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취로 상품 선전
“으음, 그 냄새 참 향긋하구나! 삽시다!”
향기로운 냄새에 대하여 당신은 얼마나 자주 그와 같은 반응을 보이는가? 이것은 향기가 사람들에게 커다란 영향을 준다는 것을 실증한다.
코는 하나님께서 인류에게 주신 놀라운 선물이다. 코에 대하여 「사이언티픽 아메리칸」지는 이렇게 말하였다. “화학자가 볼 때 물질을 가려내고 판별하는 코의 능력은 거의 믿기 어려울 정도이다. 코는 실험실에서 화학자가 분석하는 데 여러 달 걸릴 수 있는 복잡한 화합물을 처리해 낸다. 너무 소량(심지어 천만분지 일 ‘그램’)이어서 가장 성능이 좋은 현대 실험 기구로도 그 물질을 분석하고 분류하기는커녕 그것을 탐지해 내지도 못하는데 코는 그러한 것을 즉시 식별해 내는 것이다.”
그러나 조심하라! 당신의 코는 당신에게 유익을 주고 보호해 주도록 설계되었지만 오늘날 그것이 당신을 속일 수 있다. 당신은 후각에 설복되어 품질은 같지만 덜 비싼 것을 제치고 어떤 물건을 비싸게 살 수 있다. 어떻게 그러한가?
왜냐 하면, 근년에 연구가들이 향취 상품 선전술을 주의깊이 개발했기 때문이다.
향취 선전술이 널리 보급되다
‘수퍼마아켓’의 선반을 훑어 보면 근년에 향취 상품 선전의 인기가 매우 높아졌음을 분명히 알 수 있을 것이다. 「내셔널 업저어버」지에서 ‘대니얼 헤닝거’는 이렇게 기술하였다.
“큰 ‘수퍼마아켓’에 가보면 흔히 ‘11가지 향료가 든’ ‘샘푸우’, ‘4월의 싱그러운 향기를 의복에 스며들게 하는’ 직물연화제, ‘황혼의 안개, 정원의 달빛, 새벽 안개, 여름의 야경’으로 향기를 가미한 목욕 기름 ··· ‘새 봄의 향기’를 지닌 화장실 ‘암모니아’수 및 기타 향기 제품들이 통로에 냄새를 풍기고 있다.”
냄새로 선전하는 제품 가운데, 세탁 세제, 설겆이용 액체 비누, 청소용 약품, ‘헤어 스프레이’, 면도 ‘크리임’, 일회용 기저귀, 중고차 등이 있다. 1950년 대에는 사람들이 어떤 제품을 사도록 이끌기 위하여 신문 광고에도 향기를 가미하였다.
그러나 왜 향취 상품 선전에 그처럼 큰 관심을 쏟는가?
그들은 “체험”을 원한다
“사람들은 자기들에게 무언가를 해 주는 것, 자기들에게 강한 체험을 주는 제품을 찾고 있다”고 화학자이며 향료 제조업자인 ‘제이. 스테펀 젤리네크’ 박사는 말하였다. 향기는 상당한 심리 효과를 낸다. 일부 연구가들은 향기가 색깔과 마찬가지로 사람들의 기분을 돋구어 줄 수 있다고 믿고 있다.
당신은 광고주들이 흔히 어떤 제품을 사도록 하는 주원인으로 제품의 향기를 강조하는 것에 유의하였는가? 예를 들어, 어떤 ‘샘푸우’ 광고를 고려하여 보라. “당신이 병을 열자마자 숲속의 향료 식물과 산속의 꽃의 실감나는 짙은 향기가 풍긴다. ··· 전체 체험은 당신의 머리 속에서도 아름다운 일을 해준다. 그리고 그것은 하나의 체험이다. 지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샘푸우’의 체험이다.”
고객들이 갈망하는 또 다른 “체험”은 깨끗함과 신선함의 체험이다. 상인들은 어떻게 그것을 제공하는가? 역시 향기로 그렇게 한다. 일회용 기저귀 판매에 대하여 ‘젤리네크’ 박사는 이렇게 지적하였다. “고객은 부드러운 직물을 보거나 만질 수 있지만 소독 살균 상태를 보거나 느끼지 못한다. 이것은 포장 도안과 향기와 연결되어야 한다. 한편 향기는 적절해야 한다. 즉 제품의 ‘이미지’를 쇄신할 만큼 짙으면서도 역겨울만큼 조잡해서는 안 된다.”
향기에 의한 상품 선전은 흔히 사람들이 자연과 결부시키는 향기를 중심으로 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젤리네크’ 박사는 십대 소녀들이 더 좋아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맛과 향기—그들이 자연과 관련시키는 것, 이를 테면, ‘레몬’, 복숭아, ‘오렌지’, 사과 꽃 등과 결부시키는 것”이라고 말하였다. “그리고 일부 매우 성공적인 화장품들은 ··· 이러한 ‘자연의’ 향기와 맛을 중심으로 만들어졌다.”
당신은 최근에 ‘냄새가 깨끗하고 자연스럽기’ 때문에 일회용 기저귀나 기타 제품을 샀는가? 당신은 그 냄새가 상품 선전을 목적으로 화학적으로 가미되었다는 것을 알았는가?
“비밀 판매원”
향취 상품 선전이 매우 효과적이기 때문에 “화장품, ‘헤어 스프레이’, 가정용품이 향료 기업을 이룬다”고 ‘대니얼 헤닝거’는 기술하였다. 향료 제조 업자들은 향기를 “비밀 판매원”이라고 부른다. 예를 들면, 한 상점은 동일한 ‘스타킹’을 두 종류로 진열하였다. 단 한가지 차이는 한가지에 약간 향기를 가미한 것이었다. 결과가 어떠하였는가? 대부분의 여자들은 향기가 있는 ‘스타킹’을 선택하였다. ‘젤리네크’ 박사는 이렇게 보고하였다. “그러한 시험의 결과는 때때로 매우 놀랍다. 단순히 향기를 근거로 하여 한가지 제품을 다른 제품보다 50% 혹은 그 이상 더 여자들이 좋아하는 예가 많다.”
「프린터스 잉크」지는 식품의 향기에 의한 선전 효과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웨스트 버지니아’ 주 ‘휘일링’에 있는 ‘화잇 타워’ 식당은 ‘초콜렛’ 과자의 매상고를 증가시키기를 원하였다. 하루에 단지 세개 밖에 팔지 못하고 있었던 것이다.” ‘초콜렛’ 향기를 풍기는 기계를 도입하였다. 그 결과는? “판매량이 하루 32개로 증가하였다.”
당신은 속고 있는가?
향취 상품 선전의 효과를 인정하므로 향료 제조업자들은 거의 어떠한 향기도 흉내낼 수 있다. 한 회사는 장미, 소나무, ‘오렌지 주우스’, ‘바나나’, 오이지, ‘부르봉 위스키’를 포함하여 약 100가지 향취를 개발하였다.
‘젤리네크’ 박사는 이러한 향기를 모조하는 데 대하여 흥미있는 논평을 하였다. “‘아이러니칼’하게도, ‘자연스러운’ 향기와 맛의 대부분은 사실 실물을 화학적으로 모방한 것이다.” 「광고 시대」지는 이렇게 설명하였다. “예를 들어, 실제 ‘레몬’에서 만든 농축물이라고 하여 반드시 사람들이 신선한 ‘레몬’ 냄새라고 생각하는 향취를 풍기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사람들이 ‘레몬’ 향기라고 생각하는 그 향기를 풍기는 인조 농축물을 만들기는 쉽다.” 그리고 모방한 향기는 생산비가 덜 든다.
아마 당신은 실제로는 전혀 자연스럽지 않은 “자연스러운” 향기를 지닌 물품을 속아서 사고 있는가? 당신은 ‘수퍼마아켓’ 전체를 흠씬 적시는 유혹적인 향기 때문에 식품이나 혹은 기타 물품을 산 적이 최근에 있는가? 그러한 물품 자체에 아무런 잘못은 없을 수 있지만 당신이 자주 “비밀 판매원”인 향취에 자극을 받아 물건을 사게 되었다는 것을 인정하는가?
당신이 향기에 의한 상품 선전의 인기를 인식하는 것은 오늘날 앙등하는 물가 시대에 당신에게 유익할 수 있다. 당신이 향기로운 냄새가 나는 품목을 대하면 그것이 식품이든지 아니면 다른 것이든지 간에, 당신을 이끌기 위하여 실험실에서 향기가 만들어질 수 있음을 기억하라. 향기 없는 물품을 사면 절약이 될 수 있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