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의 말을 언제나 소금으로 맛을 내십시오’
1. ‘우리의 말을 소금으로 맛을 낸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합니까?
1 “여러분의 말을 소금으로 맛을 내어 언제나 은혜로운 것이 되게 하십시오. 그러면 각 사람에게 어떻게 대답해야 할지 알게 될 것입니다.” (골로새 4:6) 우리의 말을 소금으로 맛을 낸다는 것은 올바른 말을 선택하고 듣는 사람에게 호감이 가는 방식으로 말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렇게 하는 것은 봉사의 직무를 수행할 때 매우 중요합니다.
2. 예수께서는 어떻게 사마리아 여자에게 증거하실 수 있었습니까?
2 예수의 본: 우물가에서 쉬시던 중에 예수께서는 물을 길러 온 한 사마리아 여자에게 먼저 말을 건네셨습니다. 그는 예수와 대화하면서 유대인과 사마리아 사람들 사이의 해묵은 불화와 관련된 점들을 몇 차례 언급하였습니다. 유대인들이 사마리아 사람들은 다른 지역 사람들의 후손이라고 굳게 믿고 있었는데도, 그는 사마리아 사람들이 야곱의 후손이라는 자신의 신념을 표현하기도 하였습니다. 예수께서는 그의 말에 이의를 제기하기보다는 긍정적으로 대화를 이끌어 나가셨습니다. 그 결과, 예수의 증거를 통해 그 사마리아 여자뿐 아니라 그 도시의 사람들도 유익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요한 4:7-15, 39.
3. 우리는 봉사의 직무를 수행할 때 어떻게 예수께서 남기신 본을 따를 수 있습니까?
3 우리는 전파하면서 “좋은 일에 관한 좋은 소식을 선포”하려는 목적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로마 10:15) 우리는 집주인에게 성서에 나오는 격려적이고도 마음을 끄는 소식을 알려 주기를 원하며, 그의 신앙을 비평하려 한다는 인상을 주려 하지 않습니다. 집주인이 잘못된 견해를 밝혔다 해도 그 점을 굳이 지적할 필요는 없습니다. 그가 한 말에 동감할 수 있는 점이나 진심으로 칭찬해 줄 만한 점이 있습니까? “혹시 이러한 점도 생각해 보셨는지요?”라고 말하면서 성구를 보여 줄 수도 있을 것입니다.
4. 집주인이 모욕적인 말을 한다면 어떻게 해야 합니까?
4 집주인이 모욕적인 말을 하거나 논쟁하려 드는 것이 분명하다면 어떻게 해야 합니까? 우리는 말과 행실에서 부드럽고 온화한 태도를 계속 나타내야 합니다. (디모데 둘째 2:24, 25) 그 사람이 왕국 소식에 관심이 없다면 재치 있게 그곳을 떠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마태 7:6; 10:11-14.
5. 한 자매는 공손한 반응을 나타내어 어떤 좋은 결과를 거두었습니까?
5 좋은 결과: 한 자매가 이웃에 사는 여자에게 증거하자 그 여자는 버럭 화를 내며 욕설을 퍼부었습니다. 우리 자매는 친절하게 이렇게 말하였습니다. “그렇게 느끼셨다니 미안합니다. 안녕히 계세요.” 2주 후에 그 여자는 자매의 집에 찾아와서, 자신의 무례했던 태도에 대해 사과하면서 자매가 무슨 말을 하려고 했었는지 듣고 싶다고 하였습니다. 공손한 반응을 나타내면 흔히 좋은 결과를 거두게 됩니다!—잠언 15:1; 25:15.
6. 봉사의 직무를 수행할 때 음식에 맛을 내듯 말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6 좋은 소식을 선포할 때 음식에 맛을 내듯 말하고자 노력하도록 하십시오. 지금은 집주인의 반응이 좋지 않을 수 있지만 다음에 여호와의 증인이 방문했을 때 기꺼이 들으려 할지 모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