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한국어
  • 성경
  • 출판물
  • 집회
  • 깨00 3/8 3-4면
  • 사람들이 전혀 모르고 있는 사실

관련 동영상이 없습니다.

죄송합니다. 동영상을 불러오지 못했습니다.

  • 사람들이 전혀 모르고 있는 사실
  • 깨어라!—2000
  • 소제목
  • 비슷한 자료
  • 과연 모든 사람이 자유를 누리는가?
  • 하느님께서 노예 무역을 용인하셨는가?
    깨어라!—2001
  • 성서는 노예 제도를 용인하는가?
    깨어라!—2011
  • 오늘날 어떤 사람들이 노예가 되는가?
    깨어라!—2000
  • 노예 제도—여전히 계속되고 있는 악습
    깨어라!—2002
더 보기
깨어라!—2000
깨00 3/8 3-4면

사람들이 전혀 모르고 있는 사실

“사람은 누구를 막론하고 노예 신분이나 노복(奴僕) 상태하에 있어서는 아니 된다. 노예 제도와 노예 매매는 어떤 형태를 막론하고 금지되어야 한다.”—세계 인권 선언.

이 다음에 커피에 설탕을 넣게 된다면, 아이티 사람인 프레보에 관해 생각해 보기 바랍니다. 그는 카리브 해에 있는 다른 나라에서 좋은 직장을 얻게 해 주겠다는 약속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그 대신 단돈 8달러에 어디론가 팔려 가고 말았습니다.

프레보는 노예 상태로 전락한 수많은 동포들과 같은 처지가 되었습니다. 그들은 6, 7개월 동안 돈을 거의 또는 전혀 받지 못한 채 강제로 사탕수수 베는 일을 하였습니다. 노예나 다를 바 없는 그들은 사람들로 북적거리는 불결한 환경에서 생활하였습니다. 그들은 소지품을 빼앗긴 다음, 벌채용 칼을 받았습니다. 먹고 살려면 일을 해야 합니다. 탈출을 시도했다가는 구타를 당할 수도 있습니다.

동남 아시아에 사는 린린이라는 소녀의 경우도 생각해 보십시오. 린린은 열세 살 때 어머니가 사망하였습니다. 한 직업 소개소에서 좋은 일자리를 얻어 주겠다고 약속하면서 아버지에게 480달러(미화)를 주고 린린을 사 갔습니다. 린린을 데려가면서 지불한 돈은 “린린이 벌게 될 돈에 대한 선금”이라고 했는데, 이것은 린린을 새로운 주인에게 영원히 속박시키는 확실한 방법이었습니다. 린린은 괜찮은 일자리를 얻기는커녕 사창가로 끌려갔습니다. 그곳으로 린린을 찾아오는 사람들은 주인에게 시간당 4달러(미화)를 지불합니다. 린린은 감옥에 갇혀 있는 죄수나 다름없었습니다. 빚을 다 갚을 때까지는 떠날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그 빚에는 사창가 주인에게 갚아야 할 돈에 이자와 생활비까지 포함됩니다. 주인이 원하는 대로 행동하기를 거부하면, 린린은 구타를 당하거나 심한 학대를 당할지도 모릅니다. 그보다 훨씬 더 끔찍한 일로, 탈출을 시도했다가는 죽임을 당할 수도 있습니다.

과연 모든 사람이 자유를 누리는가?

대부분의 사람들은 노예 제도가 더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사실, 수많은 협정과 선언과 법령을 통해 노예 제도는 대부분의 나라에서 공식적으로 폐지되었다고 공포되었습니다. 어느 곳에서나 노예 제도에 대해 강한 혐오감을 표명합니다. 노예 제도는 국법으로 금지되어 있으며, 노예 제도의 폐지는 국제 문서—특히, 위에 인용한 1948년에 채택된 세계 인권 선언 제4조—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노예 제도는 엄연히 존재하고 있으며 그것도 상당히 성행하고 있습니다. 단지 일부 사람들이 그러한 사실을 전혀 모르고 있을 뿐입니다. 프놈펜에서 파리까지, 뭄바이에서 브라질리아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사람들—남자와 여자와 어린이들—이 강제로 노예처럼 생활하거나 노예나 다름없는 상태로 생활하면서 일하고 있습니다. 세계에서 가장 오래 된 강제 노동 감시 단체로서 런던에 본부를 둔 국제 노예 방지 기구에서는, 노예처럼 속박되어 있는 사람이 수억 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사실, 오늘날 세상에는 이전 어느 때보다도 많은 노예가 있을지도 모릅니다!

물론, 쇠고랑과 채찍, 경매와 같은 눈에 익은 광경은 현대판 노예 제도의 특징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오늘날 더 잘 알려져 있는 형태의 노예 생활을 몇 가지만 언급하자면, 강제 노동, 종살이나 다름없는 결혼 생활, 빚에 의한 속박, 어린이 노동 그리고 많은 경우 매춘이 있습니다. 첩(妾), 낙타를 모는 사람, 사탕수수를 수확하는 일꾼, 양탄자를 짜는 사람, 도로를 건설하는 인부 등도 노예나 다름없는 생활을 하고 있을지 모릅니다. 사실, 대다수는 공개 경매를 통해 팔려 가지는 않지만, 사실상 옛날 노예보다 나을 것이 전혀 없습니다. 그보다 훨씬 더 비참한 생활을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면 어떤 사람들이 노예가 되고 있습니까? 그런 사람들은 어떻게 노예가 됩니까? 그들을 돕기 위해 어떤 조처가 취해지고 있습니까? 노예 제도가 완전히 없어질 날이 가까웠습니까?

[4면 네모와 삽화]

현대판 노예 생활이란 무엇인가?

이것은 심지어 국제 연합도 여러 해에 걸친 노력에도 불구하고 대답하기 어려워하는 질문이다. 노예 생활에 대한 한 가지 정의로 1926년에 체결된 노예 협정에서 공식적으로 규정한 것이 있는데, 그 협정에서는 이렇게 기술하였다. “노예 생활이란, 일부이든 전부이든 소유권과 관련된 권한의 지배를 받는 사람의 신분이나 상태를 말한다.” 하지만 이 용어는 달리 해석될 여지가 있다. 언론인인 바버라 크로셋의 말에 따르면, “노예 생활은 외국의 의류 업계와 운동복 업계에서 일하는 저임금 근로자들과 미국의 여러 도시의 노동력 착취 공장에서 일하는 저임금 근로자들에게 붙어다니는 꼬리표이다. 그 말은 섹스 산업이나 교도소에서 행해지는 노동을 비난하기 위해 사용하는 말이기도 하다.”

국제 노예 방지 기구의 책임자인 마이크 도트리지는 “새로운 형태의 노예 생활이 등장함에 따라—노예 생활이라는 말이 더 많은 상황에 적용됨에 따라—그 의미가 모호해지거나 심지어 약화될 위험성도 있다”고 생각한다. 그는 “노예 생활을 하고 있는지의 여부는, 다른 사람의 생활을 소유하거나 지배하는 요소가 있는지를 보면 알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한 요소에는 강제로 일을 시키는 것과 활동을 제한하는 것—“마음대로 떠나거나 고용주를 바꿀 자유가 없다”는 사실—이 포함된다.

A. M. 로젠탈은 「뉴욕 타임스」지에 기고한 글에서 이렇게 지적하였다. “노예들은 노예 생활을 한다. 극심한 노동, 성폭행, 굶주림, 심한 학대 등 모든 면에서 비참한 생활을 하는 것이다.” 그는 이렇게 부언하였다. “50달러면 노예를 살 수 있으므로, [주인에게는] 노예가 얼마나 살다가 강물에 버려지든 전혀 문제 될 것이 없다.”

[자료 제공]

Ricardo Funari

    한국어 워치 타워 출판물 (1958-2025)
    로그아웃
    로그인
    • 한국어
    • 공유
    • 설정
    • Copyright © 2025 Watch Tower Bible and Tract Society of Pennsylvania
    • 이용 약관
    • 개인 정보 보호 정책
    • 개인 정보 설정
    • JW.ORG
    • 로그인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