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한국어
  • 성경
  • 출판물
  • 집회
  • 깨98 12/8 31면
  • 하늘의 장관

관련 동영상이 없습니다.

죄송합니다. 동영상을 불러오지 못했습니다.

  • 하늘의 장관
  • 깨어라!—1998
  • 비슷한 자료
  • 오메가
    성경 통찰, 제2권
  • “‘알파’와 ‘오메가’”는 누구인가?
    깨어라!—1978
  • “알파와 오메가”는 누구 혹은 무엇을 가리킵니까?
    성경 질문과 대답
  • 작은 거성
    깨어라!—1991
더 보기
깨어라!—1998
깨98 12/8 31면

하늘의 장관

가장 장엄한 하늘의 장관 가운데는 구상 성단들이 있습니다. 이것들은 공모양을 이루고 있으며, 각각의 성단에는 만 개에서 수십만 개의 별들이 모여 있습니다. 우리 은하 즉 은하계에는 약 100개의 구상 성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은하계의 이웃에 있는 별들은, 평균 4에서 5광년의 간격으로 서로 떨어져 있습니다.a 구상 성단 안에 있는 별들은 약 10분의 1광년 간격으로 촘촘하게 모여 있습니다.

사진에서 볼 수 있는 성단은 오메가 센타우루스입니다. 육안으로는 마치 하나의 별처럼 보입니다. 하지만 대형 망원경을 통해서 보면, 모두 약 백만 개의 많은 별들이 눈부시게 빛나는 성단을 이루고 있습니다. 오메가 센타우루스는 남반구에서 보면 가장 잘 볼 수 있지만, 북반구에서도 중간 지점까지는 봄과 여름철의 저녁에 지평선에 가까운 남쪽 하늘에서 관찰이 가능합니다.

오메가 센타우루스 성단의 지름은 약 150광년이므로, 사진의 맨 밑에서 맨 위까지 빛의 속도로 여행하면 대략 150년이 걸릴 것입니다! 지구에서 오메가 센타우루스 성단까지의 거리는 1만 7000광년으로 추산됩니다.

오랫동안 오메가 성단은 단 하나의 별로 알려져 있었습니다. 17세기에 독일의 아마추어 천문학자인 요한 바이어가 이 별에 그리스어 문자인 오메가(ω)라는 이름을 붙였습니다. 하지만 이 오메가가 구상 성단임을 최초로 관찰하여 알게 된 것은, 1677년에 영국의 천문학자인 에드먼드 핼리에 의해서였습니다.

북반구에서 가장 관찰하기 쉬운 구상 성단들 중 하나는 헤라클레스자리에 있는 M13입니다. 이 구상 성단은 약 100만 개의 별로 이루어져 있으며, 지구와의 거리는 오메가 센타우루스 성단보다 4000광년이나 더 멉니다. 그런 까닭에 더 작게 보입니다.

웬만큼 큰 망원경으로 구상 성단을 관찰할 기회가 있다면, 꼭 그렇게 해 보십시오. 구상 성단은 밤하늘에서 볼 수 있는 가장 인상적인 창조물 가운데 하나입니다.

[각주]

a 1광년의 거리는 9조 4605억 3000만 킬로미터이다.

[31면 삽화]

오메가 센타우루스

[자료 제공]

National Optical Astronomy Observatories

[31면 삽화]

M13

[자료 제공]

은하계와 M13: Courtesy United States Naval Observatory

    한국어 워치 타워 출판물 (1958-2025)
    로그아웃
    로그인
    • 한국어
    • 공유
    • 설정
    • Copyright © 2025 Watch Tower Bible and Tract Society of Pennsylvania
    • 이용 약관
    • 개인 정보 보호 정책
    • 개인 정보 설정
    • JW.ORG
    • 로그인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