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년 신권 전도 학교 계획표
지시 사항
2004년에는 다음과 같은 마련에 따라 신권 전도 학교를 진행할 것이다.
근거 자료: 「신세계역 성경」[「성12」], 「파수대」[「파」], 「신권 전도 학교 교육에서 얻는 유익」[「익」], 「‘모든 성경은 하나님의 영감을 받은 것으로 유익하다’」(1991년판) [「감」], 「성경을 사용하여 추리함」(2002년판) [「추」].
학교는 정시에 노래와 기도 그리고 환영사로 시작한 다음, 다음과 같이 진행한다.
연설 기능: 5분. 학교 감독자, 보조 조언자, 혹은 다른 자격 있는 장로가 「전도 학교」 교과서에 근거한 한 가지 연설 기능을 논할 것이다. (장로들의 수가 제한되어 있는 회중에서는 자격을 갖춘 봉사의 종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별도의 표시가 없는 한, 지정된 면에 나오는 네모 안의 내용도 논해야 한다. 연습 문제는 생략한다. 연습 문제는 주로 각자가 풀어 보고 개인적인 조언을 받도록 마련된 것이다.
1번 과제: 10분. 장로나 봉사의 종이 다루어야 하며, 근거 자료는 「파수대」지나 「신권 전도 학교 교육에서 얻는 유익」 책이나 「‘모든 성경은 하나님의 영감을 받은 것으로 유익하다’」 책이 될 것이다. 구두 복습 없이 10분간 교훈 연설로 다루어야 한다. 이 과제의 목적은, 지정된 자료를 다루는 것과 동시에 논하고 있는 내용의 실용적 가치에 주의를 집중시키면서, 회중에 가장 도움이 될 만한 점을 강조하는 것이어야 한다. 계획표에 명시된 주제를 사용해야 한다. 이 연설을 맡는 형제들에게는 제한된 시간 내에 마치도록 주의를 기울일 것이 기대된다. 필요할 경우, 개인적인 조언을 할 수도 있다.
성서 읽기 범위의 주요점: 10분. 처음 6분간 자격을 갖춘 장로나 봉사의 종이 회중의 필요에 맞게 자료를 적용시킨다. 그 주간 성서 읽기 범위 가운데 어느 부분이든 해설할 수 있다. 지정된 낭독 범위를 단순히 요약하기만 해서는 안 된다. 주된 목적은 그 내용이 왜 그리고 어떻게 가치가 있는지를 청중이 인식하도록 돕는 것이다. 연사는 이 첫 부분에 배정된 시간인 6분을 초과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나머지 4분은 청중 참여를 위해 반드시 따로 떼어 놓아야 한다. 성서 읽기를 통해 어떤 흥미 있는 점을 발견하였으며 어떤 유익을 얻었는지에 대해 간단히(30초 이내로) 해설하도록 청중에게 권한다. 청중의 해설이 끝나면, 학교 감독자는 학생들이 자기가 속한 학급으로 가게 할 것이다.
2번 과제: 4분. 형제가 낭독하는 과제이다. 대개 성서의 일부분을 낭독한다. 하지만 한 달에 한 번은 「파수대」지에서 발췌한 자료를 낭독하도록 지정될 것이다. 학생은 서론이나 결론 없이 지정된 자료를 낭독해야 한다. 낭독할 자료의 양이 매주 약간씩 다를 수 있지만, 4분 이내에 낭독해야 한다. 학교 감독자는 과제를 지정하기 전에 낭독 자료를 살펴보아서, 학생의 나이와 능력에 맞는 과제를 지정해 주어야 한다. 학교 감독자는 학생들이 이해력, 유창함, 올바른 의미 강세, 변조, 적절한 멈춤 및 자연스러움을 사용하여 낭독하도록 돕는 데 특히 관심을 기울일 것이다.
3번 과제: 5분. 이 과제는 자매에게 지정해 줄 것이다. 이 과제를 받는 학생들은 「전도 학교」 교과서 82면에 나오는 목록에서 하나의 장면을 선택하거나 지정받게 될 것이다. 학생은 지정된 주제를 사용하여, 자신의 회중 구역의 실제적이고 실용적인 야외 봉사 부면에 적용시켜야 한다. 참조할 근거 자료가 나와 있지 않을 경우, 학생은 충실하고 슬기로운 종 반열이 마련한 출판물들을 연구·조사함으로 이 과제 발표를 위한 자료를 수집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비교적 새로운 학생들에게는 참조 자료가 제시되어 있는 과제를 지정해 주어야 한다. 학교 감독자는 학생이 자료를 전개하는 방법에 그리고 학생이 집주인으로 하여금 성경을 근거로 추리하고 제시하는 내용의 주요점들을 이해하도록 돕는 방법에 특히 관심을 기울일 것이다. 이 과제를 지정받는 학생은 읽을 줄 알아야 한다. 학교 감독자는 한 명의 보조자를 지정해 줄 것이다.
4번 과제: 5분. 학생은 지정된 주제를 다루어야 한다. 참조할 근거 자료가 나와 있지 않을 경우, 학생은 충실하고 슬기로운 종 반열이 마련한 출판물들을 연구·조사함으로 이 과제 발표를 위한 자료를 수집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 과제가 형제에게 지정될 경우에는, 왕국회관에 모인 청중에게 하는 연설로 생각하고 과제 발표를 할 것이다. 자매가 이 과제를 맡게 될 경우에는, 언제나 3번 과제에 관해 지시한 대로 과제 발표를 해야 한다. 학교 감독자는 자신이 적절하다고 생각할 경우에는 언제나 형제에게 4번 과제를 지정할 수 있다. 하지만 주제 다음에 별표(a)가 나와 있는 과제는 항상 형제들이 연설을 다루도록 지정해야 한다는 점에 유의하기 바란다.
시간 조절: 어떤 연설도 시간을 초과해서는 안 되며, 학교 감독자가 하는 조언도 마찬가지이다. 2번 과제에서 4번 과제까지는, 시간이 다 되면 재치 있게 중단시켜야 한다. 연설 기능을 논하는 첫 연설이나 1번 과제나 성서 읽기 범위의 주요점을 다루는 형제가 시간을 초과하면, 그에게 개인적인 조언을 해 주어야 한다. 모두가 시간 조절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전체 프로그램은 노래와 기도를 제외하고 45분간이다.
조언: 1분. 학교 감독자는 각 학생이 과제를 발표한 후에 칭찬할 만한 연설 부면에 대한 얼마의 긍정적인 의견을 말하는 데에 1분 이상을 사용하지 않을 것이다. 학교 감독자의 목표는 단순히 “잘했다”고 말하는 것이 아니라, 과제 발표에서 그 부면이 효과적이었던 구체적인 이유에 주의를 이끄는 것이다. 각 학생의 필요에 따라, 집회 후나 다른 때에 개인적으로 건설적인 조언을 더 해 줄 수 있다.
보조 조언자: 장로의 회는 학교 감독자 외에 사용할 수 있는 유능한 장로가 있다면 그를 선택하여 보조 조언자로서 임무를 수행하게 할 수 있다. 회중에 장로들이 여러 명 있다면, 매년 자격을 갖춘 다른 장로가 이 임무를 맡을 수도 있다. 보조 조언자의 책임은 1번 과제나 성서 읽기 범위의 주요점을 제공하는 형제들에게 필요할 경우에 개인적인 조언을 하는 것이다. 동료 장로나 봉사의 종이 그러한 연설을 한 후에 매번 조언을 할 필요는 없다. 이 마련은 2004년에도 계속 유효하며, 그 후에는 조정될지 모른다.
조언 용지: 교과서 안에 있다.
구두 복습: 30분. 2개월마다 학교 감독자는 구두 복습을 진행할 것이다. 연설 기능과 성서 읽기 범위의 주요점을 앞에서 지시한 대로 고려한 다음에, 구두 복습을 할 것이다. 구두 복습은, 복습을 하는 주를 포함하여 이전 2개월간 학교에서 고려한 자료를 근거로 할 것이다.
계획표
연설 기능: 실용적 가치를 분명하게 제시하기 (「익」 157면 1항–158면 1항)
1번: 골자 만들기 (「익」 39-42면)
2번: 창세기 2:7-25
3번: “신약”에서도 장래의 지상 낙원에 관하여 말하는가, 아니면 낙원은 단지 “구약”에서만 말하는 것인가? (「추」 70면 1항–71면 1항)
4번: b태만의 죄에 관한 성서의 예로부터 배울 수 있는 점
1월 12일 성서 읽기: 창세기 6-10장 노래 215번
연설 기능: 내용의 실제적인 적용 (「익」 158면 2-4항)
1번: 청결—실제로 무엇을 의미하는가? (「파」02 2/1 4-7면)
2번: 창세기 8:1-17
3번: 거짓말이 잘못인 이유
4번: 누가 23:43에 언급된 “낙원”이 하데스 혹은 하늘의 일부가 될 수 없는 이유 (「추」 71면 2항–72면 3항)
1월 19일 성서 읽기: 창세기 11-16장 노래 218번
연설 기능: 다른 사람들이 요점을 파악하게 도와주라 (「익」 159면 1-4항)
1번: 경건한 원칙—당신에게도 유익할 수 있다 (「파」02 2/15 4-7면)
2번: 창세기 13:1-18
3번: 누가 23:43에 언급된 낙원이 땅에 속한 것임을 무엇이 알려 주는가? (「추」 72면 4항–73면 4항)
4번: 여호와의 증인이 자신이 가진 희망을 다른 사람에게 전하는 이유
1월 26일 성서 읽기: 창세기 17-20장 노래 106번
연설 기능: 단어 선택 (「익」 160면 1-3항)
1번: 감정 이입—친절과 동정심의 열쇠 (「파」02 4/15 24-7면)
3번: 누가 13:24에 기록된 예수의 말씀이 의미하는 것
4번: 우리 각자는 참다운 지식과 지혜를 어떻게 얻을 수 있는가? (「추」 384면 2항–385면 2항)
2월 2일 성서 읽기: 창세기 21-24장 노래 64번
연설 기능: 쉽게 이해되는 표현 (「익」 161면 1-4항)
1번: 학교를 위한 학생의 과제 준비하기 (「익」 43면 1항–44면 3항)
2번: 창세기 21:1-21
3번: 인간 철학의 근원은 무엇인가? (「추」 385면 3항–386면 2항)
4번: c약혼을 심각하게 여겨야 하는 이유
2월 9일 성서 읽기: 창세기 25-28장 노래 9번
연설 기능: 표현의 다양성과 정확성 (「익」 161면 5항–162면 4항)
1번: 논할 문제와 장면을 사용하여 준비하는 일 (「익」 44면 4항–46면 2항)
2번: 창세기 28:1-15
3번: 근심 걱정으로 가득 찬 이 세상에서 내적 평화를 찾는 방법
4번: 인간 철학이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의 가르침을 연구하는 것이 명료한 사고를 가지고 있다는 증거가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추」 386면 3항–387면 3항)
2월 16일 성서 읽기: 창세기 29-31장 노래 160번
연설 기능: 힘, 느낌, 생동감을 전달하는 단어들 (「익」 163면 1항–164면 2항)
1번: 충절은 올바른 자들을 인도한다 (「파」02 5/15 24-8면)
3번: 하느님께서는 어떤 사람의 기도를 기꺼이 들으시는가? (「추」 64면 2항–65면 5항)
4번: 그리스도인들에게 덕이 중요한 특성인 이유
2월 23일 성서 읽기: 창세기 32-35장 노래 1번
연설 기능: 문법 규칙에 맞는 말 (「익」 164면 3항–165면 1항)
구두 복습
3월 1일 성서 읽기: 창세기 36-39장 노래 49번
연설 기능: 골자 사용 (「익」 166면 1항–167면 2항)
1번: 회중을 위한 연설 준비하기 (「익」 47면 1항–49면 1항)
2번: 창세기 37:12-28
3번: 우리의 믿음이 반드시 인내와 연관되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4번: d하느님께 받아들여지지 않는 어떤 기도를 하게 될 수 있는가? (「추」 65면 6항–66면 7항)
3월 8일 성서 읽기: 창세기 40-42장 노래 205번
연설 기능: 자신의 생각을 정리함 (「익」 167면 3항–168면 1항)
1번: 봉사회 프로와 다른 연설들 준비하기 (「익」 49면 2항–51면 1항)
2번: 창세기 42:1-20
3번: 여호와와 친밀한 관계를 배양하는 방법
4번: e기도에 포함시킬 수 있는 합당한 것들은 무엇인가? (「추」 66면 8항–67면 7항)
3월 15일 성서 읽기: 창세기 43-46장 노래 67번
연설 기능: 연설 골자를 간단하게 작성함 (「익」 168면 2항–169면 5항)
1번: 진지한 노력—어떤 경우에 여호와의 축복을 받는가? (「파」02 8/1 29-31면)
2번: 창세기 43:1-18
3번: f누가 “먼저 나와 함께 기도하고 그 다음에 소식을 전해달라”고 말한다면 (「추」 67면 8항–68면 1항)
4번: 우리는 어떻게 불의한 재물로 친구들을 사귈 수 있는가?
3월 22일 성서 읽기: 창세기 47-50장 노래 187번
연설 기능: 논리적인 내용 전개 (「익」 170면 1항–171면 3항)
1번: 여호와께서는 왜 아벨의 희생은 받아들이셨지만 카인의 희생은 받아들이지 않으셨는가? (「파」02 8/1 28면)
2번: 창세기 47:1-17
3번: 앞으로 성취될 두드러진 성서 예언 중 얼마는 어떤 것들인가? (「추」 294면 2항–295면 5항)
4번: 여호와를 두려워하는 것이 지혜의 시작인 이유
연설 기능: 내용을 논리적으로 제시함 (「익」 171면 4항–172면 6항)
1번: 사고력이 어떻게 우리를 지켜 줄 수 있는가? (「파」02 8/15 21-4면)
3번: 여호와께서는 교만을 어떻게 보시는가?
4번: 그리스도인들이 성서 예언에 예리한 관심을 가져야 할 이유는 무엇인가? (「추」 295면 6항–296면 3항)
연설 기능: 관련 있는 내용만 사용할 것 (「익」 173면 1-4항)
1번: 일반인을 위한 강연 준비하기 (「익」 52면 1항–54면 1항)
2번: 탈출기 8:1-19
3번: g누가 “당신은 예언을 지나치게 강조한다”고 말한다면 (「추」 296면 4-5항)
4번: 희망이 ‘영혼을 위한 닻’과 같은 이유
4월 12일 성서 읽기: 탈출기 11-14장 노래 87번
연설 기능: 즉석에서 표현하는 연설 (「익」 174면 1항–175면 5항)
1번: 연사의 결정 사항 (「익」 54면 2-4항; 55면 네모)
2번: 탈출기 12:1-16
3번: 여호와의 징계를 기쁘게 받아들여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4번: 연옥 가르침은 무엇에 근거한 것인가? (「추」 267면 1-6항)
4월 19일 성서 읽기: 탈출기 15-18장 노래 171번
연설 기능: 즉석에서 표현하는 연설의 함정을 피함 (「익」 175면 6항–177면 2항)
1번: 시련에 대해 어떠한 견해를 가져야 하는가? (「파」02 9/1 29-31면)
3번: 사후에 죄에 대한 형벌이 더 가해지는가? (「추」 268면 1-5항)
4번: h결혼이 평생 지속되는 결합이어야 하는 이유
4월 26일 성서 읽기: 탈출기 19-22장 노래 59번
연설 기능: 다른 사람이 설명을 요구할 때 (「익」 177면 3항–178면 3항)
구두 복습
5월 3일 성서 읽기: 탈출기 23-26장 노래 13번
연설 기능: 대화 방식 (「익」 179-80면)
1번: 가르치는 사람으로서 능력을 발전시키라 (「익」 56면 1항–57면 2항)
2번: 탈출기 23:1-17
3번: 여호와께서는 나쁜 습관을 극복하도록 어떻게 도와주실 수 있는가?
4번: 다양한 인종이 어디에서 나왔는가? (「추」 318면 2항–319면 1항)
5월 10일 성서 읽기: 탈출기 27-29장 노래 28번
연설 기능: 목소리 기능 (「익」 181면 1-4항)
1번: “구별”하라 (「익」 57면 3항–58면 2항)
2번: 탈출기 28:29-43
3번: 단지 한 가족만 있었다면 카인은 어디에서 아내를 취하였는가? (「추」 319면 2-4항)
4번: 인종적 편견이 그릇된 것인 이유
5월 17일 성서 읽기: 탈출기 30-33장 노래 93번
연설 기능: 적절한 호흡 조절 (「익」 182면 1항–184면 1항; 182면 네모)
1번: 듣는 사람이 생각하도록 격려하라 (「익」 58면 3항–59면 3항)
2번: 탈출기 30:1-21
3번: 성품이 온화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4번: 다양한 인종적 특성들에 대하여 어떤 설명이 있는가? (「추」 319면 5항–320면 2항)
5월 24일 성서 읽기: 탈출기 34-37장 노래 86번
연설 기능: 근육의 긴장을 풀기 (「익」 184면 2항–185면 3항; 184면 네모)
1번: 적용법을 제시하고, 훌륭한 모범을 보이라 (「익」 60면 1항–61면 3항)
2번: 탈출기 36:1-18
3번: 모든 인간은 하느님의 자녀인가? (「추」 321면 1-5항)
4번: 작은 일에 충실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5월 31일 성서 읽기: 탈출기 38-40장 노래 202번
연설 기능: 상대방에 대한 관심 표현 (「익」 186면 1-4항)
1번: 대화 기술을 향상시키는 방법 (「익」 62면 1항–64면 1항)
3번: 요한 첫째 3:19, 20에 대한 이해가 어떻게 우리를 위로해 줄 수 있는가?
4번: 모든 인종의 사람들이 과연 형제 자매들로 연합될 것인가? (「추」 322면 1-4항)
연설 기능: 주의 깊이 듣는 일 (「익」 187면 1-5항)
1번: 대화를 계속하는 방법 (「익」 64면 2항–65면 4항)
2번: 레위기 3:1-17
3번: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은 순교자가 된 다른 사람들의 죽음과는 어떻게 다른가? (「추」 80면 2항–81면 2항)
4번: 신비술을 시험삼아 해 보는 것이 잘못인 이유는 무엇인가?
6월 14일 성서 읽기: 레위기 6-9장 노래 121번
연설 기능: 다른 사람이 발전하도록 도와줌 (「익」 188면 1-4항)
1번: 질문자의 견해를 분별함 (「익」 66면 1항–68면 1항)
2번: 레위기 7:1-19
3번: 어떻게 악한 것을 미워하는 법을 배울 수 있는가?
4번: 그와 같은 방법으로 대속물이 마련되어야 할 필요가 있었던 이유는 무엇인가? (「추」 81면 4-6항)
6월 21일 성서 읽기: 레위기 10-13장 노래 183번
연설 기능: 실제적인 도움을 베풂 (「익」 188면 5항–189면 4항)
1번: 어떻게 대답해야 할지 알라 (「익」 68면 2항–70면 3항)
2번: 레위기 11:1-25
3번: 하느님께 순종하는 모든 사람에게 하느님께서 단순히 영원히 살 수 있다고 명하시기만 하면 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 (「추」 81면 7항–82면 3항)
4번: 여호와께서는 속이는 일을 어떻게 보시는가?
6월 28일 성서 읽기: 레위기 14-16장 노래 216번
연설 기능: 다른 사람에 대한 존경 표시 (「익」 190면 1항–191면 1항)
구두 복습
7월 5일 성서 읽기: 레위기 17-20장 노래 54번
연설 기능: 존경심을 가지고 인정해 주기 (「익」 191면 2항–192면 1항)
1번: 편지를 통한 의사 전달 (「익」 71-3면)
2번: 레위기 17:1-16
3번: 여호와의 조직을 신뢰하라
4번: 예수의 희생의 가치는 먼저 누구에게 또한 무슨 목적으로 적용되었는가? (「추」 83면 1-2항)
7월 12일 성서 읽기: 레위기 21-24장 노래 138번
연설 기능: 존경심을 가지고 말하기 (「익」 192면 2항–193면 2항)
1번: 발전하고 진보하라 (「익」 74면 1항–75면 3항)
2번: 레위기 22:1-16
3번: 우리 시대에, 그 밖의 누가 예수의 희생으로부터 혜택을 누리고 있는가? (「추」 83면 3항–84면 1항)
4번: 여호와는 유대인의 민족신이었는가?
7월 19일 성서 읽기: 레위기 25-27장 노래 7번
연설 기능: 확신 있게 말하기 (「익」 194면 1항–195면 2항)
1번: 자신이 받은 선물을 사용하라 (「익」 75면 4항–77면 2항)
2번: 레위기 25:1-19
3번: 어떻게 테러 행위가 사라질 것인가?
4번: 대속물의 결과로 어떤 장래의 축복들을 누리게 될 것인가? (「추」 84면 2항–85면 1항)
연설 기능: 확신을 나타내는 방법 (「익」 195면 3항–196면 4항)
1번: 그리스도인이 질투하는 것은 합당한 일인가? (「파」02 10/15 28-31면)
3번: 예수의 희생으로부터 혜택을 누리기 위해서 우리에게 무엇이 요구되는가? (「추」 85면 2-5항)
4번: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을 애통해하는 것은 잘못된 일인가?
연설 기능: 재치 있으면서도 확고함을 나타내기 (「익」 197면 1-3항)
1번: 여호와 앞에서 우리의 날을 가치 있는 것이 되게 함 (「파」02 11/15 20-3면)
2번: 민수기 6:1-17
3번: 사람들이 서로 미워하는 일을 그치게 하는 데 성서가 어떻게 도움이 될 수 있는가?
4번: 대속은 우리가 생명을 사용하는 방법에 어떤 영향을 미쳐야 하는가? (「추」 85면 6항–86면 2항)
연설 기능: 증거할 때의 재치 (「익」 197면 4항–198면 5항)
1번: 계층의 구분이 없는 사회—정말 가능한가? (「파」02 1/1 4-7면)
2번: 민수기 8:1-19
3번: 사도 바울은 그리스도인들이 “끌어 올려”져서 주와 함께 있을 것이라고 말하였을 때, 무슨 문제에 관해 논한 것인가? (「추」 429면 1항–430면 1항)
4번: 적그리스도란 누구인가?
8월 16일 성서 읽기: 민수기 10-13장 노래 203번
연설 기능: 적당한 때의 올바른 말 (「익」 199면 1-4항)
1번: 실재하는 하느님 여호와를 신뢰하라 (「파」02 1/15 5-7면)
2번: 민수기 12:1-16
3번: 하느님의 복수는 그분의 사랑과 조화를 이루는가?
4번: 그리스도께서는 눈에 보이도록 구름 위에 나타나셔서 세상이 지켜보는 가운데 충실한 그리스도인들을 하늘로 데려가실 것인가? (「추」 430면 2-4항)
8월 23일 성서 읽기: 민수기 14-16장 노래 207번
연설 기능: 가족과 다른 사람들을 대할 때 재치를 사용함 (「익」 200면 1항–201면 1항)
1번: 서로 다른 태도를 발전시킨 형제 (「파」02 1/15 21-3면)
2번: 「파」02 7/15 23면 15항–24면 19항
3번: 그리스도인들이 육체를 가지고 하늘로 데려감을 받는 것이 가능한가? (「추」 431면 1-2항)
4번: i폭력적인 비디오 게임이 그리스도인들에게 합당하지 않은 이유
8월 30일 성서 읽기: 민수기 17-21장 노래 150번
연설 기능: 세워 주는 긍정적인 말 (「익」 202면 1항–203면 2항)
구두 복습
9월 6일 성서 읽기: 민수기 22-25장 노래 22번
연설 기능: 긍정적인 어조를 유지함 (「익」 203면 3항–204면 1항)
1번: 그 고대 세상은 왜 멸망되었는가? (「파」02 3/1 5-7면)
2번: 민수기 22:1-19
3번: 충실한 그리스도인들은 죽지 않고 은밀히 하늘로 데려감을 받게 될 것인가? (「추」 431면 3항–432면 3항)
4번: j그리스도인 부모가 자녀에게 책을 읽어 주어야 하는 이유
9월 13일 성서 읽기: 민수기 26-29장 노래 71번
연설 기능: 동료 신자들과 대화할 때 (「익」 204면 2항–205면 4항)
1번: 장애의 고통—어떻게 끝날 것인가? (「파」02 5/1 4-7면)
2번: 민수기 29:1-19
3번: 큰 환난 중에 참 그리스도인들을 위해 어떤 보호가 있을 것인가? (「추」 432면 4항–433면 3항)
4번: 하느님의 약속은 어떻게 예수 그리스도에 의하여 ‘예’가 되어 왔는가?
9월 20일 성서 읽기: 민수기 30-32장 노래 51번
연설 기능: 강조하기 위한 반복 (「익」 206면 1-4항)
1번: 의를 뿌리고 하느님의 사랑의 친절을 거두라 (「파」02 7/15 28-31면)
2번: 민수기 30:1-16
3번: 일부 그리스도인들이 그리스도와 함께 있도록 하늘로 데려감을 받는 이유는 무엇인가? (「추」 433면 5-8항)
4번: k음란물을 멀리 해야 하는 이유
9월 27일 성서 읽기: 민수기 33-36장 노래 100번
연설 기능: 야외 봉사에서와 연설할 때의 반복 (「익」 207면 1항–208면 4항)
1번: 참다운 성인들이 어떻게 우리를 도울 수 있는가? (「파」02 9/15 4-7면)
3번: l‘홀연한 승천을 믿는가?’ (「추」 433면 9항–434면 2항)
4번: 스릴을 찾는 일을 피해야 하는 이유
10월 4일 성서 읽기: 신명기 1-3장 노래 191번
연설 기능: 주제 전개 (「익」 209면 1-3항)
1번: 위로—하느님에 대한 정확한 지식에 들어 있다 (「파」02 10/1 5-7면)
2번: 신명기 1:1-18
3번: 진리를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 것이 의미하는 것
4번: 생전 처음 대하는 사람과 장소에 대해 이상하게 친숙하게 느껴지는 것은 환생이 사실임을 증명하는 것인가? (「추」 434면 3항–436면 1항)
10월 11일 성서 읽기: 신명기 4-6장 노래 181번
연설 기능: 적절한 주제를 사용하기 (「익」 210면 1항–211면 1항; 211면 네모)
1번: 기원전 537년부터 기원전 997년까지의 역산 (「감」285면 5-7항)
2번: 신명기 4:1-14
3번: 요한 9:1, 2의 기록이 환생을 증명하는 것이 아닌 이유는 무엇인가? (「추」 436면 2항–437면 3항)
4번: “영에 정신을 쏟는 것”에는 무엇이 관련되는가?
10월 18일 성서 읽기: 신명기 7-10장 노래 78번
연설 기능: 주요점을 두드러지게 하기 (「익」 212면 1항–213면 1항)
1번: 기원전 997년부터 기원전 2370년까지의 역산 (「감」285-6면 8-11항)
3번: 환생과 성서에서 제시하는 희망 사이에는 얼마나 큰 차이가 있는가? (「추」 437면 4-5항)
4번: a여호와께서는 배교를 어떻게 보시는가?
10월 25일 성서 읽기: 신명기 11-13장 노래 57번
연설 기능: 주요점이 너무 많지 않게 하라 (「익」 213면 2항–214면 5항)
구두 복습
11월 1일 성서 읽기: 신명기 14-18장 노래 26번
연설 기능: 흥미를 일으키는 서론 (「익」 215면 1항–216면 5항)
1번: 기원전 2370년부터 기원전 4026년까지의 역산 (「감」286-7면 12-15항)
2번: 신명기 14:1-23
3번: b누가 ‘나는 환생을 믿는다’고 말한다면 (「추」 438면 1-3항)
4번: 그리스도인들이 생활을 단순하게 유지해야 하는 이유
11월 8일 성서 읽기: 신명기 19-22장 노래 182번
연설 기능: 야외 봉사에서 사람들의 주의를 이끎 (「익」 217면 1-4항)
1번: 예수의 지상 거주 (「감」287면, 291면 16-17항)
2번: 신명기 21:1-17
3번: 종교가 이토록 많은 이유는 무엇인가? (「추」 336면 2항–337면 3항)
4번: 성서의 모범들은 낙담하는 일을 극복하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될 수 있는가?
11월 15일 성서 읽기: 신명기 23-27장 노래 162번
연설 기능: 서론에서 논할 문제가 무엇인지를 밝힘 (「익」 217면 5항–219면 3항)
1번: 예수의 봉사의 직무에 대한 시간적 특징들 (「감」291면 18-19항)
2번: 신명기 24:1-16
3번: 하느님의 후원을 받는 사람들을 식별하는 방법
4번: 모든 종교에는 선한 것이 있다는 것이 사실인가? (「추」 337면 4항–338면 1항)
11월 22일 성서 읽기: 신명기 28-31장 노래 32번
연설 기능: 효과적인 결론 (「익」 220면 1-3항)
1번: 사도 시대의 햇수 계산 (「감」291-2면 20-3항)
2번: 신명기 29:1-18
3번: 부모의 종교를 떠나는 것이 올바른 일인가? (「추」 338면 2항–339면 1항)
4번: 그리스도인들이 겸허해야 하는 이유
11월 29일 성서 읽기: 신명기 32-34장 노래 41번
연설 기능: 염두에 두어야 할 점들 (「익」 221면 1-5항)
1번: 바울의 2차 선교 여행 (「감」292-3면 24-5항)
2번: 「파」02 10/15 10면 10항–11면 13항
3번: 하느님의 이름을 거룩하게 할 수 있는 방법들
4번: 연합 신앙에 관한 성서의 견해는 무엇인가? (「추」 339면 2항–340면 2항)
12월 6일 성서 읽기: 여호수아 1-5장 노래 40번
연설 기능: 야외 봉사에서 (「익」 221면 6항–222면 6항)
1번: 바울의 3차 선교 여행 그리고 마지막 기간, 기원 56-100년 (「감」293면 26-30항)
2번: 여호수아 4:1-14
3번: 조직된 종교에 속할 필요가 있는가? (「추」 340면 3항–341면 3항)
4번: 크리스마스는 그리스도인이 기념해야 할 행사인가?
12월 13일 성서 읽기: 여호수아 6-8장 노래 213번
연설 기능: 말하는 내용의 정확성 (「익」 223면 1-5항)
1번: 사과—평화를 이룩하는 열쇠 (「파」02 11/1 4-7면)
2번: 여호수아 6:10-23
3번: 계속 집집으로 전파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4번: 동료 인간을 사랑하는 것이 참으로 중요한가? (「추」 341면 5항)
12월 20일 성서 읽기: 여호수아 9-11장 노래 135번
연설 기능: ‘신실한 말씀을 굳게 지킬’ 것 (「익」 224면 1-4항)
1번: 여러분의 손을 강하게 하십시오 (「파」02 12/1 30-1면)
2번: 「파」02 11/15 18면 19항–19면 23항
3번: 하느님과의 개인적인 관계를 갖는 것이 참으로 중요한가? (「추」 342면 1-2항)
4번: c평화를 이루는 사람이 된다는 것의 의미
12월 27일 성서 읽기: 여호수아 12-15장 노래 210번
연설 기능: 내용의 정확성을 확인할 것 (「익」 225면 1-3항)
구두 복습
[각주]
a 형제들에게만 과제를 지정해 주어야 한다.
b 형제들에게만 과제를 지정해 주어야 한다.
c 형제들에게만 과제를 지정해 주어야 한다.
d 형제들에게만 과제를 지정해 주어야 한다.
e 형제들에게만 과제를 지정해 주어야 한다.
f 주장이나 이의 등에 대답하는 방법은, 시간이 허락하는 대로 회중 구역의 필요에 가장 잘 맞는 것을 고려한다.
g 주장이나 이의 등에 대답하는 방법은, 시간이 허락하는 대로 회중 구역의 필요에 가장 잘 맞는 것을 고려한다.
h 형제들에게만 과제를 지정해 주어야 한다.
i 형제들에게만 과제를 지정해 주어야 한다.
j 형제들에게만 과제를 지정해 주어야 한다.
k 형제들에게만 과제를 지정해 주어야 한다.
l 주장이나 이의 등에 대답하는 방법은, 시간이 허락하는 대로 회중 구역의 필요에 가장 잘 맞는 것을 고려한다.
a 형제들에게만 과제를 지정해 주어야 한다.
b 주장이나 이의 등에 대답하는 방법은, 시간이 허락하는 대로 회중 구역의 필요에 가장 잘 맞는 것을 고려한다.
c 형제들에게만 과제를 지정해 주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