

    한국어 워치 타워 출판물 (1958-2025)
    로그아웃
    로그인
    • 한국어
    • 공유
    • 설정
    • Copyright © 2025 Watch Tower Bible and Tract Society of Pennsylvania
    • 이용 약관
    • 개인 정보 보호 정책
    • 개인 정보 설정
    • JW.ORG
    • 로그인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