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한국어
  • 성경
  • 출판물
  • 집회
  • 깨85 10/15 8-9면
  • 새로운 시각으로 살펴본 민물

관련 동영상이 없습니다.

죄송합니다. 동영상을 불러오지 못했습니다.

  • 새로운 시각으로 살펴본 민물
  • 깨어라!—1985
  • 소제목
  • 비슷한 자료
  • 전시품들을 살펴봄
  • 지구의 급수시설
    깨어라!—1983
  • 물이 다 어디로 갔는가?
    깨어라!—2001
  • 전 세계의 물이 고갈되어 가고 있는가?
    깨어라!—2001
  • 물—인간이 받은 놀라운 선물
    깨어라!—1972
더 보기
깨어라!—1985
깨85 10/15 8-9면

새로운 시각으로 살펴본 민물

‘루이지애나 세계 박람회’를 보고서

5월 12일부터 11월 11일까지 약 700만의 사람들이 미국 ‘뉴우오올리안즈’ 시에 있는 ‘미시시피’ 강 둑을 따라 거닐었다. ‘재즈’ 음악의 발생지로 알려진 이 도시에서는 지난 1년간 색다른 주제가 울려퍼졌다. 그곳의 34‘헥타아르’ 부지에서 ‘루이지애나 세계 박람회’를 주체한 것이다. ‘강물의 세계: 생명의 근원인 민물’이라는 이 박람회의 주제가 25개국에서 출품된 전시물 전체에 흐르고 있었다. 박람회는 전세계적으로 민물을 잘 공급하는 중요성과 또 이를 잘 유지하는 일과 관련된 문제점들에 주의를 기울였다.

민물의 공급을 당연한 것으로 여기는 경향이 있는 관람객에게는, 그러한 견해를 바꾸어 놓을 만한 깜짝놀랄 사실들이 많이 있었다. 예를 들어, 독자는 아래의 사실들을 알고 있었는가?

○ 한대의 자동차를 제작하는 데 378,500‘리터’의 물이 사용된다.

○ 약 450‘그램’의 설탕을 생산하는 데 약 1,000‘리터’의 물이 사용된다.

○ 약 450‘그램’의 합성 고무를 생산하는 데 약 1,100‘리터’의 물이 사용된다.

○ 1부의 일요판 신문 제작을 위하여 약 1,000‘리터’의 물이 사용된다.

각국에서 출품한 많은 전시품들은 자국의 영토를 아름답게 조각하는 물의 역할이었다. 실제로 각 나라는, 자기 지방의 참으로 아름다운 지점들의 사진들을 유리 진열창에 진열하였다. 그 중 대부분은 강 혹은 호수와 관련이 있었다. 그러므로 한 논평가는 물을 가리켜 “풍경의 조각가이자 광야의 시인”이라고 불렀다.

전시품들을 살펴봄

‘오스트레일리아’: “비록 ‘오스트레일리아’는, 사람이 사는 여느 대륙보다도 비가 적게 오기는 하지만, 그 적은 물을 가지고 ‘오스트레일리아’가 이룩한 일들을 알리고자 하는 것이다”라고 대변인은 말하였다. 하나의 예로, 이 대륙의 남동부를 개발하는 ‘스노이 산지(山地) 계획’은 ‘오스트레일리아의 가장 거대한 기술 사업’이라고 불린다. 이것은 세계에서 가장 규모가 큰 관개 사업이자 전력 공사 중의 하나로서 건설하는 데 25년이 걸린다. 이 계획 가운데에는 약 160‘킬로미터’의 ‘터늘’과 130‘킬로미터’의 수로, 16개의 ‘댐’ 및 9개의 발전소가 포함되어 있다.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와는 달리 ‘캐나다’에는 물이 참으로 풍부하다. 그러나 이 나라의 전시품은 최근에 점점 커지고 있는 산성비 문제를 지적하였다. 이 비는 미국 국경을 끼고 있는 많은 호수에 서식하는 온갖 생명체를 죽이고 있다. 그것은 ‘현대의 공업 국가들이 직면한 가장 심각한 환경 문제’라고 설명하였다.

중국: 중국은 홍수 억제, 운하, ‘댐’ 및 제방 건축법에 관한 이론을 다룬, 12세기에 인쇄된 서적들을, 현대에도 아직 사용중인 그런 몇 가지 구조물들을 찍은 사진들과 함께 전시하였다.

일본: 일본관의 주제는 “인간 생활에 혜택을 주기도 하고 위협하기도 하는 물의 역할”이었다. 그곳에서는 일본에서의 홍수 피해를 설명함과 아울러 강을 개발하고 제어하는 새로운 기술을 소개하였다.

박람회는 우리의 생활이 민물에 의존해 있음을 더욱 깊이 인식하게 해준다. 또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점을 정신에 깊이 새겨 준다: 물은 생명에 필수적이며, 창조주께서는 관대하고도 풍부하게 물을 마련해 주셨다. 지상의 물은 참으로 아름다운 것이다. 물과 관련된 문제들은 대부분 인간의 이기심과 무지로 인한 인위적인 것이다. 이 박람회는 생각있는 사람들이 참으로 새로운 시각으로 민물을 보게 하였다.—기고.

[9면 네모]

물에 관한 ‘퀴즈’a

문: 세계에서 비가 가장 많이 오는 지역은 미국에 있다. 어디일까?

가. ‘워싱턴’ 주, ‘레이니어’ 산

나. ‘텍사스’ 주, ‘레인즈’ 군

다. ‘하와이’, ‘와이아릴레’ 산

라. ‘노오드다코다’ 주, ‘웨트모어’ 산

답: ‘와이아릴레’ 산의 연간 강수량은 평균 1,196‘센티미터’이다.

문: 지상의 물 전체 중에 액체 상태의 민물의 양은 얼마나 될까?

가. 0.6‘퍼센트’

나. 2.2‘퍼센트’

다. 49‘퍼센트’

라. 모르겠다.

답: 0.6‘퍼센트’뿐이다. 그것은 강, 호수, 표토수(表土水) 혹은 지하수에 들어 있다. 만년설이나 빙하는 2.2‘퍼센트’를 차지하고 97.2‘퍼센트’는 바닷물이다.

문: 만일 대기 중의 수증기가 모두 비가 되어 땅에 떨어진다면 그 깊이는 얼마나 될까?

가. 2.54‘센티미터’

나. 30.48‘센티미터’

다. 약 30‘미터’

라. ‘다이빙’할 만큼

답: 대기 중에 있는 약 12,900입방 ‘킬로미터’ 내에 들어 있는 습기는 지구를 2.54‘센티미터’ 정도 깊이의 물로 덮을 수 있다.

문: 증산 작용이라고 일컫는 과정을 통하여 식물은 수분을 대기 중으로 배출한다. 이 작용을 통하여 약 40‘아르’의 옥수수 밭에서는 하루에 어느 정도의 물을 배출할까?

가. 약 115-150‘리터’

나. 약 1,150-1,500‘리터’

다. 약 11,500-15,000‘리터’

라. 없다. 단지 옥수수당밀만을 생산한다.

답: 한창 자라는 계절에는 하루에 약 11,500-15,000‘리터’의 수분을 배출한다. 1년 기준으로 보면, 큰 떡갈나무 한 그루는 증산 작용을 통하여 년간 150,000‘리터’의 수분을 배출한다.

문: 보통 가정집에서 24시간 사용할 만한 전기를 생산하기 위하여는 수력 발전소를 통하여 약 12‘미터’ 높이에서 얼마나 되는 물이 떨어져야 될까?

가. 6,434,500‘리터’

나. 12,112,000‘리터’

다. 21,574,500‘리터’

라. 지붕을 새게 할 정도 만큼

답: 전형적인 미국의 한 가정에서는 하루에 24‘킬로와트’의 전력을 소비한다. 그런데, 24‘킬로와트’의 전력을 생산하려면 약 12‘미터’ 높이에서 12,112,000‘리터’의 물이 떨어져야 한다.

[각주]

a 문제와 답은, 1984년 ‘루이지애나 세계 박람회’의 미국관에서 얻은 것임.

    한국어 워치 타워 출판물 (1958-2025)
    로그아웃
    로그인
    • 한국어
    • 공유
    • 설정
    • Copyright © 2025 Watch Tower Bible and Tract Society of Pennsylvania
    • 이용 약관
    • 개인 정보 보호 정책
    • 개인 정보 설정
    • JW.ORG
    • 로그인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