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지방변증에 대처하는 법
「깨어라!」 핀란드 통신원
“이 케이크는 어떤 가루로 만들었죠?”
“음, 옥수수 가루요.”
“그러면 케이크 만드는 냄비 안쪽에는 어떤 가루를 둘렀죠?”
“빵가루요.”
“그렇다면 미안하지만 먹을 수가 없습니다.”
소아지방변증을 앓고 있는 사람이라면 아마 위와 같은 거북한 대화가 귀에 익을 것입니다. 이 소화기 장애는 많은 식품에 공통적으로 들어 있는 한 가지 요소를 몸이 받아들이지 못하기 때문에 생깁니다. 문제는 밀, 보리, 호밀, 귀리 등에 들어 있는 글루텐의 글리아딘 성분 때문에 일어납니다. 글루텐은 대부분의 사람들에게는 해가 되지 않지만, 소아지방변증을 앓는 사람의 경우에는 소장의 내벽을 손상시켜서 영양소를 흡수하는 능력을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소아지방변증의 증상에는 복통, 복부 팽만감, 설사, 체중 감소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물론, 이러한 증상은 여러가지 병에서 나타나기 때문에, 소아지방변증을 진단하기란 쉽지 않을 수 있습니다. “여러 해 동안 나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을 앓고 있다는 말을 들었어요”라고, 소아지방변증을 앓고 있는 주디라는 여자는 말합니다.
소아지방변증은 대개 어린 시절에 나타나지만, 중년이 되어서야 증상이 나타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하지만 의사들은 그러한 사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잠재적으로라도 줄곧 이 병이 있었을 것이라고 말합니다. 아무튼, 치료하지 않고 방치할 경우 소아지방변증은 끔찍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이 병을 앓고 있는 어린이들은 키가 작고 야위며 배가 불룩하고 근육의 발육이 부진합니다. 이 장애로 인해 비타민 흡수 기능이 손상되기 때문에 괴혈병, 구루병, 빈혈을 비롯한 여러가지 병이 생길 수 있습니다. 심한 경우에는 뼈의 변형이나 골다공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드물기는 하지만 소아지방변증으로 인해 심지어 죽을 수도 있는데, 특히 이 병을 오랫동안 심하게 앓아 온 성인들의 경우에는 그러합니다. 하지만 소아지방변증이 있는 사람들은 대부분 적절히 치료하면 자신들의 상태에 대처할 수 있고 심지어 개선하기까지 할 수 있습니다.
어떤 조처를 취할 수 있는가?
가장 좋은 소아지방변증 치료법은 글루텐을 피하는 식생활입니다. 다시 말해서 밀, 호밀, 보리, 귀리 등이 들어 있는 식품은 모두 피할 계획을 세우는 것입니다. 그러한 식이 요법을 따르기란 쉽지 않을 수 있습니다. 소아지방변증을 앓고 있는 한 사람은 이렇게 말합니다. “더 이상 밀이나 보리, 호밀, 귀리 등을 먹어서는 안 된다는 말을 처음 들었을 때는 ‘이건 너무 쉽잖아. 빵하고 페이스트리만 안 먹으면 되겠지’ 하고 혼자 생각했지요. 하지만 나중에 그러한 곡물이—특히 밀이—엄청나게 많은 종류의 식품에 들어 있다는 사실을 알고는 충격을 받았죠!”
소아지방변증이 있는 사람들은 식품에 붙어 있는 라벨을 주의 깊이 읽어 보아야 합니다. 소아지방변증 환자는 밀, 호밀, 보리, 귀리 등은 피해야 하지만, 메밀, 옥수수, 쌀, 콩, 기장, 감자 등으로 만든 제품은 먹을 수 있습니다. 또한 글루텐이 들어 있지 않은 가루가 첨가된 제품도 많은데, 그런 제품 역시 먹을 수 있습니다. 사실, 슈퍼마켓 선반에 놓여 있는 물건이 대부분 ‘금지된 식품’인 것을 보면 의기소침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용기를 잃지 마십시오. 오히려 먹을 수 없는 식품보다는 먹을 수 있는 식품에 초점을 맞추십시오. 시간이 지나면, 식품을 사면서 맥이 빠지는 일이 줄어들게 될 것입니다.
글루텐을 피하는 식생활은 사교 생활을 하는 데 지장을 주는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단지 소아지방변증이 있다는 이유만으로 다른 사람들에게서 자신을 고립시키지 않도록 하십시오. 오히려 친구들에게 소아지방변증이 무엇인지 말하고, 당신이 글루텐을 피하는 식생활을 유지하도록 그들이 어떻게 도와 줄 수 있는지를 알려 주십시오. 다른 사람들은 당신의 필요를 알게 되면 아마 기꺼이 그 필요에 맞추려고 할 것입니다. 설령 분별 없는 말을 하는 사람들이 있다 해도 상심하지 마십시오. 당신이 친절하게 반응을 나타내면 그들은 좀더 감정이입을 나타내도록 고무될 것입니다.
시간이 지나면, 증세가 가벼운 일부 소아지방변증 환자들은 다시 글루텐을 식생활에 포함시킬 수 있습니다. 당신이 그렇게 할 수 있게 되든 그렇지 못하든, 적극적인 태도를 유지하십시오. 한 소아지방변증 환자는 “관련된 좋은 점을 염두에 두라”고 권합니다. 좋은 점이라고요? 그 환자는 계속 이렇게 말합니다. “소아지방변증은 전염병이 아니며, 치료법이 간단하면서도 분명합니다. 엄격한 식생활을 하는 거죠. 엄격한 식생활을 하는 기간이 길어질수록 그만큼 기분도 더 좋아집니다. 십중팔구, 소아지방변증을 앓고 있으면서도 매우 건강하다는 느낌을 가질 수 있게 될 겁니다.”
[19면 네모]
지원을 베풀려면
소아지방변증이 있는 사람을 알고 있다면, 그가 특정한 식품을 먹지 않으려고 하기 때문에 짐스러운 존재밖에 되지 않는다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 그리고 “어떻게 그처럼 건강해 보이는 사람에게 병이 있을 수가 있죠?”라는 식의 동정심 없는 말을 삼가야 한다. 가장 중요한 점으로, 소아지방변증을 앓고 있는 사람을 설득해서 글루텐이 든 식품을 먹게 하려고 해서는 안 된다. 아마 “조금 먹는 건 크게 해될 것이 없어요”라고 말할지 모른다. 하지만 크게 해가 될 수 있다! 소아지방변증 환자의 소장은 글루텐을 독으로 간주하며 그에 따라 반응을 나타낸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식생활에 대한 소아지방변증 환자의 필요에 맞추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니다. 구매 목록에서 몇 가지만 조정하면 먹을 수 있는 식품의 수는 충분해질 것이다. 심지어 모든 음식을, 소아지방변증 환자의 식생활을 “고려”하여 준비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사실, 모든 손님이 글루텐이 들어 있지 않은 식사를 즐길 수 있다. 그들은 아마 차이를 알지도 못할 것이다. 그에 더해, 소아지방변증 환자는 자기에게로 관심이 집중되는 것 같은 느낌을 갖지 않게 될 것이며, 그 점에 대해 고마워할 것이다!
[18면 삽화]
소아지방변증이 있는 사람들은 밀, 보리, 호밀, 귀리 등을 피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