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한국어
  • 성경
  • 출판물
  • 집회
  • 깨 12/10 15면
  • 침엽수비단벌레의 놀라운 감각 기관

관련 동영상이 없습니다.

죄송합니다. 동영상을 불러오지 못했습니다.

  • 침엽수비단벌레의 놀라운 감각 기관
  • 깨어라!—2012
  • 비슷한 자료
  • 곤충 세계의 살아 있는 보석
    깨어라!—2004
  • 쇠똥구리의 내비게이션 시스템
    깨어라!—2014
  • 폭탄먼지벌레의 압력 분사 장치
    깨어라!—2008
  • 악마 철갑 딱정벌레의 외골격
    진화의 산물인가?
더 보기
깨어라!—2012
깨 12/10 15면

우연의 산물인가?

[자료 제공]

침엽수비단벌레의 놀라운 감각 기관

산불이 나면 대부분의 동물은 황급히 그곳을 떠나지만, 침엽수비단벌레는 오히려 불이 난 곳을 찾아갑니다. 이유가 무엇입니까? 막 불에 탄 나무는 이 곤충이 알을 낳기에 최적의 장소이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불이 나면 포식자들이 숲에서 사라지기 때문에 자유롭게 먹이를 먹고 짝짓기를 하고 안전하게 알을 낳을 수 있습니다. 그러면 침엽수비단벌레는 불이 난 곳을 어떻게 찾습니까?

침엽수비단벌레의 적외선 감지 수용기

침엽수비단벌레의 적외선 감지 수용기

생각해 보십시오: 침엽수비단벌레는 가운뎃다리 옆에 피트 기관이라는 감각기가 있어서 산불이 날 때 나오는 적외선을 감지할 수 있습니다. 적외선은 피트 기관에 열을 발생시키고 침엽수비단벌레는 이것을 감지해서 불이 난 방향으로 날아가는 것입니다.

침엽수비단벌레가 불을 감지하는 감각 기관은 이것뿐만이 아닙니다. 이 곤충의 더듬이는 자기가 좋아하는 나무가 불에 타면서 공기 중으로 방출되는 미량의 특정 화학 물질을 감지합니다. 몇몇 연구가들에 따르면, 이 곤충은 “연기 감지기” 더듬이로 800미터 이상 떨어진 곳에서 연기를 내는 나무 한 그루도 찾아낼 수 있습니다. 침엽수비단벌레가 이러한 감각 기관을 총동원하면 48.3킬로미터 이상 떨어진 곳에서 일어난 산불도 감지하고 찾아가는 것으로 여겨집니다!

연구가들은 적외선과 화재를 감지하는 장치를 개선하기 위해 침엽수비단벌레의 피트 기관과 더듬이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기존의 고해상도 적외선 감지 장치는 낮은 온도에서만 작동하기 때문에, 이 곤충은 실온에서도 잘 작동하는 감지 장치를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공학자들은 침엽수비단벌레의 더듬이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산불이 발생할 때 생겨나는 화학 물질과 그 밖의 다른 화학 물질을 구별할 수 있는 더 민감한 화재 감지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연구가들은 침엽수비단벌레가 알 낳는 곳을 찾는 독특한 방법에 놀라움을 금치 못합니다. 미국 코넬 대학교의 곤충 전문가인 E. 리처드 호베커는 “침엽수비단벌레는 알 낳는 장소를 찾는 이런 능력을 어떻게 갖게 된 것인가?” 하고 질문을 던진 뒤 이렇게 덧붙입니다. “곤충이 가진 믿기 힘들 만큼 민감하고 복잡한 감각 메커니즘에 대해 우리가 아는 것은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다.”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침엽수비단벌레의 산불을 감지하는 능력은 진화된 것입니까? 아니면 설계된 것입니까?

    한국어 워치 타워 출판물 (1958-2025)
    로그아웃
    로그인
    • 한국어
    • 공유
    • 설정
    • Copyright © 2025 Watch Tower Bible and Tract Society of Pennsylvania
    • 이용 약관
    • 개인 정보 보호 정책
    • 개인 정보 설정
    • JW.ORG
    • 로그인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