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한국어
  • 성경
  • 출판물
  • 집회
  • 깨99 1/22 6-9면
  • 식욕 이상의 원인은 무엇인가?

관련 동영상이 없습니다.

죄송합니다. 동영상을 불러오지 못했습니다.

  • 식욕 이상의 원인은 무엇인가?
  • 깨어라!—1999
  • 소제목
  • 비슷한 자료
  • 날씬한 몸매를 중시하는 문화
  • 먹는 일과 감정
  • 식욕 이상—무엇이 도움이 될 수 있는가?
    깨어라!—1999
  • 식품이 당신의 적이 될 때
    깨어라!—1999
  • 누가 식욕 이상에 걸리는가?
    깨어라!—1991
  • 왜 현대식 역병인가?
    깨어라!—1991
더 보기
깨어라!—1999
깨99 1/22 6-9면

식욕 이상의 원인은 무엇인가?

“식욕 이상은 아무런 원인도 없이 그저 별안간 나타나는 것이 아니다. 식욕 이상은 당사자의 생활에서 무엇인가가 잘못되었다는 증상 즉 신호이다.”—사회 사업가 낸시 콜로드니.

식욕 이상은 새로 생겨난 것이 아닙니다. 신경성 식욕 부진증이라는 진단이 정식으로 처음 내려진 때는 1873년이며, 그 증상은 무려 300년 전에도 관찰되었다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제2차 세계 대전 이후로 식욕 부진증 환자의 수가 급격히 증가한 것 같습니다. 대식증의 경우도 상황은 마찬가지입니다. 그 질환은 여러 세기 동안 알려져 있었지만, 그 문제에 관한 한 책의 표현을 빌리자면 최근 수십 년 동안 “폭발적으로 증가하여 주목을 받게 되었”습니다.

식욕 이상의 원인은 무엇입니까? 식욕 이상은 유전되는 것입니까, 아니면 날씬한 몸매를 예찬하는 문화에 대한 특이한 반응으로 나타나는 것입니까? 가정 환경은 어떤 역할을 합니까? 이러한 질문들에 답하기란 쉽지 않습니다. 사회 사업가 낸시 콜로드니가 말한 바와 같이, 식욕 이상을 정의하는 일은 “홍역이나 수두와 같은 질환을 진단하는 것과 달라서 그리 간단한 문제가 아닌데, 홍역이나 수두와 같은 병들은 원인이 무엇인지, 어떻게 걸리게 되는지, 병이 얼마나 지속될 것인지, 가장 좋은 치료 방법은 무엇인지를 의사가 정확히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연구원들은 식욕 이상이 진행되도록 촉진할지도 모르는 여러가지 요인을 지적합니다. 그 중 몇 가지를 고려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날씬한 몸매를 중시하는 문화

부유한 나라의 패션업계에서는 감수성이 예민한 젊은 관객들 앞으로 젓가락처럼 가느다란 모델들을 걸어다니게 함으로, 그들에게 여성은 날씬한 만큼 아름다운 것이라는 인상을 심어 줍니다. 이러한 왜곡된 메시지로 인해 많은 여성들은 건강에 좋지 않을 뿐 아니라 현실적이 아닐 정도로 체중을 줄이기 위해 애쓰게 됩니다. 크리스틴 데이비스 박사는 이렇게 말합니다. “[서양의] 여성들은 평균 165센티미터에 66킬로그램입니다. 하지만 모델들은 평균 180센티미터에 50킬로그램입니다. 우리 중 95퍼센트는 거기에 해당되지 않으며, 결코 그렇게 될 수도 없을 겁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여성들은 자기들이 이상적인 몸매라고 생각하는 것을 얻기 위해 극단적인 조처를 취합니다. 예를 들어, 1997년에 3452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는, 24퍼센트나 되는 여성들이 체중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라면 인생 중 3년을 기꺼이 포기하겠다고 말하였습니다. 이 조사 결과, “인생은 날씬할 경우에만 살 만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소수이기는 하지만 무시할 수 없을 만큼 있었습니다. 조사에 응한 여성의 22퍼센트가 패션 잡지의 모델들이 청소년 시절에 몸매에 대한 자신들의 개념에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기 때문에, 동 보도는 이렇게 결론 내렸습니다. “대중 매체에 등장하는 모델들의 이미지가 여성들이 자신을 보는 방식에 엄청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은 더 이상 부인하려고 해야 부인할 수가 없다.”

물론, 대중 매체가 인위적으로 만들어 낸 이상적인 표준에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가장 큰 사람은, 우선 자기 자신에 대해 좋은 생각을 갖고 있지 않은 사람들입니다. 임상 사회 사업가 아일린 피시먼이 말한 바와 같이, “중요한 것은 자중심”입니다. 자신의 외모를 받아들이는 사람들은 음식에 대한 강박 관념이 거의 생기지 않는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먹는 일과 감정

많은 전문가들의 말에 따르면, 식욕 이상에는 음식 외에도 관련된 것이 더 있습니다. 사회 사업가 낸시 콜로드니는 이렇게 말합니다. “식욕 이상은 당사자가 자신의 생활에서 무시하거나 회피하고 있는 어떤 상황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음을 알려 주는 경고 신호이다. 식욕 이상은 당사자가 무슨 스트레스와 좌절을 겪고 있든 그에 관해 터놓고 이야기하지 않고 있음을 알려 준다.”

어떤 형태의 스트레스와 좌절을 말하는 것입니까? 일부 사람의 경우에는 가정에서 겪게 되는 괴로움과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게닌 로스는 어린 시절에 음식물, 특히 단것이 “문을 세게 닫고 언성을 높이는 일에 대한 방어 수단”이 되었다고 회상합니다. 로스는 이렇게 말합니다. “나는 부모님이 다투시려고 하는 기미만 보이면, 텔레비전 채널을 바꾸는 것만큼이나 쉽게, 어머니와 아버지에 의해 좌우되는 기분에서 빠져 나와 내 입천장에 있는 단것과 나 외에는 아무 것도 존재하지 않는 세계로 의식을 전환하곤 하였습니다.”

때때로 식욕 이상에는 훨씬 더 뿌리 깊은 원인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십대 신체 신서」(The New Teenage Body Book)는 이렇게 지적합니다. “여러 연구 결과에 의하면, 성적으로 충격(학대나 추행)을 받은 적이 있는 사람들은, 몸을 성적으로 매력 없게 만들고 음식물과 같은 안전한 것에 주의를 집중함으로 무의식적으로 자신을 보호하려고 할지 모릅니다.”

물론, 식욕 이상으로 고통을 겪는 사람은 성추행을 당한 적이 있다고 성급히 결론 내려서는 안 됩니다. 식욕 이상의 씨앗은 평온해 보이는 토양에도 뿌려질 수 있습니다. 사실, 식욕 부진증에 걸릴 가능성이 가장 큰 사람은, 스스로 결정을 내릴 자유가 없거나 부정적인 감정을 표현할 자유가 없는 환경에서 사는 소녀일지 모릅니다. 그런 소녀는 겉으로는 순응하지만 속으로는 혼란에 휩싸이게 되며, 자기의 삶을 자기가 주관하지 못하고 있다고 느끼게 됩니다. 감히 드러내 놓고 반항할 용기는 없기 때문에, 자기의 삶 중에 자기가 주관할 수 있는 부분, 즉 자기 몸에 초점을 맞추게 됩니다.

하지만 식욕 이상이 항상 가정의 혼란이나 성적으로 충격을 받은 일 때문에 나타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에 유의해야 합니다. 어떤 사람들의 경우에는 단지 가정 내의 주요 관심사가 체중이기 때문에 식욕 이상이 생깁니다. 아마도, 부모 중 한쪽이 체중 과다이거나 끊임없이 다이어트를 하기 때문에, 음식에 대해 지나치게 조심하거나 심지어 두려워하기까지 하는 태도를 갖게 될지 모릅니다. 그런가 하면, 사춘기가 시작되는 것 자체가 원인인 사람들도 있습니다. 성인이 되어 가는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인 신체적 변화가 일어나면서, 소녀들은 자신이 뚱뚱하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특히, 또래 소녀들보다 성숙하는 속도가 더 빠를 경우에는 그러합니다. 이처럼 변해 가는 과정이 두렵게 느껴지면 소녀들은 여성다운 곡선미가 생기는 것을 피하기 위해 극단적인 조처를 취할지도 모릅니다.

일부 연구원들은 감정적인 요인을 언급하는 것에 더해, 신체적인 요인도 관련이 있을지 모른다고 말합니다. 예를 들어, 그들은 대식증이 환자의 뇌에서 일어나는 화학 반응에 뿌리를 두고 있을지도 모른다고 지적합니다. 기분과 식욕을 조절하는 뇌 부위가 관련되어 있으며, 대식증 환자의 증세를 완화시키는 데 때때로 항우울제가 효과가 있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고 그들은 주장합니다.

어떤 경우이든, 연구원들이 식욕 부진증이나 대식증을 일으키는 어느 한 가지 원인을 집어내기란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식욕 이상과 싸우고 있는 사람들을 돕기 위해 어떻게 할 수 있습니까?

[7면 삽화]

식욕 부진증 환자들은 흔히 자신의 외모에 대해 왜곡된 견해를 가지고 있다

[8, 9면 삽화]

대중 매체는 날씬한 것이 아름답다는 생각을 조장한다

    한국어 워치 타워 출판물 (1958-2025)
    로그아웃
    로그인
    • 한국어
    • 공유
    • 설정
    • Copyright © 2025 Watch Tower Bible and Tract Society of Pennsylvania
    • 이용 약관
    • 개인 정보 보호 정책
    • 개인 정보 설정
    • JW.ORG
    • 로그인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