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3년 신권 전도 학교 계획표
지시
1993년도에는 다음과 같은 마련에 따라 신권 전도 학교를 사회할 것이다.
교재: 「성서」[성], 「‘모든 성경은 하나님의 영감을 받은 것으로 유익하다’」(1991년판)[감], 「신권 전도 학교 지침서」[지], 「역사상 가장 위대한 인물」[역], 「성경을 사용하여 추리함」(1990년판)[추]이 임명의 근거가 될 것이다.
학교는 노래와 기도 그리고 환영사로 시작한 다음, 아래와 같이 진행할 것이다.
1번 임명: 15분간. 이 임명은 장로나 자격을 갖춘 봉사의 종에 의해 다루어져야 한다. 이 연설은 「‘모든 성경은 하나님의 영감을 받은 것으로 유익하다’」 또는 「신권 전도 학교 지침서」 책의 내용에 근거한 것이다. 이 임명은 10분 내지 12분간의 교훈 연설을 한 다음, 이 부분에 대한 인쇄된 질문을 사용하여 3분 내지 5분간의 구두 복습을 하는 방식으로 다루어져야 한다. 이 연설의 목적은, 내용의 단순한 요약이 아니라 논의되는 내용의 실용적 가치에 주의를 집중시키고, 회중에게 가장 도움이 되는 것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어야 한다. 필요한 경우에는, 주제를 선택해야 한다. 이 내용으로부터 온전한 유익을 얻기 위하여, 주의 깊은 예습을 하도록 모두를 격려한다.
이 연설에 임명된 형제들은 제한된 시간 내에 마치도록 주의해야 한다. 필요하다면 개인적으로 충고할 것이다.
성서 읽기 범위의 주요점: 6분간. 이 부분은 학교 감독자, 또는 그가 임명한 다른 자격 있는 장로나 봉사의 종에 의해 다루어져야 한다. 이것은 단지 지정된 낭독 범위의 요약이어서는 안 된다. 지정된 장들에 대한 전체적인 견해를 30-60초 동안 제시한 후, 그 내용이 우리에게 왜 그리고 어떻게 가치가 있는지를 청중이 인식하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주요 자료를 더 얻기 위해 「파수대」를 살펴보라. 이 부분이 끝난 다음에, 학교 감독자는 학생들이 자기가 속한 학급으로 가게 할 것이다.
2번 연설: 5분간. 이 연설은 한 형제가 임명된 성서 범위를 낭독하는 것이다. 그 점은 본 학교에서나 보조 학급에서나 동일하게 적용될 것이다. 임명된 낭독 범위가 대개 짧기 때문에, 학생은 서론과 결론에서 설명이 되는 지식을 간단히 제공할 수 있다. 역사적 배경, 예언 또는 교리 면에서 중요한 점, 원칙의 적용을 포함시킬 수 있다. 도중에 끊지 않고 임명된 구절을 모두 실제로 낭독해야 한다.
3번 연설: 5분간. 이 연설은 자매에게 임명해야 한다. 이 연설 제목은 「역사상 가장 위대한 인물」 책에 근거한 것이다. 임명된 학생은 읽을 줄 아는 사람이어야 한다. 이 연설을 할 때, 학생은 앉아서 할 수도 있고 서서 할 수도 있다. 학교 감독자는 한 명의 보조자를 마련해 줄 것이다. 그러나 보조자를 더 사용할 수도 있다. 야외 봉사 또는 비공식 증거와 관련된 장면을 택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연설을 하는 자매가 장면을 설정하는 대화를 시작할 수도 있고, 또는 보조자(들)로 하여금 그렇게 하게 할 수도 있다. 장면보다는 내용에 우선적인 중요성을 두어야 한다. 학생은 계획표에 명시된 주제를 사용해야 한다.
4번 연설: 5분간. 이 연설은 형제나 자매에게 임명된다. 형제에게 임명되면 이 연설은 전체 청중에게 하는 연설이어야 한다. 형제는 보통, 왕국회관에 참석한 청중을 염두에 두고 연설을 준비하는 것이 가장 좋다. 그러한 연설은 실제로 듣는 사람들에게 참으로 교육적이고 유익할 것이다. 그러나 만일 내용이 청중을 달리한 실용적이고 적절한 장면에 더 적합하다면, 형제는 그에 따라 연설을 전개할 수 있다. 학생은 계획표에 명시된 주제를 사용해야 한다.
이 연설이 자매에게 임명된다면, 3번 연설의 지시에 따라 내용이 제공되어야 한다.
충고와 해설: 각 학생 연설이 끝난 다음에, 학교 감독자는 명확한 충고를 할 것이다. 그러나 연설 충고 용지의 점진적인 충고 계획을 반드시 따를 필요는 없다. 그보다는 학생이 발전할 필요가 있는 부면들에 주의를 집중해야 한다. 만일 연설한 학생이 “양”만을 받을 만하여 그 밖에 “발”이나 “노”로 표시할 만한 연설 요소가 없다면, 충고자는 학생이 다음에 노력해야 할 연설 요소의 네모 칸, 즉 보통 “양”, “발”, “노”를 기입하는 칸에 동그라미를 표시해 주어야 한다. 충고자는 그 날 저녁에 학생에게 이에 대해 알려 줄 뿐 아니라, 학생의 다음 ‘신권 전도 학교 임명장’(S-89)에도 이 연설 요소를 기입해 주어야 한다. 연설을 하는 사람들은 회관 앞쪽에 앉아 있어야 한다. 이렇게 하면 시간이 절약되며, 학교 감독자는 각 학생에게 직접 충고를 할 수 있을 것이다. 필요한 구두 충고를 한 후 시간이 허락하는 대로, 충고자는 학생이 다루지 않은 교육적이고 실용적인 점에 대해 해설할 수 있다. 학교 감독자는 각 학생 연설 후의 충고와 해설에 전부 2분 이상을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만일 성서 읽기 주요점을 다룬 부분에서 요망 사항이 있다면, 개인적으로 충고할 수 있다.
연설 준비: 1번 임명을 맡은 형제는 필요한 경우에 주제를 선택해야 한다. 2번 연설을 임명받은 학생은 내용을 가장 잘 다룰 수 있는 주제를 선택해야 한다. 3번과 4번 연설에 임명된 학생은 계획표에 명시된 주제를 사용해야 한다. 학생은 노력할 연설 요소를 다루는 「학교 지침서」 내용을 연설 전에, 숙독하기 원할 것이다.
시간 조절: 어떠한 연설도 시간을 초과해서는 안 된다. 충고자의 충고와 해설도 마찬가지다. 2번 연설부터 4번 연설까지는, 시간이 차면 재치 있게 연설을 중단시켜야 한다. “멈춤 신호”를 하도록 임명된 형제는 즉시 그렇게 해야 한다. 1번 임명과 성서 주요점을 다루는 형제가 시간을 초과한다면, 그에게 개인적인 충고를 해야 한다. 모두는 시간 조절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학교의 전체 시간은 노래와 기도를 제외하고 45분간이다.
필기 복습: 주기적으로 필기 복습이 있을 것이다. 필기 복습에 대비하여, 지정된 범위의 내용을 복습하고 계획된 성서 읽기 범위를 다 읽어야 한다. 이 25분간의 복습을 하는 동안, 성서만을 사용할 수 있다. 나머지 시간은 문답식 토의에 사용될 것이다. 각 학생이 자신의 답안지를 채점한다. 학교 감독자는 복습 질문에 대한 답을 청중과 함께 고려하되, 더 어려운 질문을 집중적으로 다루어, 모두가 그 대답을 명백히 이해하도록 도울 것이다. 만일 어떤 이유로 지방적인 사정상 필요하다면, 계획표에 나와 있는 일자보다 한 주일 늦게 필기 복습을 할 수도 있다.
크고 작은 회중들: 50명 이상의 학생이 학교에 등록한 회중이라면, 또 하나의 학급을 만들어 다른 충고자 앞에서 계획된 연설을 하도록 마련할 수 있다. 물론, 침례받지 않았을지라도 그리스도인 원칙에 순응하는 생활을 하는 사람이라면, 역시 학교에 등록하여 임명을 받을 수 있다.
결석생: 회중 성원 모두는 매주 참석하려고 노력함으로써, 자신의 임명을 잘 준비함으로써 그리고 질문에 대한 해설에 참여함으로써, 이 학교에 대한 인식을 나타낼 수 있다. 모든 학생은 자신의 임명을 진지하게 받아들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계획된 학생이 결석한다면, 자진하는 사람이 그 임명을 수행할 수 있다. 그는 그처럼 급히 통지를 받으면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점을 적용시킬 것이다. 또는 학교 감독자가 청중을 적절히 참여시키면서 내용을 다룰 수 있다.
계획표
1월 4일 성서 읽기: 사무엘 상 25-27장
1번: 지 84-8면 1-9항
2번: 사무엘 상 26:7-25
3번: 자비에 관한 교훈 (역 40장)
4번: 홀연한 승천이란 무엇이며, “끌어 올려”져서 주와 함께 있으리라는 것은 실제로 무엇을 의미하는가? (추 429면 1항)
1월 11일 성서 읽기: 사무엘 상 28-31장
1번: 사무엘 상—왜 유익한가 (감 57-8면 27-35항)
2번: 사무엘 상 30:7-25
3번: 예수께서 논란의 표적이 되시다 (역 41장)
4번: 조상 숭배가 무익한 이유 (추 335면 1항-336면 3항)
1월 18일 성서 읽기: 사무엘 하 1-4장
1번: 사무엘 하 소개 (감 59면 1-5항)
2번: 사무엘 하 1:1-4, 17-27
3번: 예수께서 바리새인들을 꾸짖으시다 (역 42장)
4번: “구름 속으로 끌어 올려”져 주와 함께 있게 될 자들은 누구인가? (추 429면 2항)
1월 25일 성서 읽기: 사무엘 하 5-8장
1번: 지 88-90면 10-15항
2번: 사무엘 하 6:1-19
3번: 배에 오르시어 가르치신 다섯 가지 예 (역 43장 1-8항)
4번: 조상 숭배가 여호와 하나님을 불쾌하시게 하는 이유 (추 336면 4항-337면 1항)
2월 1일 성서 읽기: 사무엘 하 9-12장
1번: 지 90-2면 1-7항
2번: 사무엘 하 10:1-14
3번: 제자들에게 유익을 준 예수의 가르치신 방법 (역 43장 9-19항)
4번: 주께서는 ‘하늘로부터 내려오실’ 때, 눈에 보이게 나타나지 않으실 것이다 (추 430면 1, 2항)
2월 8일 성서 읽기: 사무엘 하 13-15장
1번: 지 92-6면 8-18항
2번: 사무엘 하 15:1-17
3번: 예수께서 제자들에게 더 많은 교훈을 베푸시다 (역 43장 20-31항)
4번: 누가 혹은 무엇이 아마겟돈에서 멸망될 것인가? (추 229면 6항-230면 2항)
2월 15일 성서 읽기: 사무엘 하 16-18장
1번: 지 96-9면 1-10항
2번: 사무엘 하 18:1-17
3번: 예수께서 사나운 폭풍을 잠잠하게 하시다 (역 44장)
4번: 사람들은 “구름을 타고” 오시는 주를 어떤 의미에서 ‘볼’ 것인가? (추 430면 3항)
2월 22일 성서 읽기: 사무엘 하 19-21장
1번: 지 100-103면 1-12항
2번: 사무엘 하 19:1-14
3번: 악귀에 사로잡힌 사람이 제자가 되다 (역 45장)
4번: 아마겟돈—하나님의 사랑에 전혀 위배되지 않는다 (추 231면 2-4항)
3월 1일 성서 읽기: 사무엘 하 22-24장
1번: 사무엘 하—왜 유익한가 (감 63면 28-31항)
2번: 사무엘 하 22:1-4, 24-36
3번: 예수의 겉옷에 손을 댄 여자 (역 46장)
4번: 그리스도인들이 육체를 지니고 하늘로 데려감을 받을 수 없는 이유 (추 431면 1, 2항)
3월 8일 성서 읽기: 열왕기 상 1-2장
1번: 열왕기 상 소개 (감 64-5면 1-5항)
2번: 열왕 상 1:32-48
3번: 슬픔이 환희로 바뀌다 (역 47장)
4번: 침례란 무엇이며, 신자들은 왜 침례를 받는가? (추 394면 4항-395면 2항)
3월 15일 성서 읽기: 열왕기 상 3-6장
1번: 지 103-8면 13-21항
2번: 열왕 상 3:10-28
3번: 기적에도 불구하고 예수께서 배척당하시다 (역 48장)
4번: 충실한 그리스도인들은 은밀히 하늘로 가게 됨으로 죽지 않고 지상에서 사라질 것인가? (추 431면 3항-432면 1항)
3월 22일 성서 읽기: 열왕기 상 7-8장
1번: 지 108-13면 1-20항
2번: 열왕 상 8:54-66
3번: 세 번째 갈릴리 전파 여행 (역 49장)
4번: 물침례는 죄를 용서해 주지 못한다 (추 396면 1-4항)
3월 29일 성서 읽기: 열왕기 상 9-11장
1번: 지 113-16면 1-16항
2번: 열왕 상 10:1-13
3번: 반대를 직면할 수 있도록 제자들을 대비시키심 (역 50장)
4번: 큰 환난 전에 모든 충실한 그리스도인들이 기적으로 지상에서 데려감을 받을 것인가? (추 432면 2, 3항)
4월 5일 성서 읽기: 열왕기 상 12-14장
1번: 지 116-19면 1-12항
2번: 열왕 상 12:1-15
3번: 생일 잔치중의 살인 (역 51장)
4번: 이사야서에 들어 있는 성서의 영감성의 증거 (추 201면 4항-202면 1항)
4월 12일 성서 읽기: 열왕기 상 15-17장
1번: 지 119-21면 13-28항
2번: 열왕 상 17:1-16
3번: 예수께서 기적으로 수천 명을 먹이시다 (역 52장)
4번: 큰 환난중에 참 그리스도인들이 어떻게 보호를 받게 되는가? (추 432면 4, 5항)
4월 19일 성서 읽기: 열왕기 상 18-20장
1번: 지 122-6면 1-21항
2번: 열왕 상 18:25-40
3번: 예수께서 물 위를 걸으신 때 (역 53장)
4번: 성서는 과학적으로 확실하다 (추 203면 3항-204면 2항)
4월 26일 필기 복습. 사무엘 상 25장-열왕기 상 20장 전체
5월 3일 성서 읽기: 열왕기 상 21-22장
1번: 열왕기 상—왜 유익한가 (감 68-9면 23-26항)
2번: 열왕 상 21:15-29
3번: 하늘로서 내려온 떡—누구로부터 온 선물? (역 54장)
4번: 일부 그리스도인들이 하늘로 데려감을 받는 이유는 무엇이며, 그들은 땅에서 영원히 살기 위하여 돌아올 것인가? (추 433면 5-8항)
5월 10일 성서 읽기: 열왕기 하 1-3장
1번: 열왕기 하 소개 (감 69면 1-4항)
2번: 열왕 하 2:1-14
3번: 많은 제자가 예수를 따르기를 중단한 이유 (역 55장)
4번: 성서는 우리 시대에 실용적이다 (추 207면 2항-208면 1항)
5월 17일 성서 읽기: 열왕기 하 4-6장
1번: 지 126-9면 1-22항
2번: 열왕 하 5:1-14
3번: 사람을 더럽게 하는 것은 무엇인가? (역 56장)
4번: 성서는 환생 가르침을 지지하지 않는다 (추 434면 3항-436면 3항)
5월 24일 성서 읽기: 열왕기 하 7-9장
1번: 지 130-3면 1-20항
2번: 열왕 하 9:1-14
3번: 고통받는 사람들에 대한 예수의 동정심 (역 57장)
4번: 그리스도인은 왜 수혈을 거부하는가? (추 405면 4항-406면 1항)
5월 31일 성서 읽기: 열왕기 하 10-12장
1번: 지 133-5면 1-8항
2번: 열왕 하 10:15-30
3번: 예수께서 오해를 바로잡으시다 (역 58장)
4번: 영혼과 죽음에 관한 성서의 가르침은 환생을 용인하지 않는다 (추 436면 4항-437면 2항)
6월 7일 성서 읽기: 열왕기 하 13-15장
1번: 지 135-8면 9-21항
2번: 열왕 하 13:14-25
3번: 예수는 과연 누구인가? (역 59장)
4번: 피에 관한 성서의 견해에 대한 이의에 대답함 (추 407면 1항-409면 2항)
6월 14일 성서 읽기: 열왕기 하 16-18장
1번: 지 138-42면 1-19항
2번: 열왕 하 17:1-15
3번: 그리스도의 왕국 영광을 미리 봄 (역 60장)
4번: 환생과 성서에서 제시하는 희망 사이에는 무슨 차이가 있는가? (추 437면 3, 4항)
6월 21일 성서 읽기: 열왕기 하 19-22장
1번: 지 142-5면 1-15항
2번: 열왕 하 19:14-28, 35
3번: 믿음의 힘 (역 61장)
4번: 하나님의 왕국이 1914년에 설립되었음을 어떻게 알 수 있는가? (추 268면 2항-269면 5항)
6월 28일 성서 읽기: 열왕기 하 23-25장
1번: 열왕기 하—왜 유익한가 (감 74면 33-36항)
2번: 열왕 하 23:1-15
3번: 겸손에 관한 교훈 (역 62장)
4번: 종교가 그렇게 많은 이유는 무엇이며, 선동자는 누구인가? (추 342면 1-3항)
7월 5일 성서 읽기: 역대 상 1-3장
1번: 역대 상 소개 (감 75-6면 1-7항)
2번: 역대 상 3:1-16
3번: 다른 사람들을 실족시키지 않도록 조심하라 (역 63장)
4번: 사제에게 고백하는 일: 성경적이 아닌 이유 (추 44면 6항-45면 7항)
7월 12일 성서 읽기: 역대 상 4-6장
1번: 지 145-8면 16-34항
2번: 역대 상 5:1-17
3번: 용서에 관한 교훈 (역 64장)
4번: 모든 종교가 다 하나님께 가납되지는 않는 이유 (추 342면 4항-344면 1항)
7월 19일 성서 읽기: 역대 상 7-10장
1번: 지 149-50면 1-8항
2번: 역대 상 7:1-12
3번: 예루살렘으로 몰래 여행하심 (역 65장)
4번: 심각한 죄를 왜 장로에게 고백해야 하는가? (추 47면 9항-48면 4항)
7월 26일 성서 읽기: 역대 상 11-14장
1번: 지 150-3면 9-21항
2번: 역대 상 13:1-14
3번: 장막절에 있었던 위험한 상황 (역 66장)
4번: 부모의 종교를 떠나는 것이 올바른 때 (추 344면 2-4항)
8월 2일 성서 읽기: 역대 상 15-18장
1번: 지 153-6면 1-14항
2번: 역대 상 17:1-15
3번: 하속들이 예수를 잡지 못한 이유 (역 67장)
4번: 창조를 믿는 것은 왜 이치적인가? (추 379면 3항-381면 2항)
8월 9일 성서 읽기: 역대 상 19-22장
1번: 지 156-8면 15-24항
2번: 역대 상 22:6-19
3번: 예수는 위에서 났으며 장차 하늘에 계시게 됨 (역 68장 1-11항)
4번: 연합 신앙에 관한 성서의 견해 (추 345면 1항-346면 1항)
8월 16일 성서 읽기: 역대 상 23-26장
1번: 지 158-60면 1-9항
2번: 역대 상 23:1-5, 24-32
3번: 사람들을 자유케 하는 진리 (역 68장 12-16항)
4번: 창조에 관한 성서의 기록을 이해함 (추 381면 3항-383면 2항)
8월 23일 성서 읽기: 역대 상 27-29장
1번: 역대 상—왜 유익한가 (감 78-9면 22-25항)
2번: 역대 상 27:23-34
3번: 아버지에 관한 문제 (역 69장)
4번: 참 종교가 조직되어야 하는 이유 (추 346면 2항-347면 2항)
8월 30일 필기 복습. 열왕기 상 21장-역대 상 29장 전체
9월 6일 성서 읽기: 역대 하 1-5장
1번: 역대 하 소개 (감 79-80면 1-6항)
2번: 역대 하 5:1-14
3번: 맹인으로 태어난 사람을 고치심 (역 70장)
4번: 십자가의 역사적 기원은 무엇인가? (추 222면 2항-223면 3항)
9월 13일 성서 읽기: 역대 하 6-8장
1번: 지 160-3면 10-24항
2번: 역대 하 7:1-16
3번: 걸인이 바리새인들을 당혹케 하다 (역 71장)
4번: 동료 인간을 사랑하는 것으로 충분치 않은 이유는 무엇인가? (추 347면 4항)
9월 20일 성서 읽기: 역대 하 9-12장
1번: 지 163-5면 1-9항
2번: 역대 하 9:1-14
3번: 예수께서 70명을 보내시다 (역 72장)
4번: 십자가 숭배는 왜 성경적이 아닌가? (추 223면 4항-224면 5항)
9월 27일 성서 읽기: 역대 하 13-17장
1번: 지 165-8면 10-21항
2번: 역대 하 13:8-22
3번: 우리의 이웃은 과연 누구인가? (역 73장)
4번: 하나님과의 개인적인 관계를 갖는 것으로 충분치 않은 이유는 무엇인가? (추 347면 5항-348면 1항)
10월 4일 성서 읽기: 역대 하 18-21장
1번: 지 168-70면 1-14항
2번: 역대 하 19:1-11
3번: 마르다에게 하신 예수의 교훈 (역 74장 1-5항)
4번: 사람이 죽는 이유는 무엇인가? (추 358면 3항-359면 5항)
10월 11일 성서 읽기: 역대 하 22-25장
1번: 지 170-2면 15-22항
2번: 역대 하 23:1-15
3번: 꾸준히 힘써 기도할 필요성 (역 74장 6-9항)
4번: 성서를 읽는 것만으로 충분치 않은 이유 (추 348면 2, 3항)
10월 18일 성서 읽기: 역대 하 26-28장
1번: 지 172-5면 1-13항
2번: 역대 하 26:11-23
3번: 예수의 기적에 대한 합당한 반응 (역 75장)
4번: 죽은 자는 어디 있으며, 그 상태는 어떠한가? (추 359면 6항-360면 6항)
10월 25일 성서 읽기: 역대 하 29-30장
1번: 지 175-8면 1-14항
2번: 역대 하 30:1-12
3번: 예수께서 바리새인과 율법학자들을 폭로하시다 (역 76장)
4번: 올바른 종교는 성서에 근거해 있으며 하나님의 이름을 알게 한다 (추 348면 4항-349면 1항)
11월 1일 성서 읽기: 역대 하 31-33장
1번: 지 178-81면 15-29항
2번: 역대 하 32:10-22
3번: 예수께서 유산에 관한 질문을 다루시다 (역 77장)
4번: 여호와의 증인은 왜 전통적인 애도 관습에 참여하지 않는가? (추 361면 4항-362면 6항)
11월 8일 성서 읽기: 역대 하 34-36장
1번: 역대 하—왜 유익한가 (감 84면 34-36항)
2번: 역대 하 34:22-33
3번: 예수께서 제자들에게 자신이 돌아올 때를 예비하도록 촉구하시다 (역 78장)
4번: 올바른 종교는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참 믿음을 증명한다 (추 349면 2항)
11월 15일 성서 읽기: 에스라 1-3장
1번: 에스라 소개 (감 85-6면 1-7항)
2번: 에스라 3:1-13
3번: 민족을 잃지만, 모두는 아님 (역 79장 1-5항)
4번: 마귀가 실제로 존재하는지 어떻게 알 수 있는가? (추 147면 1항-148면 2항)
11월 22일 성서 읽기: 에스라 4-7장
1번: 지 181-4면 1-14항
2번: 에스라 6:1-13
3번: 안식일에 병고치는 일을 항의하는 자들의 주장을 논파하심 (역 79장 6-9항)
4번: 참 종교는 형식주의적인 것이 아니라 생활의 길이다 (추 349면 3항)
11월 29일 성서 읽기: 에스라 8-10장
1번: 에스라—왜 유익한가 (감 87면 14-18항)
2번: 에스라 9:1-9, 15
3번: 양 우리와 선한 목자 (역 80장)
4번: 사단은 어디에서 생겨났는가? (추 149면 1항)
12월 6일 성서 읽기: 느헤미야 1-3장
1번: 느헤미야 소개 (감 88면 1-5항)
2번: 느헤미야 3:1-14
3번: 예수를 죽이려는 이유 (역 81장)
4번: 올바른 종교의 성원들은 서로 사랑하며 세상과 분리되어 있다 (추 349면 4항-350면 1항)
12월 13일 성서 읽기: 느헤미야 4-6장
1번: 지 184-7면 15-34항
2번: 느헤미야 6:1-13
3번: 누가 구원받지 못할 것인가? (역 82장 1-6항)
4번: 사단은 얼마나 강력한 존재인가? (추 150면 2항-151면 1항)
12월 20일 성서 읽기: 느헤미야 7-8장
1번: 지 188-92면 1-13항
2번: 느헤미야 8:1-12
3번: 예루살렘으로 가는 도중에 행하신 일들 (역 82장 7-11항)
4번: 올바른 종교의 성원들은 모두 활동적인 증인들이다 (추 350면 2항)
12월 27일 필기 복습. 역대 하 1장-느헤미야 8장 전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