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한국어
  • 성경
  • 출판물
  • 집회
  • 사 73/10 5-8면
  • 1974년 신권 전도 학교

관련 동영상이 없습니다.

죄송합니다. 동영상을 불러오지 못했습니다.

  • 1974년 신권 전도 학교
  • 우리의 왕국 봉사—1973
  • 소제목
  • 지시
  • 시간표
우리의 왕국 봉사—1973
사 73/10 5-8면

1974년 신권 전도 학교

지시

1974년중 모든 회중은 다음과 같이 신권 전도 학교를 사회해야 한다.

교재: 성서(성), 파수대(파), 깨어라! (깨), 신권 전도 학교 지침서(지), ‘모든 성경은 하나님의 영감을 받은 것으로 유익하다’(감), 사람은 진화되었는가 혹은 창조되었는가? (진), 위대하신 선생님의 말씀을 잘 들음(잘)이 임명의 근거가 될 것이다.

구두 복습: 5분간. 지난 주일에 교훈 연설을 한 형제가 그가 다룬 서적 내용에서 10개를 넘지 않는 질문을 선택하여 복습할 것이다. 모두가 참여할 수 있다.

교훈 연설: 1번: 15분간. 이 연설은 다만 임명된 재료의 요약 정도이어서는 안된다. 이 연설은 선택된 한 제목에 관한 잘 발전된 연설이어야 하며, 가능한한 장로에게 임명하되, 필요하다면, 자격을 갖춘 봉사의 종들에게 임명할 것이다. 재료를 단지 피상적으로만 취급하지 말고 회중에 참으로 교훈적이고 도움이 되게 연설할 것이다. “감” 책으로부터 연설을 준비할 때, 연사는 “보조서”에 있는 그 동일한 점의 내용에 관하여 읽어 봄으로써 그가 취급하는 내용이 뒤떨어진 것이 되지 않게 할 것이다.

2번 연설: 6분간. 이 연설은 임명된 범위의 성서 낭독이 될 것이다. 낭독 임명은 학생이 서론과 결론에서, 그리고 심지어 적절한 중간 지점에서 내용을 설명할 수 있을 정도로 짧다. 역사적 배경, 예언적이거나 교리적인 중요점, 원칙들의 적용 및 성귀에 나타난 지혜에 대한 감사의 표시 등을 포함시킬 수 있다. 임명된 모든 귀절들을 실제적으로 낭독하는 방법으로 연설을 짤 것이다. 주어진 시간을 충분히 이용할 것이다.

3번, 4번 연설: 각각 6분간, 가능한 한 언제든지 이 연설들은 자매들에게 임명될 것이다. 연설을 할 때, 학생은 앉거나 서서 연설할 것이다. 대부분 성서와 노트를 주로 사용하지만, 적절하다면, 학생들은 임명된 재료로부터 발췌문이나 인용문을 낭독할 수 있다. 보조자 한 사람이 학교 감독자에 의하여 계획될 것이지만, 부가적인 보조자들을 사용할 수 있다. 장면들은 가정, 야외 봉사, 회중 및 그외의 다른 곳에서 일어나는 상태를 포함시킬 수 있다. 종종, 연설은 단순히 가족 성원들 간이나 혹은 다른 사람들과의 교훈적인 대화가 될 수도 있다. 연설하는 사람이 대화를 시작케 하여 장면을 구성시킬 수도 있으며, 또는 보조자(들)이 그렇게 하게 할 수도 있다. 장면 자체보다 재료 자체에 주요성을 더 두어야 한다. 필기 복습 저녁의 두 연설도 시간이 5분이 된다는 것 외는 이러한 교훈에 일치되게 연설을 발전시켜야 한다.

5번 연설: 6분간. 이 연설은 어느 정도 경험이 있는 형제에게 임명하는 것이 더 좋다. 이 연설은 전체 청중에게 하는 연설이어야 한다. 노트를 가지고 연설하면서 연사는 적절할 때에는, 임명된 재료로부터 인용문이나 요점잡힌 발췌문을 낭독할 수 있다. 보통으로 한 왕국회관에 있는 청중을 머리에 간직하고 연사가 그의 연설을 준비하는 것이 가장 좋다. 그래서 그 연설을 실제로 듣게 될 사람들에게 참으로 교훈적이고 유익한 것이 되게 할 것이다. 그러나 만일 재료 자체가 실용적이며 적절한 어떤 다른 장면에 특히 잘 적용된다면, 연사는 그에 따라 그의 연설을 발전시킬 수 있다.

연설을 준비함: 재료 자체로 보아 할 수 있다면, 언제나 연설들은 잘 발전시킨 주제를 따라 연설해야 한다. 주어진 시간 내에 재료를 가장 잘 취급할 수 있는 주제를 하나 선택하라. 연설 충고 용지에서 다음에 고려될 점을 머리에 간직하고 모든 연설들을 준비하라. 장면을 선택할 때, 적절하다면, 임명된 재료를 실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보여 주는 그러한 장면을 선택하도록 노력하라.

충고: 각 학생 연사에게는 연설 충고 용지 하단에 명시된 점진적인 충고의 계획에 따라 명확한 충고를 할 것이다. 연사들이 다룬 중요한 점들을 깊이 인식케 하는 해설을 하며, 재료의 가치를 두드러지게 하는 말을 한다면, 모두의 주의를 주로 성경적 내용에 계속 집중하게 도울 수 있다. 각 학생 연사에게 2분 이상을 사용하지 않도록 조심하라.

시간 조절: 어떤 연설도 시간을 초과하지 말 것이며, 충고자도 초과해서는 안된다. 2번부터 5번 연설까지는 시간이 다 될 때, 필요하다면 중단시킬 것이다.

필기 복습이 계획되었을 때: 주기적으로 필기 복습을 하게 될 것이다. 준비할 때, 주로 파, 깨, 지, 감, 진의 내용을 복습하고 개인적인 성서 낭독 임명을 마치라. 복습 중에는 성서만이 사용될 수 있다. 질문과 대답이 낭독될 때, 각 학생은 자신의 시험지를 채점할 것이다. 다음 주의 구두 복습에서 필기 복습의 중요한 점들을 다룰 것이다. 만일 어떤 지방 환경상의 이유로서, 필기 복습을 시간표에 나타난 것보다 한주일 늦게 할 필요가 있다면 그렇게 할 수 있다. 그날 저녁에 계획된 2개의 연설은 연설 골자를 기초로 하여 연설할 것이며 형제에게나 자매에게나 임명될 수 있다. 복습을 위하여는 30분간이 주어지며 각 연설을 위하여는 5분간씩으로 제한된다.

크고 작은 회중들: 50명이나 그 이상의 학생들이 등록한 회중에서는 학생들의 다른 집단을 마련할 것이며 다른 장로 앞에서 계획된 연설을 하게 할 것이다. 학생들이 돌아가며 여러 장소에서 연설하게 마련할 것이다. 필요하다면, 자매들이 어느 연설이든지 맡아 3번과 4번 연설을 위하여 설명된 것과 같이, 다른 한 자매에게 연설할 것이다.

결석: 계획된 학생이 참석하지 않으면, 한 자진자가 임명을 맡을 것이다. 그는 급히 통지를 받아서 짧은 시간 밖에 없었지만, 성귀를 낭독하고 적용시킬 수 있다고 생각되는 점을 적용시킬 것이다. 혹은 학교 감독자가 적절한 청중 참여로써 재료를 다룰 수도 있다.

시간표

1월 6일 성서 낭독: 출애굽기 26-30.

1번: 파 72 90-95면. “통치체—법인 단체와는 별개의 것”

2번: 출애굽기 28:22-39.

3번: 깨 71 12/22 21, 22면. “평화를 위하여 일하는 사람들은 행복하다.”

4번: 잘 43장. “예수께서 하나의 징조를 말씀하시다.”

5번: 진 5-11면. “진화는 확증된 사실인가?”

1월 13일 성서 낭독: 출애굽기 31-35.

1번: 파 72 137-140면. “완전—이 말의 참 뜻은 무엇인가?”

2번: 출애굽기 32:1-19.

3번: 깨 72 1/8 22, 23면. “의를 위하여 박해를 받은 사람들은 행복하다.”

4번: 잘 44장. “네가 나와 함께 낙원에 있으리라.”

5번: 진 12-22면. “진화론의 발전”

1월 20일 성서 낭독: 출애굽기 36-40.

1번: 지 5면 1항-9면 16항.

2번: 출애굽기 35:30-36:8.

3번: 깨 72 1/22 22, 23면. “나를 위하여 박해를 받는 자는 행복하다”

4번: 잘 45장. “‘나는 당신을 사랑합니다’ 하고 어떻게 하나님께 말할 수 있는가?”

5번: 파 72 165-167면. “어떻게 우리는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처럼 완전할 수 있는가?”

1월 27일 성서 낭독: 레위기 1-5.

1번: 감 성서 낱권제3권 25-27면 1-10항.

2번: 레위기 5:1-19.

3번: 깨 72 2/8 22, 23면. “성서 기록에 있어서 하나님의 영의 역할”

4번: 잘 46장. “영원히 사는 길”

5번: 진 23면 1항-30면 3항. “무생물에서 생물이 나오는가?”

2월 3일 성서 낭독: 레위기 6-10.

1번: 감 성서 낱권제3권 27-28면 11-27항.

2번: 레위기 10:1-20.

3번: 깨 72 2/22 22, 23면. “재물에 대한 성서의 견해—자가당착인가?”

4번: 깨 72 3/8 22, 23면. “아기들이 죽는 이유는 무엇인가?”

5번: 진 31면 1항-40면. “생명은 어디에서 나오는가?”

2월 10일 필기 복습 출애굽기 26-40 및 레위기 1-10 전체.

연설들: 골 45ㅈ과 45ㅊ.

2월 17일 성서 낭독: 레위기 11-14.

1번: 감 성서 낱권제3권 28-30면 28-39항.

2번: 레위기 11:26-47.

3번: 깨 72 3/22 22, 23면. “예수 그리스도께서 광고되는 것을 원치 않으신 이유”

4번: 깨 72 4/8 22, 23면. “욥바에서 가이사랴까지”

5번: 깨 72 1/22 3, 4면. “당신은 생활이 행복한가?”

2월 24일 성서 낭독: 레위기 15-19.

1번: 지 9면 1항-13면 20항.

2번: 레위기 16:6-22.

3번: 깨 72 5/22 3, 4면. “어떠한 종류의 사랑이 행복으로 인도하는가?”

4번: 깨 72 5/22 22, 23면. “하나님의 영감—그것은 인간적 요소를 배제하였는가?”

5번: 진 41면 1항-49면. “화석의 기록은 무엇을 알려주는가?”

3월 3일 성서 낭독: 레위기 20-24.

1번: 파 72 260-264면. “겸손의 시험”

2번: 레위기 20:1-21.

3번: 깨 72 6/8 3-6면. “당신의 결혼 생활에 하나님이 계신가?”

4번: 깨 72 6/8 22, 23면. “오경은 누가 기록하였는가?”

5번: 진 50-59면. “모든 생물의 기본 법칙.”

3월 10일 성서 낭독: 레위기 25-27.

1번: 지 14면 1항-19면 17항.

2번: 레위기 26:3-22.

3번: 깨 72 6/22 22, 23면. “모순같이 보이는 수자적 불일치가 해결될 수 있는가?”

4번: 깨 72 7/8 7-10면. “예수 그리스도는 하나님인가?”

5번: 진 6장.

3월 17일 필기 복습 레위기 11-27 전체.

연설들: 골 45ㅋ과 45ㅌ.

3월 24일 성서 낭독: 민수기 1-4.

1번: 감 성서 낱권제4권 31-32면 1-10항.

2번: 민수기 1:1-19, 45-54.

3번: 깨 72 7/8 22, 23면. ““이것은 내 몸 ··· 내 피이다” 혹은, “··· 를 의미한다”—어느 쪽인가?”

4번: 깨 72 7/22 22, 23면. “에덴의 금단의 실과는 무엇이었는가?”

5번: 진 7장.

3월 31일 성서 낭독: 민수기 5-8.

1번: 감 성서 낱권제4권 31-34면 11-31항.

2번: 민수기 5:11-28.

3번: 깨 72 8/8 22, 23면. “바벨론이 예루살렘을 황폐시킨 때는 언제였는가?”

4번: 깨 72 8/22 22, 23면. “그것은 문법의 문제인가, 해석의 문제인가?”

5번: 진 8장. “원숭이 모양의 사람이 우리 조상인가?”

4월 7일 성서 낭독: 민수기 9-13.

1번: 감 성서 낱권제4권 34-35면 32-38항.

2번: 민수기 11:4-23, 31-33.

3번: 파 72 27, 28면. “화풀이하지 않는 너그러운 사람이 되라”

4번: 깨 72 9/8 22, 23면. “영들이 인류에게 영향을 미치는 방법”

5번: 진 97면 1항-108면 1항. “사람은 얼마전부터 존재하였는가?”

4월 14일 성서 낭독: 민수기 14-17.

1번: 지 19면 1항-24면 20항.

2번: 민수기 14:1-24.

3번: 깨 72 9/22 22, 23면. “아시리아—군국주의 제국”

4번: 깨 72 10/22 22, 23면. “피를 멀리 할찌니라”

5번: 진 108면 2항-115면 5항. “인간은 참으로 진화되었는가, 혹은 퇴화되었는가?”

4월 21일 성서 낭독: 민수기 18-21.

1번: 지 24면 1항-29면 20항.

2번: 민수기 20:1-13, 22-29.

3번: 깨 72 11/8 22, 23면. “죽은 행실을 회개해야 하는 이유.”

4번: 깨 72 11/22 22, 23면. “영은 하나님께로 돌아간다.”

5번: 진 10, 11장.

4월 28일 필기 복습 민수기 1-21 전체.

연설들: 골 46ㄱ과 46ㄴ.

5월 5일 성서 낭독: 민 22-26.

1번: 깨 72 11/8 18-21면. “이교 로마로부터 그리스도교국이 되기까지”

2번: 민수기 24:13-25:5.

3번: 깨 72 12/8 22, 23면. “하나님 외에 다른 이에게 기도하는 것이 합당한가?”

4번: 깨 72 12/22 21, 22면. “고통을 더하는 지식—피해야 하는가?”

5번: 진 131면 1항-137면 3항. “인간에게는 하나님의 인도가 필수적이다.”

5월 12일 성서 낭독: 민수기 27-31.

1번: 파 72 333-336면. “왜 영의 기적의 선물이 그쳤는가?”

2번: 민수기 27:1-23.

3번: 깨 73 1/8 3, 4면. “미움이 어리석을 때”

4번: 깨 73 1/8 22, 23면. “성서에 순종하는 가정이 얻는 유익.”

5번: 진 138면 1항-149면 4항. “인간의 악에 대한 책임은 누구에게 있는가?”

5월 19일 성서 낭독: 민수기 32-36.

1번: 지 29면 1항-33면 15항.

2번: 민수기 35:10-29.

3번: 파 73 42-44면. “당신은 하나님께서 자비로우심과 같이 자비로운가?”

4번: 깨 73 2/8 22, 23면. “십자가의 사용”

5번: 파 73 44-47면. “자비는 심판을 이긴다.—어떻게?”

5월 26일 성서 낭독: 신명기 1-3.

1번: 감 성서 낱권제5권 36-37면 1-9항.

2번: 신명기 1:21-44.

3번: 깨 73 1/22 4-8면. “사람에게 하나님이 필요한가?”

4번: 깨 73 1/22 8-11면. “하나님은 사람을 잊으셨는가?”

5번: 깨 73 1/22 12-15면. “하나님께서 인간의 필요를 충족시켜 주시는 방법”

6월 2일 성서 낭독: 신명기 4-7.

1번: 감 성서 낱권제5권 37-39면 10-19항.

2번: 신명기 6:4-25.

3번: 깨 73 2/22 3, 4면. “침울한 기분을 극복하는 일”

4번: 파 72 383, 384면. “사도 9:7과 22:9는 어떻게 일치 조화되는가?”

5번: 진 13장.

6월 9일 필기 복습 민수기 22-36 및 신명기 1-7 전체.

연설들: 골 46ㄷ과 46ㄹ.

6월 16일 성서 낭독: 신명기 8-11.

1번: 감 성서 낱권제5권 39-40면 20-29항.

2번: 신명기 10:12-11:9.

3번: 깨 73 2/22 22, 23면. “기도를 가르쳐 주십시오.”

4번: 깨 73 3/22 3, 4면. “비이기적인 행동의 즐거움”

5번: 깨 73 3/8 13-16면. “독신 생활을 성공적이 되게 하는 일”

6월 23일 성서 낭독: 신명기 12-16.

1번: 감 성서 낱권제5권 40-41면 30-34항.

2번: 신명기 13:1-16.

3번: 깨 73 3/22 5-7면. “당신은 진리를 얼마나 사랑하는가?”

4번: 깨 73 4/8 22, 23면. “그리스도교라고 불리우는 모든 것을 하나님께서 승인하시지는 않는다.”

5번: 진 14장. “얼마나 더 오래 악이 계속될 것인가?”

6월 30일 성서 낭독: 신명기 17-21.

1번: 파 73 22-24면. “옷차림에 대한 그리스도인의 견해”

2번: 신명기 18:9-22.

3번: 깨 73 5/8 22, 23면. “여호와의 생각은 사람의 생각보다 높다.”

4번: 깨 73 5/8 3, 4면. “재미인가 아니면 당황인가?”

5번: 파 72 195-198면. “여호와는 다른 모든 신들과 어떻게 다른가?”

7월 7일 성서 낭독: 신명기 22-26.

1번: 파 72 219-222면. “거대한 하늘 조직이 있는가?”

2번: 신명기 22:13-29.

3번: 진 15장.

4번: 깨 73 5/22 3, 4면. “잘못을 시인하는 것의 지혜”

5번: 깨 73 5/22 5-7면. “여러 가지 인종이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7월 14일 필기 복습 신명기 8-26 전체.

연설들: 골 46ㅁ과 46ㅂ.

7월 21일 성서 낭독: 신명기 27-31.

1번: 파 72 245-248면. “사자를 구함”

2번: 신명기 30:1-20.

3번: 깨 73 5/22 22, 23면. “히브리인들의 시”

4번: 깨 73 6/8 22, 23면. “왜 삼위일체를 가르치는가?”

5번: 파 73 119, 120면. “골수를 먹을 수 있는가?”

7월 28일 성서 낭독: 신명기 32-34.

1번: 파 72 270-273면. “그들은 그들 가운데 한 예언자가 있음을 알 것이다.”

2번: 신명기 32:3-20.

3번: 깨 73 6/22 3, 4면. “겸손—참는 데 도움이 되는 것.”

4번: 깨 73 6/22 22, 23면. “예수 그리스도는 어떤 분이었는가?”

5번: 파 73 147, 148면. “의무를 심각하게 이행해야 할 이유.”

8월 4일 성서 낭독: 여호수아 1-5.

1번: 감 성서 낱권제6권 42-43면 1-5항.

2번: 여호수아 2:1-21.

3번: 깨 73 7/8 5-7면. “타인의 소유물을 존중하라.”

4번: 깨 73 7/8 22, 23면. “야훼 혹은 여호와?”

5번: 파 72 308-312면. “사람의 생명이 위험에 처해 있는가?”

8월 11일 성서 낭독: 여호수아 6-9.

1번: 감 성서 낱권제6권 43-45면 6-20항.

2번: 여호수아 7:13-26.

3번: 깨 73 7/22 22, 23면. “선한 일을 하는 것으로 충분한가?”

4번: 깨 73 8/8 3, 4면. “나쁜 제안의 영향력을 경계하라.”

5번: 파 72 315-319면. “하나님의 파숫군의 책임”

8월 18일 필기 복습 신명기 27-34 및 여호수아 1-9 전체.

연설들: 골 47ㄱ과 47ㄴ.

8월 25일 성서 낭독: 여호수아 10-13.

1번: 감 성서 낱권제6권 45-46면 21-24항.

2번: 여호수아 11:1-20.

3번: 파 72 355, 356면10월 1일호. “독자로부터의 질문”

4번: 파 73 167, 168면. “갈라디아 3:24의 몽학 선생이란 무엇인가?”

5번: 파 72 354-357면. “하나님의 참으심을 시험하지 말라.”

9월 1일 성서 낭독: 여호수아 14-17.

1번: 지 33면 1항-38면 17항.

2번: 여호수아 14:1-15.

3번: 파 72 358면. “당신은 참으로 확신하는가?”

4번: 깨 73 8/22 22, 23면. “누구나 한 하나님을 섬기는가?”

5번: 파 73 171-174면. “왜 하나님을 믿는가?”

9월 8일 성서 낭독: 여호수아 18-21.

1번: 파 72 375-379면. “그리스도교국의 날들은 얼마 남지 않았다!”

2번: 여호수아 20:1-21:3, 41, 42.

3번: 깨 73 9/8 8-11면. “사후에 생명이 있는가?”

4번: 깨 73 9/22 22, 23면. “왜 어떤 사람은 결함있게 태어나는가?”

5번: 파 72 390-393면. “하나님께서는 지구가 오염으로 멸망되게 하실 것인가?”

9월 15일 성서 낭독: 여호수아 22-24.

1번: 파 72 424-427면. “그리스도교국의 폭력은 그 위에 되돌아올 것인가?”

2번: 여호수아 24:14-31.

3번: 깨 73 10/8 13-16면. “범죄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라.”

4번: 깨 73 10/8 17-20면. “범죄 문제에 대한 확실한 해결책”

5번: 깨 73 10/8 20-23면. “범죄없는 세상을 위하여 생활함”

9월 22일 필기 복습 여호수아 10-24 전체.

연설들: 골 47ㄷ과 47ㄹ.

9월 29일 성서 낭독: 사사기 1-5.

1번: 감 성서 낱권제7권 46-47면 1-8항.

2번: 사사기 5:12-31.

3번: 깨 73 10/22 22, 23면. “아담과 하와는 왜 그리고 어떻게 형벌을 받았는가?”

4번: 깨 73 11/8 22, 23면. “불타는 지옥이 있는가?”

5번: 파 72 435-438면. (72년 10월 1일호) “돈의 가치가 없어질 때”

10월 6일 성서 낭독: 사사기 6-8.

1번: 감 성서 낱권제7권 47-48면 9-18항.

2번: 사사기 6:11-24.

3번: 깨 73 11/8 5, 6면. “보는 여러 가지 방법.”

4번: 깨 73 11/8 6-8면. “재림에 대한 여러가지 이의를 고려함.”

5번: 파 72 459-461면. “사람—지구에 맞게 만들어졌다.”

10월 13일 성서 낭독: 사사기 9-12.

1번: 감 성서 낱권제7권 48-50면 19-26항.

2번: 사사기 11:29-40.

3번: 파 73 195, 196면. “당신은 욕구불만을 느끼는가?”

4번: 파 73 207, 208면. “당신의 기도는 응답되는가?”

5번: 파 72 462-466면. “하나님께서 범죄자들을 벌하시는 것은 정당한가?”

10월 20일 성서 낭독: 사사기 13-18.

1번: 감 성서 낱권제7권 50면 27-29항.

2번: 사사기 13:2-20.

3번: 파 73 219, 220면. “도덕적 원칙의 도전에 응하는 일”

4번: 파 73 221-223면. “당신을 불안하게 하는 질문들—어떻게 해야 하는가?”

5번: 파 72 483-485면. “하나님은 죽지 않았다”

10월 27일 성서 낭독: 사사기 19-21.

1번: 지 39면 1항-43면 18항.

2번: 사사기 19:1-21.

3번: 파 73 243, 244면. “장애물을 도전으로 간주하라”

4번: 파 72 555, 556면. “성서는 자녀 교육면에 도움이 되는가?”

5번: 파 73 257-260면. “하나님께서는 백성의 생각을 재조정하신다.”

11월 3일 필기 복습 사사기 1-21 전체.

연설들: 골 48ㄱ과 48ㄴ.

11월 10일 성서 낭독: 룻기 1-4.

1번: 감 성서 낱권제8권 51-53면 1-10.

2번: 룻기 1:3-19.

3번: 파 72 223면 1항-226면 12항. “여호와께 버림받은 것처럼 보인 여자.”

4번: 파 72 226면 13항-229면 22항. “여호와의 봉사에 대한 도전을 받아들인 훌륭한 본”

5번: 파 72 229면 1항-235면 20항. “여호와의 목적을 자신의 생활 방식으로 삼음.”

11월 17일 성서 낭독: 사무엘 상 1-4.

1번: 감 성서 낱권제9권 53-54면 1-6항.

2번: 사무엘 상 1:24-2:11.

3번: 파 73 277, 278면. “서슴치 않고 믿는 것이 지혜롭다—언제?”

4번: 파 73 278-280면. “천적 머리 직분이 지상의 회중을 지휘하는 방법.”

5번: 파 72 524-528면. “당신은 피조물을 과도하게 추앙하는가?”

11월 24일 성서 낭독: 사무엘 상 5-10.

1번: 감 성서 낱권제9권 54-56면 7-17항.

2번: 사무엘 상 8:4-22.

3번: 파 73 285-288면. “당신은 실족하는 경향이 있는가?”

4번: 파 73 291, 292면. “마음이 정직한 사람들이 여호와를 섬기고자 하는 이유.”

5번: 파 72 545-549면. “하나님을 대적해 싸우는 그리스도교국”

12월 1일 성서 낭독: 사무엘 상 11-14.

1번: 감 성서 낱권제9권 56-57면 18-26항.

2번: 사무엘 상 12:1-19.

3번: 파 73 311, 312면. “모세의 율법에서는 왜 기름을 먹는 것을 금했는가?”

4번: 파 73 315, 316면. “잘못을 인정할 만큼 대범하라”

5번: 파 72 570-573면. “과학이 더 나은 세계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하는가?”

12월 8일 필기 복습: 룻기 1-4 및 사무엘 상 1-14 전체.

연설들: 골 48ㄷ과 48ㄹ.

12월 15일 성서 낭독: 사무엘 상 15-18.

1번: 감 성서 낱권제9권 57-58면 27-35항.

2번: 사무엘 상 17:32-47.

3번: 파 73 339-341면. “하나님의 이름이 당신에게 무엇을 의미하는가?”

4번: 파 73 341-343면. “당신은 사람들을 얼마나 염려하는가?”

5번: 파 73 19-22면. “교회들은 하나님의 분노를 피할 성역이 되는가?”

12월 22일 성서 낭독: 사무엘 상 19-22.

1번: 파 73 38-41면. “당신은 하나님의 다스림의 지지자인가?”

2번: 사무엘 상 20:1-17.

3번: 파 73 354-356면. “공의의 하나님께서 관심을 가지고 계신가?”

4번: 파 73 363-365면. “사랑의 하나님이 영혼들을 괴롭히시는가?”

5번: 파 73 69-72면. “불같은 종말이 임박하였는가?”

12월 29일 성서 낭독: 사무엘 상 23-26.

1번: 파 73 411-414면. “당신의 수한은 나무의 수한과 같을 것인가?”

2번: 사무엘 상 25:23-39.

3번: 파 73 379면. “양치는 일—보람된 일”

4번: 파 73 89-93면. “자기 만족을 경계하라.”

5번: 파 73 140-142면. “탐욕적인 자들은 멸망될 것인가?”

    한국어 워치 타워 출판물 (1958-2025)
    로그아웃
    로그인
    • 한국어
    • 공유
    • 설정
    • Copyright © 2025 Watch Tower Bible and Tract Society of Pennsylvania
    • 이용 약관
    • 개인 정보 보호 정책
    • 개인 정보 설정
    • JW.ORG
    • 로그인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