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한국어
  • 성경
  • 출판물
  • 집회
  • 사도행전 5
  • 신세계역 성경 (연구용)

관련 동영상이 없습니다.

죄송합니다. 동영상을 불러오지 못했습니다.

사도행전 개요

    • 라. 반대에도 불구하고 증거하다 (4:1–5:42)

      • 베드로와 요한이 체포되다. 남자 5000명을 포함하여 많은 사람들이 믿게 되다 (4:1-4)

      • 베드로가 산헤드린 앞에서 변론하다 (4:5-22)

      • 제자들이 담대하게 하느님의 말씀을 계속 전하게 해 달라고 기도하다 (4:23-31)

      • 제자들이 소유물을 함께 나누어 쓰다 (4:32-37)

      • 아나니아와 삽비라가 여호와의 영을 시험하다 (5:1-11)

      • 사도들이 많은 표징을 행하다 (5:12-16)

      • 사도들이 감옥에 갇혔다가 여호와의 천사에 의해 풀려나다 (5:17-21ㄱ)

      • 사도들이 다시 산헤드린 앞에 서다 (5:21ㄴ-32)

      • 가말리엘이 “하느님을 대적하여 싸우는 사람”이 되지 말라고 조언하다 (5:33-40)

      • 사도들이 성전에서 그리고 집집에서 전파하다 (5:41, 42)

사도행전 5:1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1권 1288면

    「통찰」 제2권 1017면

    「파수대」

    2008/10/15, 5-6면

    2006/6/15, 27면

  • 출판물 색인

    통-1 1288; 통-2 1017; 파08 10/15 5-6; 파06 6/15 27

사도행전 5:2

상호 참조 성구

  • +행 4:34, 35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증거하십시오」 35면

    「통찰」 제1권 812, 1288면

    「통찰」 제2권 1017면

    「파수대」

    2008/10/15, 5-6면

    2006/6/15, 27면

    1990/6/1, 14면

  • 출판물 색인

    철 35; 통-1 812, 1288; 통-2 1017; 파08 10/15 5-6; 파06 6/15 27; 파90 6/1 14

사도행전 5:3

  • 당신이 사탄에게 넘어가 대담해져서: 직역하면 “사탄이 당신의 마음을 가득 채워”. “마음을 가득 채우다”에 해당하는 그리스어 표현은 이 문맥에서 “감히 어떤 일을 하려고 하다; 대담해지다”라는 의미이다. 이 표현은 동일한 의미를 가진 히브리어 관용구에서 나온 것 같다. 예를 들어, 더 7:5에서는 “마음을 가득 채우다”를 의미하는 히브리어 표현이 ‘감히 ~을 하려고 하다’로 번역되었다. 전 8:11에서는 동일한 관용구가 “마음이 악을 행하는 데 더 대담해지다”로 번역되었다.

멀티미디어

  • 그리스도인 그리스어 성경의 초기 양피지 사본

상호 참조 성구

  • +행 5:9
  • +시 101:7; 엡 4:25; 골 3:9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1권 1073-1074면

    「파수대」

    1990/6/1, 14면

  • 출판물 색인

    통-1 1073-1074; 파90 6/1 14;

    파85 1/1 21; 깨72 9/8 22

사도행전 5:4

색인

  • 출판물 색인

    파77 134

사도행전 5:6

색인

  • 출판물 색인

    파76 162

사도행전 5:8

색인

  • 출판물 색인

    잘 73

사도행전 5:9

  • 여호와의 영: 히브리어 성경에는 “여호와의 영”이라는 표현이 여러 번 나온다. (그러한 예를 보려면 삿 3:10; 6:34; 11:29; 13:25; 14:6; 15:14; 삼상 10:6; 16:13; 삼하 23:2; 왕상 18:12; 왕하 2:16; 대하 20:14; 사 11:2; 40:13; 63:14; 겔 11:5; 미 2:7; 3:8 참조) “여호와의 영”이라는 표현은 눅 4:18에도 나오는데, 이 구절은 사 61:1을 인용한 것이다. 사 61:1과 히브리어 성경의 다른 구절들의 히브리어 원문에서는 “영”에 해당하는 단어와 함께 테트라그람마톤이 사용되었다. 현존하는 그리스어 사본들에서는 행 5:9의 이 부분이 “주의 영”으로 되어 있지만 「신세계역」 본문에서는 “여호와의 영”이라는 표현을 사용한 이유가 부록 다1 및 다3 소개; 행 5:9에 설명되어 있다.

사도행전 5:10

색인

  • 출판물 색인

    파76 162

사도행전 5:11

  • 회중: 사도행전에서 그리스어 엑클레시아는 이 구절에 처음 나온다. 이 단어는 “밖으로”를 의미하는 그리스어 엑과 “부르다”를 의미하는 그리스어 칼레오가 결합된 형태이다. 이 단어는 특정한 목적이나 활동을 위해 부름을 받은 사람들의 집단을 가리킨다. 따라서 새로 형성된 그리스도인 회중을 가리키는 데 적합한 표현이다. (용어 설명 참조) 엑클레시아는 마 16:18에서도 사용되었는데 (연구 노트 참조) 그 구절에서 예수께서는 기름부음받은 그리스도인들로 이루어진 그리스도인 회중이 형성될 것임을 예언하셨다. 그들은 “영적인 집으로 세워져 가는” 산 돌이다. (벧전 2:4, 5) 그리스도인 그리스어 성경에서 “회중”이라는 표현은 기름부음받은 그리스도인들로 이루어진 집단뿐 아니라 특정한 지역에 사는 모든 그리스도인이나 특정 회중에 속해 있는 그리스도인들을 가리킬 수도 있다. 문맥을 볼 때 이 구절(행 5:11)에 나오는 “회중”은 예루살렘에 있는 그리스도인 회중을 가리킨다.—행 7:38 연구 노트 참조.

색인

  • 출판물 색인

    파72 82

사도행전 5:12

  • 놀라운 일: 또는 “전조”.—행 2:19 연구 노트 참조.

멀티미디어

  • 솔로몬의 주랑

상호 참조 성구

  • +행 4:29, 30; 6:8; 14:3; 15:12; 롬 15:18, 19; 고후 12:12
  • +요 10:23; 행 3:11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증거하십시오」 37-38면

    「통찰」 제1권 1173면

    「통찰」 제2권 542, 745면

  • 출판물 색인

    철 37-38; 통-1 1173; 통-2 542, 745

사도행전 5:13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파수대」

    1990/6/1, 14면

  • 출판물 색인

    파90 6/1 14

사도행전 5:14

상호 참조 성구

  • +행 2:41; 6:7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파수대」

    1990/6/1, 14면

  • 출판물 색인

    파90 6/1 14

사도행전 5:15

상호 참조 성구

  • +마 9:20, 21

사도행전 5:17

상호 참조 성구

  • +행 4:1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증거하십시오」 38면

    「통찰」 제2권 96면

  • 출판물 색인

    철 38; 통-2 96

사도행전 5:18

각주

  • *

    직역하면 “사도들에게 손을 대어”.

상호 참조 성구

  • +눅 21:12

사도행전 5:19

  • 여호와의 천사: 이 표현은 히브리어 성경에서 “천사”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단어와 테트라그람마톤이 결합된 형태로 자주 등장하며, 창 16:7에 처음 나온다. 이 표현은 슥 3:5, 6에도 나오는데, 「칠십인역」의 한 초기 사본에서 그 구절을 보면, 그리스어 앙겔로스(천사; 사자) 다음에 히브리어 글자로 된 하느님의 이름이 나온다. 그 「칠십인역」 단편은 이스라엘 유대 사막의 나할헤베르에 있는 동굴에서 발견되었으며, 기원전 50년에서 기원 50년 사이에 기록된 것으로 추정된다. 현존하는 그리스어 사본들에서는 행 5:19의 이 부분이 “주의 천사”로 되어 있지만 「신세계역」 본문에서는 “여호와의 천사”라는 표현을 사용한 이유가 부록 다1 및 다3 소개; 행 5:19에 설명되어 있다.

상호 참조 성구

  • +시 34:7; 행 12:7; 16:26; 히 1:7, 14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증거하십시오」 38면

  • 출판물 색인

    철 38

사도행전 5:20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증거하십시오」 38면

  • 출판물 색인

    철 38

사도행전 5:21

  • 이스라엘 자손: 또는 “이스라엘 백성; 이스라엘 사람들”.—용어 설명 “이스라엘” 참조.

    장로의 총회: 여기 사용된 그리스어 게루시아는 요 3:4에 나오는 게론(직역하면 “노인; 나이가 많은 사람”)과 어근이 같은 단어이다. 두 단어 모두 그리스도인 그리스어 성경에 한 번밖에 나오지 않는다. 일부 학자들은 ‘장로의 회’라는 표현이 예루살렘에 있던 유대인의 최고 법원인 산헤드린을 가리킨다고 생각한다. 산헤드린은 수제사장들과 서기관들과 장로들로 구성되었다. (눅 22:66 연구 노트 참조) 하지만 문맥을 볼 때 이 구절에 나오는 “산헤드린”과 ‘장로의 회’는 별도의 두 조직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 두 조직은 서로 엄격히 구분되지는 않았던 것 같다. ‘장로의 회’에는 산헤드린의 공식 성원이었던 사람들이 있었을 수 있고 산헤드린의 고문 역할을 한 사람들도 있었을 수 있다.

사도행전 5:22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파수대」 (연구용)

    2020/3, 31면

  • 출판물 색인

    파20.03 31

사도행전 5:24

  • 성전 대장: 행 4:1 연구 노트 참조.

사도행전 5:26

상호 참조 성구

  • +눅 20:19; 행 4:21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파수대」 (연구용)

    2020/3, 31면

  • 출판물 색인

    파20.03 31

사도행전 5:27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증거하십시오」 36, 39면

    「통찰」 제2권 542면

  • 출판물 색인

    철 36, 39; 통-2 542;

    파81 7 17

사도행전 5:28

상호 참조 성구

  • +행 4:18
  • +마 27:25; 행 3:14, 15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증거하십시오」 37면

    「행복한 삶을 영원히 누리십시오!」 제21과

    「통찰」 제2권 380면

  • 출판물 색인

    철 37; 행누 제21과, 45, 59; 통-2 380;

    파81 7 17

사도행전 5:29

  • 순종해야: 이 표현에 해당하는 그리스어 동사에는 ‘통치자에게 하는 순종’이라는 의미가 들어 있다.

상호 참조 성구

  • +단 3:17, 18; 마 22:21; 행 4:19, 20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증거하십시오」 39면

    「행복한 삶을 영원히 누리십시오!」 제21과

    「파수대」

    2006/9/15, 8-9면

    2005/12/15, 19-20면

    2002/11/1, 18-19면

    1987/9/1, 13면

    「깨어라!」

    1996/7/22, 3-4면

    「‘모든 성경’」 205면

    「추리」 359면

    「참다운 평화」 133-135면

  • 출판물 색인

    철 39; 행누 제21과, 45, 59; 파06 9/15 8-9; 파05 12/15 19-20; 파02 11/1 18-19; 추 359; 깨96 7/22 3-4; 감 205; 파87 9/1 13; 평 133-134;

    파80 12 44; 파75 476; 파73 9, 51, 273, 316, 504; 조 8

사도행전 5:30

  • 기둥: 또는 “나무”. 이 구절에서 그리스어 크실론(직역하면 “목재”)은 그리스어 스타우로스(“형주; 고통의 기둥”으로 번역됨)의 동의어로 사용되었으며, 예수께서 못 박히신 처형 도구를 가리킨다. 그리스도인 그리스어 성경에서 누가와 바울과 베드로는 크실론을 이러한 의미로 총 다섯 번 사용했다. (행 5:30; 10:39; 13:29; 갈 3:13; 벧전 2:24) 신 21:22, 23에는 “그를 기둥에 매달았다면”이라는 표현이 있는데, 「칠십인역」에서는 그 문장에 나오는 히브리어 에츠(나무; 목재; 나무토막)를 그리스어로 번역할 때 크실론을 사용했다. 갈 3:13에서 바울은 신명기의 그 구절을 인용하여 “기둥에 달린 사람은 누구나 저주받은 자다”라고 기록하면서 크실론을 사용했다. 이 그리스어는 「칠십인역」의 라 6:11(에스드라 1서 6:31, LXX)에서 히브리어 에츠에 해당하는 아람어 아를 번역할 때도 사용되었다. 그 구절에는 페르시아 왕의 법령을 어기는 자들에 관해 다음과 같은 말이 나온다. “그의 집에서 들보를 뽑아 거기에 매달 것이다.” 크실론이 가로대 없는 곧은 기둥을 의미하므로, 성경 필자들이 크실론을 스타우로스의 동의어로 사용했다는 사실은 예수께서 가로대 없는 곧은 기둥에서 처형되셨다는 한 가지 증거가 된다.

상호 참조 성구

  • +행 2:23, 24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파수대」

    1987/8/15, 23면

  • 출판물 색인

    파87 8/15 23;

    깨75 1/8 23; 파73 51

사도행전 5:31

  • 수석 대표자: 여기에 사용된 그리스어(아르케고스)는 기본적으로 “최고 지도자; 맨 앞에 가는 사람”을 의미한다. 이 단어는 성경에 네 번 나오는데, 모두 예수를 가리키는 데 사용되었다. (행 3:15; 5:31; 히 2:10; 12:2) 이 구절에서는 “구원자”라는 칭호와 함께 사용되었다.—행 3:15 연구 노트 참조.

상호 참조 성구

  • +행 3:15
  • +마 1:21; 히 2:10
  • +행 2:32, 33; 빌 2:9
  • +사 53:11; 행 2:38; 10:43; 13:38, 39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신세계역」 1704면

  • 출판물 색인

    신세 1704;

    파78 11 25; 파73 51

사도행전 5:32

  • 순종하는: 이 표현에 해당하는 그리스어 동사에는 ‘통치자에게 하는 순종’이라는 의미가 들어 있다.

상호 참조 성구

  • +눅 24:46-48; 행 1:8
  • +요 15:26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왕국 봉사」

    2001/3, 3면

  • 출판물 색인

    사 01/3 3;

    파79 6 10; 파73 51, 279; 파71 487

사도행전 5:33

  • 화가 치밀어: 또는 “마음이 몹시 상해서”. 이에 해당하는 그리스어 표현은 이 구절과 행 7:54에만 나온다. 이 표현은 문자적으로 “톱으로 잘리다”를 의미하지만, 그 두 구절에서는 감정적으로 격한 반응을 보이는 것을 가리키는 비유적인 의미로 사용되었다.

상호 참조 성구

  • +행 7:54

사도행전 5:34

  • 가말리엘: 사도행전에서 이 구절과 행 22:3에 두 번 언급되는 율법 교사. 그는 세속 문헌에서 가말리엘 장로로 알려진 사람과 동일한 인물로 여겨진다. 가말리엘은 일반적으로 힐렐 장로의 손자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그의 아들이었을 가능성도 있다. 힐렐은 바리새교에서 좀 더 관용적인 학파를 창시한 사람이었다. 가말리엘은 최초로 “랍반”이라는 영예로운 칭호를 받은 사람으로 알려져 있다. 그처럼 크게 존경받았던 그는 많은 바리새인의 아들들을 가르침으로 당시 유대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타르수스의 사울도 그에게 가르침을 받은 사람들 중 하나였다. (행 22:3; 23:6; 26:4, 5; 갈 1:13, 14) 가말리엘은 율법과 전통을 비교적 포용력 있게 해석한 경우가 많았던 것 같다. 예를 들어 그는 파렴치한 남편으로부터 아내를 보호하고 도리에 어긋나는 나쁜 행동을 일삼는 자녀로부터 과부를 보호하는 법을 만들었다고 한다. 또한 가난한 유대인들에게 이삭을 주울 권리가 있는 것처럼 가난한 이방인들에게도 그런 권리가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고 한다. 가말리엘은 베드로와 다른 사도들에 대해서도 그런 관용적인 태도를 나타냈다. (행 5:35-39) 하지만 랍비 저술물들을 살펴보면 가말리엘이 성경보다 랍비의 전통을 더 중시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전반적으로 볼 때, 가말리엘의 가르침은 당시 대부분의 종교 지도자들이나 그 이전 시대에 살았던 랍비들 대다수의 가르침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마 15:3-9; 딤후 3:16, 17. 용어 설명 “바리새인; 바리새파”; “산헤드린” 참조.

상호 참조 성구

  • +행 22:3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증거하십시오」 40면

    「통찰」 제1권 27면

    「파수대」

    2008/5/15, 31면

    2006/9/15, 9면

  • 출판물 색인

    철 40; 통-1 27; 파08 5/15 31; 파06 9/15 9

사도행전 5:36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1권 494면

  • 출판물 색인

    통-1 494

사도행전 5:37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1권 825면

    「통찰」 502, 558, 990면

    「파수대」

    1990/10/15, 6면

    「깨어라!」

    1987/5/1, 8면

  • 출판물 색인

    통-1 502, 825; 통-2 558, 990; 파90 10/15 6; 깨87 5/1 8

사도행전 5:38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증거하십시오」 40면

    「행복한 삶을 영원히 누리십시오!」 제21과

    「선포자」 552-553면

  • 출판물 색인

    철 40; 행누 제21과; 와 552-553;

    파81 5 26; 파80 4 23; 파78 12 9; 파72 31

사도행전 5:39

상호 참조 성구

  • +잠 21:30
  • +행 26:14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증거하십시오」 40면

    「행복한 삶을 영원히 누리십시오!」 제21과

    「파수대」

    2005/12/15, 20-24면

    「선포자」 552-553면

  • 출판물 색인

    철 40; 행누 제21과; 파05 12/15 21-24; 와 552-553;

    파81 5 26; 파78 12 9; 파72 31

사도행전 5:40

  • 채찍질한: 또는 “매질한”. 유대인의 형벌 방식 중 하나인 “40에서 하나를 뺀 매”를 때리는 것을 가리키는 것 같다.—고후 11:24; 신 25:2, 3.

상호 참조 성구

  • +마 10:17; 막 13:9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1권 633면

  • 출판물 색인

    통-1 633;

    깨78 4/8 8

사도행전 5:41

상호 참조 성구

  • +마 5:10-12; 행 16:25; 롬 5:3; 고후 12:10; 빌 1:29; 히 10:34; 약 1:2; 벧전 3:14; 4:13, 14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증거하십시오」 40-41면

    「하느님의 왕국이 통치한다!」 135면

  • 출판물 색인

    철 40-41; 국 135;

    파83 8/15 12; 깨78 4/8 8; 파71 254

사도행전 5:42

  • 집집에서: 이 표현에 해당하는 그리스어 카트 오이콘은 문자적으로 “집을 따라”를 의미한다. 여러 사전과 주석서들에 따르면, 그리스어 전치사 카타는 배분적 의미로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사전에서는 카타가 “장소가 연속되는 것을 가리키는 배분적 용법”으로도 사용되며 카트 오이콘은 “집집에서”를 의미한다고 설명한다. (「신약 및 초기 그리스도교 문헌 그리스어-영어 사전」[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제3판) 또 다른 사전에서는 전치사 카타가 “배분적” 용법으로 사용된 예로 행 2:46; 5:42을 제시하면서, 그 구절들에 나오는 카트 오이콘이 “집집으로” 또는 “[각] 집에서”라는 의미라고 설명한다. (「신약 주석 사전」[Exeget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호르스트 발츠와 게르하르트 슈나이더 편) 성경 학자 R.C.H. 렌스키는 다음과 같이 기술했다. “사도들은 그들의 축복받은 일을 한순간도 멈추지 않았다. 그들은 ‘날마다’ 계속 그 일을 했는데, 산헤드린과 성전 경비대가 그들의 말과 행동을 보고 들을 수 있는 ‘성전에서’ 공개적으로 그렇게 했다. 또한 κατ’ οἴκον[카트 오이콘] 다시 말해 부사적 의미인 ‘집에서’가 아니라 배분적 의미인 ‘집집에서’도 그렇게 했다.” (「사도행전 해석」[The Interpretation of The Acts of the Apostles], 1961년) 이러한 자료들은 제자들이 집집마다 다니면서 전파 활동을 수행했다는 점을 뒷받침해 준다. 눅 8:1에서도 카타가 비슷한 의미로 사용되었는데, 그 구절에서는 예수께서 “도시에서 도시로, 마을에서 마을로” 전파하셨다고 알려 준다. 이처럼 집으로 직접 찾아가서 사람들을 만나는 방식은 놀라운 결과를 가져왔다.—행 6:7. 행 4:16, 17; 5:28 비교.

    좋은 소식을 ··· 전했다: 이 표현에 해당하는 그리스어 동사 유앙겔리조마이는 “좋은 소식”을 의미하는 명사 유앙겔리온과 어근이 같은 단어이다. 그리스도인 그리스어 성경에서, 좋은 소식의 한 가지 중요한 부면은 예수께서 전파하고 가르치신 하느님의 왕국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또한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을 통해 얻게 되는 구원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사도행전에서는 그리스어 동사 유앙겔리조마이가 여러 번 사용되었는데, 그 점을 볼 때 이 책이 전파 활동을 강조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행 8:4, 12, 25, 35, 40; 10:36; 11:20; 13:32; 14:7, 15, 21; 15:35; 16:10; 17:18. 마 4:23; 24:14 연구 노트 참조.

멀티미디어

  • 집집으로 전파하다

상호 참조 성구

  • +행 20:20
  • +행 4:31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증거하십시오」 41-42면

    「행복한 삶을 영원히 누리십시오!」 제18과

    「통찰」 제2권 764면

    「파수대」

    1991/8/1, 24면

    1991/1/15, 11면

    1988/1/1, 24면

  • 출판물 색인

    철 41-42; 행누 제18과, 21; 통-2 764; 파91 1/15 11; 파91 8/1 24; 파88 1/1 24;

    파81 7 17, 22-3; 파79 11 35; 조 56; 파72 86

다른 번역판

절의 번호를 누르면 해당 구절을 다른 번역판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일반

사도 5:2행 4:34, 35
사도 5:3행 5:9
사도 5:3시 101:7; 엡 4:25; 골 3:9
사도 5:12행 4:29, 30; 6:8; 14:3; 15:12; 롬 15:18, 19; 고후 12:12
사도 5:12요 10:23; 행 3:11
사도 5:14행 2:41; 6:7
사도 5:15마 9:20, 21
사도 5:17행 4:1
사도 5:18눅 21:12
사도 5:19시 34:7; 행 12:7; 16:26; 히 1:7, 14
사도 5:26눅 20:19; 행 4:21
사도 5:28행 4:18
사도 5:28마 27:25; 행 3:14, 15
사도 5:29단 3:17, 18; 마 22:21; 행 4:19, 20
사도 5:30행 2:23, 24
사도 5:31행 3:15
사도 5:31마 1:21; 히 2:10
사도 5:31행 2:32, 33; 빌 2:9
사도 5:31사 53:11; 행 2:38; 10:43; 13:38, 39
사도 5:32눅 24:46-48; 행 1:8
사도 5:32요 15:26
사도 5:33행 7:54
사도 5:34행 22:3
사도 5:39잠 21:30
사도 5:39행 26:14
사도 5:40마 10:17; 막 13:9
사도 5:41마 5:10-12; 행 16:25; 롬 5:3; 고후 12:10; 빌 1:29; 히 10:34; 약 1:2; 벧전 3:14; 4:13, 14
사도 5:42행 20:20
사도 5:42행 4:31
  • 신세계역 성경 (연구용)
  • 다음 번역판으로 보기: 신세계역 (신세)
  • 다음 번역판으로 보기: 신세계역 (성12)
  • 다음 번역판으로 보기: 개역한글판 (개역)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신세계역 성경 (연구용)
사도행전 5:1-42

사도행전

5 아나니아라는 사람이 아내 삽비라와 함께 얼마의 재산을 팔아서 2 그 값의 일부를 몰래 떼어 놓았는데, 그의 아내도 그것을 알고 있었다. 아나니아는 나머지 돈을 가져와 사도들의 발치에 놓았다.+ 3 그러자 베드로가 말했다. “아나니아, 어째서 당신이 사탄에게 넘어가 대담해져서, 성령을 속이려+ 하고 밭값의 일부를 몰래 떼어 놓았습니까?+ 4 그 밭은 당신이 가지고 있는 동안에도 당신 것이었고, 판 후에도 그 돈을 당신 마음대로 할 수 있지 않았습니까? 그런데 어째서 이런 일을 할 생각을 마음속에 품었습니까? 당신은 사람이 아니라 하느님께 거짓말을 한 것입니다.” 5 아나니아는 이 말을 듣자 쓰러져 죽었다. 그리고 이 일에 관해 들은 모든 사람은 매우 두려워했다. 6 젊은이들이 일어나 그를 천에 싸서 내어다 묻었다.

7 세 시간쯤 지나서 그의 아내가 들어왔는데, 그는 무슨 일이 있었는지 몰랐다. 8 베드로가 그에게 말했다. “말해 보십시오. 당신들 두 사람이 그 값에 밭을 팔았습니까?” 그가 말했다. “예, 그 값에 팔았습니다.” 9 베드로가 말했다. “어째서 당신들 두 사람이 서로 공모하여 여호와의 영을 시험했습니까? 보십시오! 당신의 남편을 묻은 이들의 발이 문 앞에 있으니, 그들이 당신도 내어 갈 것입니다.” 10 그 즉시 삽비라가 베드로의 발치에 쓰러져 죽었다. 젊은이들이 들어와 그 여자가 죽은 것을 보고 내어다 남편 곁에 묻었다. 11 그리하여 온 회중과 이 일에 관해 들은 모든 사람이 매우 두려워했다.

12 사도들의 손을 통해 백성 가운데서 많은 표징과 놀라운 일이 계속 일어났다.+ 그들은 모두 솔로몬의 주랑에+ 함께 모이곤 했다. 13 사실 다른 사람들은 아무도 그들과 함께할 용기가 없었다. 그렇지만 백성은 그들을 칭찬했다. 14 그리하여 주를 믿는 사람이 계속 더해져서, 남녀 신자의 수가 크게 늘어났다.+ 15 심지어 사람들은 병든 사람들을 큰길로 데리고 나와 작은 침상이나 깔개에 뉘어 놓았다. 베드로가 지나갈 때에 그의 그림자만이라도 누군가에게 드리워지기를 바랐던 것이다.+ 16 예루살렘 주변 도시들에서도 많은 사람이 병든 사람들과 더러운 영들에게 괴롭힘을 당하는 이들을 데리고 계속 모여들었는데, 그들도 모두 고침을 받았다.

17 그러자 대제사장과 그와 함께한 모든 사람 곧 사두개파 사람들이+ 질투로 가득 차서 일어나 18 사도들을 붙잡아* 공영 감옥에 가두었다.+ 19 그런데 밤중에 여호와의 천사가 감옥 문들을 열고+ 그들을 데리고 나와 말했다. 20 “가서, 성전에 서서 사람들에게 이 생명에 관한 모든 말씀을 계속 전하십시오.” 21 그들은 이 말을 듣고 동틀 무렵에 성전에 들어가 가르치기 시작했다.

그때에 대제사장과 그와 함께한 사람들이 와서 산헤드린과 이스라엘 자손의 장로의 총회를 소집하고, 감옥으로 사람을 보내어 사도들을 자기들 앞으로 데려오게 했다. 22 그러나 경비병들이 감옥에 가서 보니 그들이 없었다. 그래서 그들은 돌아와 이렇게 보고했다. 23 “저희가 보니 감옥은 단단히 잠겨 있었고 문마다 보초병이 서 있었습니다. 그런데 문을 열어 보니 안에 아무도 없었습니다.” 24 성전 대장과 수제사장들은 그 말을 듣고 일이 앞으로 어떻게 될까 하며 당황했다. 25 그때에 어떤 사람이 와서 그들에게 알렸다. “여러분이 감옥에 가둔 사람들이 성전에 서서 사람들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26 그러자 성전 대장이 경비병들과 함께 가서 사도들을 데려왔다. 그러나 사람들에게 돌을 맞을까 두려워서 폭력은 쓰지 않았다.+

27 그들이 사도들을 데려다가 산헤드린 앞에 세우자, 대제사장이 그들을 심문하여 28 말했다. “우리가 이 이름을 근거로 가르치지 말라고 당신들에게 엄중히 명령했소.+ 그런데도 당신들은 예루살렘을 당신들의 가르침으로 가득 채웠고, 그 사람의 피를 우리에게 돌리려고 작정하고 있소.”+ 29 그러자 베드로와 다른 사도들이 대답했다. “우리는 사람이 아니라 하느님께 순종해야 합니다.+ 30 우리 조상들의 하느님께서는 여러분이 기둥에 달아 죽인 예수를 일으키셨습니다.+ 31 하느님께서는 그를 수석 대표자와+ 구원자로+ 삼아 자신의 오른편으로 높이셔서,+ 이스라엘이 회개하고 죄를 용서받을 수 있게 하셨습니다.+ 32 우리는 이 일의 증인이며,+ 하느님께서 자신에게 순종하는 사람들에게 주신 성령도 증인입니다.”+

33 그들은 이 말을 듣고 화가 치밀어 사도들을 없애 버리려 했다.+ 34 그때에 산헤드린에서 가말리엘이라는+ 바리새인이 일어났는데, 그는 모든 백성에게 존경받는 율법 교사였다. 그는 사도들을 잠시 밖으로 내보내라고 지시한 뒤에 35 이렇게 말했다. “이스라엘 사람들이여, 여러분이 이 사람들에게 하려는 일에서 신중을 기하십시오. 36 이전에 듀다가 일어나 자기가 대단한 사람이라도 되는 것처럼 말하자, 400명가량이나 되는 사람이 그의 편에 가담한 일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그는 살해되었고, 그를 따르던 사람들도 모두 흩어져 없어졌습니다. 37 그 뒤 호적 등록 기간에 갈릴리 사람 유다가 일어나 사람들을 끌어 자기를 따르게 했습니다. 그러나 그 사람 역시 죽었고, 그를 따르던 사람들도 모두 흩어져 버렸습니다. 38 그러니 지금 이 일에 대해서 내가 여러분에게 말하는데, 저 사람들의 일에 간섭하지 말고 내버려 두십시오. 그 계획이나 일이 사람에게서 난 것이면 무너질 것이지만, 39 하느님에게서 난 것이면 여러분이 그들을 무너뜨릴 수 없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자칫하면 여러분이 하느님을 대적하여 싸우는 사람이 될지도 모릅니다.”+ 40 그러자 그들은 그의 조언을 받아들여서, 사도들을 불러들여 채찍질한 다음+ 더 이상 예수의 이름을 근거로 말하지 말라고 명령한 뒤에 보내 주었다.

41 사도들은 그분의 이름을 위해 모욕을 당하기에 합당한 사람으로 여겨진 것을 기뻐하면서+ 산헤드린 앞에서 떠났다. 42 그들은 날마다 성전에서 그리고 집집에서+ 쉬지 않고 가르치며 그리스도 예수에 관한 좋은 소식을 계속 전했다.+

한국어 워치 타워 출판물 (1958-2025)
로그아웃
로그인
  • 한국어
  • 공유
  • 설정
  • Copyright © 2025 Watch Tower Bible and Tract Society of Pennsylvania
  • 이용 약관
  • 개인 정보 보호 정책
  • 개인 정보 설정
  • JW.ORG
  • 로그인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