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한국어
  • 성경
  • 출판물
  • 집회
  • 웹진산 기사 39
  • 악마 철갑 딱정벌레의 외골격

관련 동영상이 없습니다.

죄송합니다. 동영상을 불러오지 못했습니다.

  • 악마 철갑 딱정벌레의 외골격
  • 진화의 산물인가?
  • 비슷한 자료
  • 시포칠루스 풍뎅이의 등껍질
    깨어라!—2009
  • 폭탄먼지벌레의 압력 분사 장치
    깨어라!—2008
  • 곤충 세계의 살아 있는 보석
    깨어라!—2004
  • 침엽수비단벌레의 놀라운 감각 기관
    깨어라!—2012
더 보기
진화의 산물인가?
웹진산 기사 39
악마 철갑 딱정벌레

Heather Broccard-Bell/iStock via Getty Images

진화의 산물인가?

악마 철갑 딱정벌레의 외골격

악마 철갑 딱정벌레(Phloeodes diabolicus)는 북아메리카 서부에 서식하고 있습니다. 연구가들에 따르면, 이 딱정벌레는 자기 몸무게의 약 3만 9000배나 되는 무게를 견디며 차가 밟고 지나가도 살아남을 수 있습니다. 이 딱정벌레는 어떻게 그처럼 엄청난 압력을 견딜 수 있습니까?

이 딱정벌레의 딱딱한 외골격은 등 부분과 배 부분으로 나뉘어 있고, 두 부분이 맞닿은 측면을 결합시켜 주는 연결부가 있습니다. 이 측면 연결부의 구조에는 세 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첫 번째 유형은 연결부가 아주 단단하게 맞물려 있어서, 압력을 받을 때에도 거의 변형되지 않고 주요 장기들을 보호합니다. 두 번째 유형은 비교적 덜 견고한 구조라서 변형이 더 쉽게 일어납니다. 세 번째 유형은 구조상 외골격의 등 부분과 배 부분이 옆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해 줍니다. 세 번째 유형이 가진 유연성 덕분에 이 딱정벌레는 나무껍질 밑으로 비집고 들어가거나 비좁은 바위틈 사이에 몸을 숨길 수 있습니다.

또한 외골격의 등 중앙 부분에는 왼쪽과 오른쪽의 외골격을 연결해 주는 긴 결합부가 있습니다. 그 결합부의 단면을 보면 마치 퍼즐 조각의 이빨처럼 서로 맞물려 있는데 이러한 구조가 압력을 분산시킵니다. 이 ‘이빨’ 부분은 여러 개의 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층은 접착제 역할을 하는 단백질로 서로 붙어 있습니다. 압력을 받으면 단백질로 이루어진 접착 부위에 미세한 균열이 생기는데, 그 덕분에 결합부의 ‘이빨’ 부분이 부서지지 않고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됩니다. 그리고 접착 부위에 생긴 균열은 시간이 지나면 회복됩니다.

악마 철갑 딱정벌레를 그린 그림. 이 딱정벌레의 외골격 단면도에는 등 부분과 배 부분이 만나는 측면 연결부와, 서로 맞물려 있는 등 중앙 부분의 결합부가 보입니다.

결합부가 마치 퍼즐 조각의 이빨처럼 서로 맞물려 있습니다

빨간색 화살표는 외골격의 등 부분과 배 부분이 결합되는 측면 연결부를 가리킵니다. 회색 화살표는 서로 맞물려 있는 등 중앙 부분의 결합부를 가리킵니다

연구가들은 이 딱정벌레의 외골격을 연구하면, 자동차나 다리나 건물 등을 만들 때 압력과 충격을 잘 견디는 더 안전한 구조로 설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합니다.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악마 철갑 딱정벌레의 외골격은 진화된 것입니까? 아니면 설계된 것입니까?

    한국어 워치 타워 출판물 (1958-2025)
    로그아웃
    로그인
    • 한국어
    • 공유
    • 설정
    • Copyright © 2025 Watch Tower Bible and Tract Society of Pennsylvania
    • 이용 약관
    • 개인 정보 보호 정책
    • 개인 정보 설정
    • JW.ORG
    • 로그인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