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한국어
  • 성경
  • 출판물
  • 집회
  • 사도행전 13
  • 신세계역 성경 (연구용)

관련 동영상이 없습니다.

죄송합니다. 동영상을 불러오지 못했습니다.

사도행전 개요

    • 자. 바울의 1차 선교 여행 (13:1–14:28)

      • 바나바와 사울이 선교인으로 파견되다 (13:1-3)

      • 키프로스에서 전파하다. 속주 총독 세르기오 바울로와 주술사 엘루마 (13:4-12)

      • 바울이 피시디아 안티오크에서 연설하다 (13:13-41)

      • 이방 사람들에게 가라는 예언적 명령 (13:42-52)

      • 이코니온에서 있었던 증가와 반대 (14:1-7)

      • 리스트라 사람들이 바울과 바나바를 신으로 생각하다 (14:8-18)

      • 바울이 리스트라에서 돌에 맞고도 살아남다 (14:19, 20)

      • 바울과 바나바가 회중들을 강하게 하다 (14:21-23)

      • 바울과 바나바가 시리아 안티오크로 돌아가다 (14:24-28)

사도행전 13:1

  • 지역 통치자 헤롯: 마 14:1 연구 노트 참조.

멀티미디어

  • 사도행전—바울의 1차 선교 여행 (행 13:1–14:28) 기원 47-48년경

  • 시리아 안티오크

  • 시리아 안티오크—초기 그리스도인 활동의 중심지

상호 참조 성구

  • +고전 12:28; 엡 4:11, 12
  • +행 4:36, 37
  • +눅 3:1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2권 1154면

    「파수대」

    1990/6/15, 10면

  • 출판물 색인

    통-2 1154; 파90 6/15 10

사도행전 13:2

  • 여호와를 섬기며: 이 구절에 사용된 그리스어 레이투르게오는 「칠십인역」에서 히브리어 원문에 하느님의 이름이 나오는 구절들을 번역할 때 자주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칠십인역」 대하 13:10에서는 “여호와를 섬기고”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표현을 번역할 때 행 13:2에 사용된 그리스어 표현과 동일한 표현을 사용했다. 또한 대하 35:3에서 ‘여호와를 섬기다’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표현을 번역할 때에도 동일한 그리스어 표현을 사용했다.—삼상 2:11; 3:1; 겔 45:4; 욜 2:17. 부록 다3 소개; 행 13:2 참조.

    섬기며: 또는 “공적 봉사를 행하며”. 여기에 사용된 그리스어 단어는 레이투르게오인데, 이 단어와 어근이 같은 단어들로는 레이투르기아(공적 봉사)와 레이투르고스(공적 봉사자; 공복)가 있다. 고대 그리스 사람들은 이 단어들을 국가나 행정 당국을 위해 수행되며 일반 대중에게 유익을 주려는 목적으로 행해지는 일이나 봉사를 가리키는 말로 사용했다. 예를 들어, 롬 13:6(각주)에서는 세속 권위가 사람들의 유익을 위한 봉사를 제공한다는 의미에서 하느님의 “공복”(레이투르고스의 복수형)이라고 불린다. 눅 1:23(연구 노트 참조)에서는 레이투르기아가 침례자 요한의 아버지 스가랴가 수행한 봉사와 관련하여 사용되어 “거룩한 봉사”(또는 “공적 봉사”)로 번역되었다. 그 구절에서 레이투르기아가 사용된 방식은 「칠십인역」에서 레이투르기아 및 이 단어와 어근이 같은 단어들이 사용된 방식과 비슷하다. 「칠십인역」에서는 그 단어들이 제사장들과 레위인들이 장막이나 (출 28:35; 민 1:50; 3:31; 8:22) 성전에서 (대하 31:2; 35:3; 욜 1:9, 13; 2:17) 수행한 봉사를 가리키는 데 사용되었다. 그러한 봉사는 사람들에게 유익을 주는 봉사의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 하지만 일부 문맥에서는 그 봉사에 거룩함이라는 개념도 들어 있었는데, 레위 제사장들이 하느님의 율법을 가르치고 (대하 15:3; 말 2:7) 백성의 죄를 덮는 희생 제물을 바쳤기 때문이다. (레 1:3-5; 신 18:1-5) 이 구절(행 13:2)에서 레이투르게오는 시리아 안티오크의 회중에서 그리스도인 예언자들과 가르치는 사람들이 수행한 봉사를 가리키는 더 일반적인 의미로 사용되었다. 이 단어는 하느님께 정성을 바치고 그분을 섬기기 위해 하는 다양한 일을 가리키는데, 그 가운데에는 기도하고 전파하고 가르치는 것과 같은 그리스도인 봉사의 직무의 여러 부면이 포함된다. 이 예언자들과 가르치는 사람들이 수행한 봉사에는 틀림없이 사람들에게 전파하는 일이 포함되었을 것이다.—행 13:3.

상호 참조 성구

  • +행 9:15
  • +딤전 2:7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증거하십시오」 85-86면

    「파수대」

    2000/11/15, 12면

    1997/10/1, 13면

    1992/9/1, 11면

    1989/1/1, 12면

  • 출판물 색인

    철 85-86; 파00 11/15 12; 파97 10/1 13; 파92 9/1 11; 파89 1/1 12;

    파76 152

사도행전 13:3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증거하십시오」 85-86면

  • 출판물 색인

    철 86

사도행전 13:4

  • 셀레우키아: 시리아 안티오크를 위해 사용되던 지중해의 항구 요새 도시. 안티오크에서 남서쪽으로 20킬로미터쯤 떨어져 있었다. 두 도시는 도로만이 아니라 뱃길로도 오갈 수 있었다. 오론테스강이 안티오크를 지나 셀레우키아에서 남쪽으로 얼마 떨어지지 않은 곳에서 지중해로 흘러 들어갔기 때문이다. 알렉산더 대왕의 장군 중 하나인 셀레우코스 1세(니카토르)가 이 도시를 건설하고 자신의 이름을 따서 도시의 이름을 지었다. 바나바와 동행한 바울은 기원 47년경에 셀레우키아에서 배를 타고 1차 선교 여행을 시작했다. 셀레우키아는 오늘날 튀르키예의 수베이디예 즉 사만다그 바로 북쪽에 있었다. 오론테스강에서 밀려온 진흙과 모래 때문에 고대 셀레우키아 항구가 있던 곳은 습지가 되었다.—부록 나13 참조.

    배를 타고 키프로스로 갔다: 키프로스는 약 200킬로미터 떨어져 있었다. 1세기 당시 배가 하루에 갈 수 있는 거리는 순풍이 불 경우 150킬로미터쯤 되었다. 상황이 좋지 않으면 훨씬 더 오래 걸릴 수도 있었다. 키프로스는 바나바의 고향이었다.—부록 나13 참조.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증거하십시오」 86-87면

    「파수대」

    2004/7/1, 19-20면

    1989/1/1, 12면

  • 출판물 색인

    철 86; 파04 7/1 19-20; 파89 1/1 12

사도행전 13:5

  • 살라미스: 키프로스섬의 동쪽에 있는 도시. 로마의 관할 아래 있던 이 섬의 수도는 서쪽 해안에 있던 파포스였다. 하지만 바나바와 사울은 키프로스에서 전파 활동을 시작할 곳으로 살라미스를 선택했는데 거기에는 그럴 만한 이유들이 있었다. 살라미스는 그들이 출발한 시리아 안티오크 근처 셀레우키아에서 더 가까웠으며 키프로스섬의 문화, 교육, 상업의 중심지였다. 살라미스에는 꽤 많은 유대인이 있었으며 적어도 2개의 회당이 있었다. 키프로스 태생이었던 바나바는 그 섬에서 봉사하는 동안 뛰어난 안내자 역할을 했을 것이다. 어떤 경로로 이동했는지에 따라 다르겠지만 바나바와 사울 일행은 그 섬 전역에서 전파하면서 적어도 150킬로미터를 걸었을 것이다.—부록 나13 참조.

    요한: 요한 마가를 가리킨다. 예수의 제자 중 하나로, “바나바의 사촌”이자 (골 4:10) 마가복음의 필자이다. (마가복음 책명 연구 노트 참조) 행 13:13에서도 요한이라고 언급된다. 하지만 사도행전에서 그가 언급되는 다른 세 구절에서는 “마가라고 하는”이라는 표현이 함께 들어 있다. 마가는 그의 로마식 별명이다. (행 12:12, 25; 15:37) 요한은 “여호와께서 은혜를 베푸셨다; 여호와는 은혜로우시다”를 의미하는 여호하난 또는 요하난이라는 히브리어 이름에서 유래했다. 이 제자는 그리스도인 그리스어 성경의 다른 구절들에서는 “마가”라고 불린다.—골 4:10; 딤후 4:11; 몬 24; 벧전 5:13.

각주

  • *

    또는 “보조자”.

상호 참조 성구

  • +행 12:25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증거하십시오」 86-87면

    「통찰」 제1권 586-587면

    「파수대」

    2010/3/15, 7면

    2004/7/1, 20-21면

    1990/6/15, 10면

  • 출판물 색인

    철 86-87; 통-1 586-587; 파10 3/15 7; 파04 7/1 20-21; 파90 6/15 10;

    깨79 6 18; 파71 571

사도행전 13:6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증거하십시오」 86-87면

    「통찰」 제1권 794면

    「파수대」

    2004/7/1, 21-22면

    1992/9/1, 11면

  • 출판물 색인

    철 87; 통-1 794; 파04 7/1 21-22; 파92 9/1 11;

    깨81 5 32; 깨79 6 18; 파74 509

사도행전 13:7

  • 속주 총독: 또는 “프로콘술”. 프로콘술은 로마 원로원의 관할 아래 있는 속주의 총독을 가리킨다. 유대와 같은 로마의 일부 속주들은 황제가 총독을 임명하는 황제 관할 속주였다. 키프로스는 기원전 22년에 원로원 관할 속주가 되어 프로콘술이 다스리고 있었다. 키프로스에서 발견된 한 주화는 앞면에 로마 황제 클라우디우스의 두상과 칭호가 (라틴어로) 새겨져 있고 뒷면에 “키프로스 주민들의 속주 총독[프로콘술], 코미니우스 프로클루스의 통치 중에”라는 글이 (그리스어로) 새겨져 있다.—용어 설명 참조.

멀티미디어

  • “프로콘술”이라는 칭호가 나오는 키프로스의 주화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증거하십시오」 87면

    「통찰」 1005, 1009면

    「통찰」 제1권 800, 1160면

    「하나님의 말씀」 64면

  • 출판물 색인

    철 87; 통-1 800, 1009, 1160; 통-2 1005; 하 64;

    깨81 5 32; 깨79 6 18; 파74 509

사도행전 13:8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증거하십시오」 87-88면

    「통찰」 210, 794면

  • 출판물 색인

    철 87; 통-1 794; 통-2 210;

    파74 509

사도행전 13:9

  • 바울: 그리스어로는 파울로스. 이 이름은 “적은; 작은”을 의미하는 라틴어 파울루스를 그리스어로 옮긴 것이다. 그리스도인 그리스어 성경 원문에서 파울로스는 사도 바울을 가리키는 데 157회 사용되었으며, 키프로스의 속주 총독 세르기오 바울로를 가리키는 데 1회 사용되었다.—행 13:7.

    바울이라고도 하는 사울: 이 시점 이후로 사울은 바울이라고 불리게 된다. 히브리인이었던 이 사도는 태어날 때부터 로마 시민권을 가지고 있었다. (행 22:27, 28; 빌 3:5) 따라서 어릴 때부터 그에게는 사울이라는 히브리식 이름과 바울이라는 로마식 이름이 있었을 것이다. 그처럼 두 개의 이름을 가지는 것은 당시 유대인들 사이에서 드문 일이 아니었는데, 특히 이스라엘이 아닌 다른 지역에서 사는 사람들의 경우에 그러했다. (행 12:12; 13:1) 바울의 친족들 중에도 히브리식 이름에 더해 로마식 이름이나 그리스식 이름을 가진 사람들이 있었다. (롬 16:7, 21) 바울은 “이방 사람들에게 보내진 사도”로서 비유대인들에게 좋은 소식을 선포하라는 임명을 받았다. (롬 11:13) 그는 로마식 이름을 사용하기로 결정한 것 같은데, 아마도 이방 사람들 사이에서 사용하기에 그 이름이 더 유리할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일 수 있다. (행 9:15; 갈 2:7, 8) 일부 사람들은 그가 로마식 이름을 사용하기로 한 것이 세르기오 바울로에게 경의를 표하기 위해서였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바울이 키프로스를 떠난 뒤에도 계속 그 이름을 사용한 것을 보면 그러한 주장은 타당하지 않은 것 같다. 그런가 하면 바울이 히브리식 이름을 쓰지 않은 것이 그 이름의 그리스식 발음이 으스대며 걷는 사람(또는 동물)을 가리키는 그리스어 단어와 비슷하게 들렸기 때문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있다.—행 7:58 연구 노트 참조.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증거하십시오」 87-88면

  • 출판물 색인

    철 87-88;

    영 35; 파74 509

사도행전 13:10

  • 여호와의 바른길: (10, 11절에 기록되어 있는) 바울이 유대인 주술사 바예수에게 한 말 가운데에는 히브리어 성경에서 나온 표현들이 들어 있다. 예를 들어, 이 구절에서 ‘길을 왜곡하다’로 번역된 그리스어 표현은 「칠십인역」의 잠 10:9(“자기 길을 구부리는”)에 나온다. “여호와의 바른길”이라는 표현에 사용된 그리스어 단어들도 「칠십인역」의 호 14:9에 나온다. 호 14:9의 히브리어 원문에서 “여호와의 길은 올바르니”에 해당하는 표현에는 하느님의 이름이 사용되었다.—부록 다3 소개; 행 13:10 참조.

상호 참조 성구

  • +요 8:44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1권 1002면

  • 출판물 색인

    통-1 1002;

    영 35; 파74 509

사도행전 13:11

  • 여호와의 손: 행 11:21 연구 노트 및 부록 다3 소개; 행 13:11 참조.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증거하십시오」 87-88면

    「통찰」 제1권 794면

    「통찰」 제2권 95면

    「파수대」

    1990/6/15, 10-11면

  • 출판물 색인

    철 87-88; 통-1 794; 통-2 95; 파90 6/15 10-11

사도행전 13:12

  • 여호와의 가르침: “여호와의 가르침”이라는 표현은 행 13:5에 나오는 “하느님의 말씀”이라는 표현과 의미가 비슷하다. 그 구절에서는 바울과 그의 일행이 키프로스에 도착하여 “유대인의 회당에서 하느님의 말씀을 널리 전하기 시작했다”고 알려 준다. 그 결과 속주 총독 세르기오 바울로가 “하느님의 말씀을 듣기를 간절히 원하게” 되었다. (행 13:7) 바울의 말을 듣고 그가 한 일을 목격한 세르기오 바울로는 자신이 여호와 하느님에 대해 알게 된 점과 그분에게서 나온 가르침에 크게 놀랐다.—부록 다3 소개; 행 13:12 참조.

사도행전 13:13

상호 참조 성구

  • +행 14:24, 25
  • +행 12:12
  • +행 15:37, 38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증거하십시오」 88-89면

    「통찰」 586-587, 1032-1033면

    「파수대」

    2010/3/15, 7면

  • 출판물 색인

    철 88-89; 통-1 586-587; 통-2 1032; 파10 3/15 7

사도행전 13:14

  • 피시디아의 안티오크: 로마 속주 갈라디아에 있던 도시. 이 도시는 프리지아와 피시디아의 경계에 있었기 때문에 시대에 따라 프리지아에 속하기도 하고 피시디아에 속하기도 한 것 같다. 오늘날의 튀르키예 얄바츠 근처에 이 도시의 유적이 있다. 피시디아의 안티오크는 이 구절과 행 14:19, 21에 언급된다. 지중해 해안 근처의 도시 페르가에서 피시디아의 안티오크까지 가는 길은 쉽지 않은 여정이었다. 피시디아의 안티오크는 해발 약 1100미터에 있었으며 (부록 나13 참조) 그곳까지 가려면 강도가 자주 출몰하는 험한 산길을 지나야 했기 때문이다. “피시디아의 안티오크”는 시리아의 안티오크와는 다른 도시이다. (행 6:5; 11:19; 13:1; 14:26; 15:22; 18:22) 사도행전에 나오는 안티오크는 대부분 피시디아 안티오크가 아니라 시리아 안티오크이다.

상호 참조 성구

  • +딤후 3:11
  • +마 4:23; 행 17:1, 2; 18:4; 19:8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성경 질문과 대답」 기사 88

    「증거하십시오」 89면

    「통찰」 제2권 748, 1032-1033면

    「파수대」

    1992/9/1, 12면

    1990/6/15, 11면

  • 출판물 색인

    웹성대 기사 88; 철 89; 통-2 748, 1032; 파92 9/1 12; 파90 6/15 11;

    파83 4/15 12; 깨73 2/22 18

사도행전 13:15

  • 율법과 예언서의 공개 낭독: 기원 1세기에는 “안식일마다” 이러한 공개 낭독이 행해졌다. (행 15:21) 회당에서 드리는 숭배의 한 부분은 셰마 즉 유대교 신앙 고백문에 해당하는 것을 암송하는 일이었다. (신 6:4-9; 11:13-21) 그 고백문의 첫 구절은 다음과 같다. “이스라엘이여, 잘 들으십시오[셰마]. 우리 하느님 여호와는 한 분인 여호와이십니다.” 그 구절의 첫 히브리어 단어에서 셰마라는 이름이 유래했다. (신 6:4) 예배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토라 즉 모세 오경을 낭독하는 일이었다. 많은 회당에서는 1년 동안 율법 전체를 읽었으며, 3년에 걸쳐 읽는 회당들도 있었다. 또한 예언서의 일부를 읽고 해설하는 일도 있었다. 공개 낭독이 끝나면 강연이 있었다. 피시디아 안티오크의 회당에서 공개 낭독이 있은 뒤에 바울은 모인 사람들에게 격려의 말을 해 달라는 요청을 받았다.—눅 4:16 연구 노트 참조.

상호 참조 성구

  • +눅 4:16; 행 15:21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172, 1207면

  • 출판물 색인

    통-1 172; 통-2 1207;

    깨73 2/22 18

사도행전 13:16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증거하십시오」 89-90면

    「파수대」

    1986/4/15, 20-21면

  • 출판물 색인

    철 89; 파86 4/15 20-21;

    깨73 2/22 18

사도행전 13:17

상호 참조 성구

  • +출 6:1, 6; 신 7:6, 8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2권 646면

  • 출판물 색인

    통-2 646

사도행전 13:18

상호 참조 성구

  • +출 16:35; 민 14:33, 34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2권 646면

  • 출판물 색인

    통-2 646

사도행전 13:19

상호 참조 성구

  • +신 7:1; 수 14:1, 2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2권 646면

    「선포자」 632-633면

  • 출판물 색인

    통-2 646; 와 632-633

사도행전 13:20

  • 약 450년 동안에: 바울이 이스라엘 백성의 역사에 관해 이야기하면서 맨 먼저 언급한 중요한 사건은 하느님께서 그들의 “조상들을 선택하신” 일이었다. (행 13:17) 바울은 이삭이 약속된 자손으로 실제로 태어난 때를 염두에 두고 그렇게 말한 것 같다. (창 17:19; 21:1-3; 22:17, 18) 이삭이 태어났을 때 하느님께서 누구를 약속된 자손으로 인정하실 것인지에 관한 문제가 명확히 해결되었다. 이삭이 태어나기 전까지는 그 문제가 사래(사라)의 불임 때문에 의문에 싸여 있었다. (창 11:30) 바울은 그때를 시작으로 하여 하느님께서 자신이 선택하신 민족을 위해 하신 몇 가지 일을 언급한 다음, 그 후에 그분이 예언자 사무엘 때까지 그들에게 재판관들을 주셨다고 말한다. 따라서 여기 언급된 “약 450년”은 기원전 1918년에 이삭이 태어난 때부터 기원전 1467년까지의 기간을 가리키는 것 같다. 기원전 1467년은 이스라엘이 이집트를 탈출하기 시작한 기원전 1513년으로부터 46년이 지난 때이다. 이스라엘이 이집트를 탈출한 뒤 광야에서 40년 동안 방랑했고 가나안 땅을 정복하는 데 6년이 걸렸으므로 바울이 말한 “약 450년”의 기간이 그때 끝났다고 보는 것이 이치적이다.—민 9:1; 13:1, 2, 6; 신 2:7; 수 14:6, 7, 10.

상호 참조 성구

  • +삿 2:16; 삼상 3:20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2권 296, 612, 646면

    「선포자」 632-633면

    「‘모든 성경’」 47, 294-295면

  • 출판물 색인

    통-2 296, 612, 646; 와 632-633; 감 47, 294-295; 파86 9/15 24;

    파78 10 30; 파76 333; 년 193-6; 유 103

사도행전 13:21

상호 참조 성구

  • +삼상 8:4, 5
  • +삼상 10:21; 11:15

색인

  • 출판물 색인

    유 104

사도행전 13:22

상호 참조 성구

  • +삼상 16:12, 13; 시 89:20
  • +삼상 16:1
  • +삼상 13:13, 14

사도행전 13:23

  • 자손: 또는 “후손”. 직역하면 “씨”.—부록 가2 참조.

상호 참조 성구

  • +삼하 7:12; 사 11:1; 눅 1:31, 32, 68, 69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파수대」

    1986/4/15, 20-21면

  • 출판물 색인

    파86 4/15 20

사도행전 13:24

상호 참조 성구

  • +마 3:1, 6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파수대」

    1986/4/15, 20-21면

  • 출판물 색인

    파86 4/15 20

사도행전 13:25

각주

  • *

    또는 “나는 여러분이 생각하는 그분이 아닙니다.”

상호 참조 성구

  • +요 1:20
  • +마 3:11; 눅 3:16

사도행전 13:26

상호 참조 성구

  • +마 10:5, 6; 눅 24:47, 48

사도행전 13:27

상호 참조 성구

  • +사 53:7, 8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파수대」

    1986/4/15, 20-21면

  • 출판물 색인

    파86 4/15 20-21

사도행전 13:28

상호 참조 성구

  • +마 26:59, 60; 눅 23:13-15; 요 19:4
  • +마 27:22, 23; 요 19:15

사도행전 13:29

  • 기둥: 또는 “나무”.—행 5:30 연구 노트 참조.

    무덤: 또는 “기념 무덤”.—용어 설명 “기념 무덤” 참조.

상호 참조 성구

  • +마 27:59, 60; 요 19:40-42

색인

  • 출판물 색인

    깨75 1/8 23

사도행전 13:30

상호 참조 성구

  • +마 28:5, 6; 행 2:24

사도행전 13:31

상호 참조 성구

  • +마 28:16; 행 1:3; 3:15; 고전 15:4-7

사도행전 13:33

상호 참조 성구

  • +롬 1:4
  • +시 2:7; 히 1:5; 5:5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1088, 1240면

    「파수대」

    1986/4/15, 20-21면

  • 출판물 색인

    통-1 1240; 통-2 1088; 파86 4/15 20-21

사도행전 13:34

각주

  • *

    또는 “신뢰할 만하고; 믿을 만하고”.

상호 참조 성구

  • +사 55:3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1권 920면

    「파수대」

    1998/7/1, 20면

    1986/4/15, 20-21면

  • 출판물 색인

    통-1 920; 파98 7/1 20; 파86 4/15 20-21;

    깨73 11/8 6

사도행전 13:35

상호 참조 성구

  • +시 16:10; 행 2:31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1권 692면

    「파수대」

    1986/4/15, 20-21면

  • 출판물 색인

    통-1 692; 파86 4/15 20-21

사도행전 13:36

  • 하느님을 섬기다가: 또는 “하느님의 뜻(목적)을 행하다가”.—행 20:27 연구 노트 참조.

상호 참조 성구

  • +행 2:29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1권 629면

  • 출판물 색인

    통-1 629

사도행전 13:37

상호 참조 성구

  • +행 2:27

사도행전 13:38

상호 참조 성구

  • +눅 24:46, 47; 행 5:31; 10:43

사도행전 13:39

상호 참조 성구

  • +히 10:1
  • +사 53:11; 롬 3:28; 5:18; 8:3; 히 7:19

사도행전 13:40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모든 성경’」 163면

  • 출판물 색인

    감 163

사도행전 13:41

상호 참조 성구

  • +합 1:5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파수대」

    2000/2/1, 13면

    1991/6/1, 22면

    「‘모든 성경’」 163면

  • 출판물 색인

    파00 2/1 13; 파91 6/1 22; 감 163

사도행전 13:42

색인

  • 출판물 색인

    깨73 2/22 18

사도행전 13:43

  • 하느님을 숭배하는: 여기서 “하느님을 숭배하는”으로 번역된 그리스어 세보마이는 “숭배하다; 숭상하다; 숭앙하다”를 의미한다. 이 단어는 “하느님을 두려워하는; 독실한”으로 번역할 수도 있다. (행 13:50 연구 노트 참조) 시리아어 「페시타」에서는 이 부분을 “하느님을 두려워하는”으로 번역한다. 그리스도인 그리스어 성경을 히브리어로 옮긴 한 번역판(부록 다4에 J18로 표기됨)은 이 구절에서 하느님의 이름을 사용하며, 그 표현을 번역하면 “여호와를 두려워하는”이 된다.

    하느님의 과분한 친절: 바울이 과거에 예수와 제자들을 심하게 반대했던 것을 생각해 볼 때, (행 9:3-5) 그가 여호와의 과분한 친절을 강조한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었다. (용어 설명 “과분한 친절” 참조) 바울은 자신이 봉사의 직무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은 전적으로 하느님의 과분한 친절 덕분임을 인식하고 있었다. (고전 15:10; 딤전 1:13, 14) 그는 에베소의 장로들을 만났을 때 하느님의 과분한 친절을 두 번 언급했다. (행 20:24, 32) 또한 바울은 “과분한 친절”을 다른 어떤 성경 필자보다도 많이 언급했다. 14통의 편지에서 약 90회나 언급한 것이다. 예를 들어 그는 히브리서를 제외한 모든 편지의 서두 인사말에서 하느님이나 예수의 과분한 친절을 언급했으며, 각 편지의 맺음말에서도 그 표현을 사용했다.

상호 참조 성구

  • +행 11:23; 14:21, 22

색인

  • 출판물 색인

    깨73 2/22 18

사도행전 13:44

  • 여호와의 말씀: 행 8:25 연구 노트 및 부록 다3 소개; 행 13:44 참조.

색인

  • 출판물 색인

    깨73 2/22 18

사도행전 13:45

상호 참조 성구

  • +행 14:1, 2; 17:4, 5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파수대」

    1990/6/15, 11면

  • 출판물 색인

    파90 6/15 11

사도행전 13:46

상호 참조 성구

  • +마 10:5, 6; 행 3:25, 26; 롬 1:16
  • +눅 2:29-32; 행 18:5, 6; 롬 10:19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증거하십시오」 90-92면

  • 출판물 색인

    철 90, 92

사도행전 13:47

  • 여호와께서는 이러한 말씀으로 우리에게 명령하셨습니다: 이어지는 내용은 사 49:6을 인용한 것이다. 히브리어 원문에서 사 49:6의 문맥을 보면 그 말씀을 하시는 분이 여호와이심을 분명히 알 수 있다. (사 49:5. 사 42:6 비교) 이사야의 이 예언은 여호와의 종인 예수 그리스도와 그분의 제자들의 활동을 통해 성취될 것이었다.—사 42:1. 눅 2:32 연구 노트 및 부록 다3 소개; 행 13:47 참조.

    땅끝까지: 또는 “땅의 가장 먼 곳까지”. 이 예언은 사 49:6을 인용한 것이다. 그리스어 「칠십인역」은 사 49:6을 번역할 때 동일한 그리스어를 사용한다. 이사야는 여호와의 종이 “이방 사람들의 빛”이 되고 하느님의 “구원이 땅끝까지 미치게” 될 것이라고 예언했다. 바울과 바나바는 피시디아 안티오크에서 사람들에게 이야기하면서, 그 예언이 그리스도의 제자들이 이방 사람들에게 빛이 되어야 한다는 여호와의 명령이라고 말했다. 이 구절에서 “땅끝까지”로 번역된 그리스어 표현이 행 1:8에서도 사용되었는데 (연구 노트 참조) 그 구절에서는 예수의 제자들이 땅의 가장 먼 곳까지 이르러 그분의 증인이 될 것이라고 알려 준다.

상호 참조 성구

  • +사 49:6; 행 1:8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통찰」 제1권 811면

    「이사야의 예언 제2권」 141-142면

    「파수대」

    1993/1/15, 8-11면

  • 출판물 색인

    통-1 811; 예-2 141-142; 파93 1/15 8-11;

    파73 542

사도행전 13:48

  • 여호와의 말씀: 행 8:25 연구 노트 및 부록 다3 소개; 행 13:48 참조.

    합당한 성향을 가진: 이것은 바울과 바나바가 전한 소식을 듣고 신자가 된 피시디아 안티오크의 이방 사람들을 묘사한 표현이다. 여기서 “합당한 성향을 가진”으로 번역된 그리스어(동사 탓소의 한 형태)는 “정하다; 두다; 정렬하다; 지정하다”라는 의미를 포함하여 폭넓은 의미를 가지고 있다. 정확한 의미를 알려면 문맥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행 13:46에서는 피시디아 안티오크의 일부 유대인들을 이 구절(행 13:48)에 언급된 이방인들과 대조한다. 그 전 안식일에 바울은 감동적인 연설을 하여 유대인과 이방인들에게 철저히 증거했다. (행 13:16-41) 바울과 바나바의 말에 따르면, 그 유대인들은 “하느님의 말씀”을 고집 세게 배척했으며, 자신들이 “영원한 생명을 얻기에 합당하지 않은 사람이라고 스스로 판단”했다는 점을 말과 행동으로 나타냈다. (행 13:46) 하지만 그 도시에 있는 이방 사람들은 전혀 다른 태도를 나타냈다. 이 구절에서는 그들이 기뻐하며 여호와의 말씀에 영광을 돌리기 시작했다고 알려 준다. 따라서 이 문맥에서 그리스어 동사 탓소는 안티오크의 비유대인들이 영원한 생명을 얻게 해 주는 태도나 경향이나 성향을 나타냄으로 생명을 얻을 수 있는 “위치에 자신들을 두었다”는 의미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 구절에서 그 단어는 “합당한 성향을 가진”으로 번역되었다. 하지만 많은 성경 번역판에서는 “정해진; 선택된”과 같은 표현을 사용한다. 그러한 번역 표현은 하느님께서 그들을 생명을 얻을 사람들로 미리 정해 두셨다는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하지만 이 구절의 문맥과 성경의 나머지 부분을 살펴보면 안티오크의 그 이방인들이 생명을 얻도록 미리 정해진 것이 아니었음을 알 수 있다. 그곳의 유대인들이 영원한 생명을 얻도록 미리 정해진 것이 아니었던 것과 마찬가지이다. 바울은 좋은 소식을 받아들이도록 유대인들을 설득하려고 했지만 그들은 그 소식을 배척하기로 스스로 선택했다. 그들이 그런 선택을 하도록 미리 정해진 것이 아니었다. 예수께서는 “하느님의 왕국에 적합하지” 않다는 것을 행동으로 나타낼 사람들이 있을 것이라고 알려 주셨다. (눅 9:62) 그런가 하면 좋은 소식에 “합당하다”는 것을 행동으로 나타내는 사람들이 있을 것이라고도 말씀하셨는데, 안티오크의 이방인들이 그런 사람들이었다.—마 10:11, 13.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파수대」 (연구용)

    2018/10, 12면

    「파수대」

    2000/7/1, 11-12면

    1991/1/15, 15-17면

  • 출판물 색인

    파18.10 12; 파00 7/1 12; 파91 1/15 15-17;

    파81 2 4; 파81 7 19; 파78 5/15 15; 목 95

사도행전 13:49

  • 여호와의 말씀: 행 8:25 연구 노트 및 부록 다3 소개; 행 13:49 참조.

사도행전 13:50

  • 하느님을 두려워하는: 또는 “하느님을 숭배하는”. 그리스어 세보마이는 “숭상하다; 숭앙하다”로 번역할 수도 있다. 시리아어 「페시타」에서도 이 부분을 “하느님을 두려워하는”으로 번역한다. 그리스도인 그리스어 성경을 히브리어로 옮긴 일부 번역판(부록 다4에 J7, 8, 10, 18로 표기됨)은 이 구절에서 하느님의 이름을 사용하며, 그 표현을 번역하면 “여호와를 두려워하는”이 된다.

상호 참조 성구

  • +마 23:34; 행 14:2, 19; 17:5; 딤후 3:11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증거하십시오」 91면

    「파수대」

    1990/6/15, 11면

  • 출판물 색인

    철 91; 파90 6/15 11

사도행전 13:51

  • 두 사람은 그들을 향해 발의 먼지를 털어 버리고: 바울과 바나바는 마 10:14; 막 6:11; 눅 9:5에 기록된 예수의 지침대로 행동한 것이다. 당시 독실한 유대인들은 이방 나라를 여행하고 돌아올 때면 유대인의 영토로 들어가기 전에 신발에 묻은 먼지를 부정하다고 여겨 털어 내곤 했다. 하지만 예수께서 제자들에게 주신 지침은 분명 그와는 다른 의미였던 것 같다. 먼지를 털어 버리는 행동은 하느님께서 가져오실 결과에 대해 제자들에게 책임이 없음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고린도에서 바울은 그와 비슷한 동작인 옷을 터는 행동을 하면서 그 의미를 이렇게 밝혔다. “여러분의 피가 여러분의 머리로 돌아갈 것입니다. 나는 깨끗합니다.”—행 18:6 연구 노트 참조.

상호 참조 성구

  • +마 10:14; 눅 9:5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증거하십시오」 92, 93-95면

    「통찰」 644, 703면

    「파수대」

    1990/6/15, 11면

  • 출판물 색인

    철 92-93, 95; 통-1 644; 통-2 703; 파90 6/15 11

사도행전 13:52

상호 참조 성구

  • +마 5:12

색인

  • 연구 자료 찾아보기

    「파수대」

    1990/6/15, 11면

  • 출판물 색인

    파90 6/15 11

다른 번역판

절의 번호를 누르면 해당 구절을 다른 번역판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인용

사도 13:22삼상 13:13, 14
사도 13:33시 2:7
사도 13:34사 55:3
사도 13:35시 16:10
사도 13:47사 49:6

일반

사도 13:1고전 12:28; 엡 4:11, 12
사도 13:1행 4:36, 37
사도 13:1눅 3:1
사도 13:2행 9:15
사도 13:2딤전 2:7
사도 13:5행 12:25
사도 13:10요 8:44
사도 13:13행 14:24, 25
사도 13:13행 12:12
사도 13:13행 15:37, 38
사도 13:14딤후 3:11
사도 13:14마 4:23; 행 17:1, 2; 18:4; 19:8
사도 13:15눅 4:16; 행 15:21
사도 13:17출 6:1, 6; 신 7:6, 8
사도 13:18출 16:35; 민 14:33, 34
사도 13:19신 7:1; 수 14:1, 2
사도 13:20삿 2:16; 삼상 3:20
사도 13:21삼상 8:4, 5
사도 13:21삼상 10:21; 11:15
사도 13:22삼상 16:12, 13; 시 89:20
사도 13:22삼상 16:1
사도 13:23삼하 7:12; 사 11:1; 눅 1:31, 32, 68, 69
사도 13:24마 3:1, 6
사도 13:25요 1:20
사도 13:25마 3:11; 눅 3:16
사도 13:26마 10:5, 6; 눅 24:47, 48
사도 13:27사 53:7, 8
사도 13:28마 26:59, 60; 눅 23:13-15; 요 19:4
사도 13:28마 27:22, 23; 요 19:15
사도 13:29마 27:59, 60; 요 19:40-42
사도 13:30마 28:5, 6; 행 2:24
사도 13:31마 28:16; 행 1:3; 3:15; 고전 15:4-7
사도 13:33롬 1:4
사도 13:33히 1:5; 5:5
사도 13:35행 2:31
사도 13:36행 2:29
사도 13:37행 2:27
사도 13:38눅 24:46, 47; 행 5:31; 10:43
사도 13:39히 10:1
사도 13:39사 53:11; 롬 3:28; 5:18; 8:3; 히 7:19
사도 13:41합 1:5
사도 13:43행 11:23; 14:21, 22
사도 13:45행 14:1, 2; 17:4, 5
사도 13:46마 10:5, 6; 행 3:25, 26; 롬 1:16
사도 13:46눅 2:29-32; 행 18:5, 6; 롬 10:19
사도 13:47행 1:8
사도 13:50마 23:34; 행 14:2, 19; 17:5; 딤후 3:11
사도 13:51마 10:14; 눅 9:5
사도 13:52마 5:12
  • 신세계역 성경 (연구용)
  • 다음 번역판으로 보기: 신세계역 (신세)
  • 다음 번역판으로 보기: 신세계역 (성12)
  • 다음 번역판으로 보기: 개역한글판 (개역)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신세계역 성경 (연구용)
사도행전 13:1-52

사도행전

13 안티오크에 있는 회중에 예언자들과 가르치는 사람들이 있었는데,+ 그들은 바나바,+ 니게르라고 하는 시므온, 키레네의 루기오, 지역 통치자 헤롯과+ 함께 교육받은 마나엔 그리고 사울이었다. 2 그들이 여호와를 섬기며 단식하고 있을 때에 성령이 말했다. “내가 일을 맡기려고 바나바와 사울을+ 불렀으니, 나를 위해 그들을 따로 세워라.”+ 3 그래서 그들은 단식하고 기도한 뒤에 두 사람에게 손을 얹고 나서 떠나보냈다.

4 그 두 사람은 성령에 의해 보냄을 받아 셀레우키아로 내려갔고, 거기서 배를 타고 키프로스로 갔다. 5 그리고 살라미스에 이르러, 유대인의 회당에서 하느님의 말씀을 널리 전하기 시작했다. 그들은 요한을 시중드는 사람*으로 데리고 다녔다.+

6 그들이 살라미스를 떠나 섬 반대편에 있는 파포스에 이르렀을 때에 바예수라는 유대인을 만났는데, 그는 주술사이자 거짓 예언자였다. 7 그는 속주 총독 세르기오 바울로 곁에 있는 사람이었다. 총명한 사람이었던 총독은 바나바와 사울을 불러 하느님의 말씀을 듣기를 간절히 원했다. 8 그러나 주술사 엘루마는 (그의 이름을 번역하면 주술사이다) 그들을 대적하여 속주 총독이 믿음을 갖지 못하게 하려고 했다. 9 그러자 바울이라고도 하는 사울이 성령으로 충만하여 그를 주시하며 10 말했다. “온갖 사기와 온갖 악독한 것으로 가득 찬 사람, 마귀의 자식,+ 모든 의로운 것의 원수여, 여호와의 바른길을 왜곡하는 일을 그치지 못하겠습니까? 11 이제 여호와의 손이 당신 위에 있으니, 당신은 눈이 멀어 한동안 햇빛을 보지 못할 것입니다.” 그 즉시 짙은 안개와 어둠이 그에게 내려, 그는 이리저리 다니며 자기 손을 잡아 인도해 줄 사람을 찾았다. 12 속주 총독은 일어난 일을 보고 신자가 되었다. 여호와의 가르침에 크게 놀랐던 것이다.

13 바울 일행은 파포스에서 배를 타고 떠나 팜필리아의 페르가에+ 도착했다. 그런데 요한은+ 그들을 떠나 예루살렘으로 돌아갔다.+ 14 하지만 그들은 페르가에서 계속 나아가 피시디아의 안티오크로+ 갔다. 그리고 안식일에 회당에+ 들어가 앉았다. 15 율법과 예언서의 공개 낭독이+ 끝나자, 회당 책임자들이 그들에게 사람을 보내어 말했다. “형제 여러분, 이 사람들을 격려할 말씀이 있거든 해 주십시오.” 16 그래서 바울이 일어나 손짓을 하며 말했다.

“이스라엘 사람들과 하느님을 두려워하는 여러분, 들어 보십시오. 17 이스라엘 백성의 하느님께서는 우리 조상들을 선택하셨습니다. 그리고 이 백성이 이집트 땅에서 외국인으로 사는 동안 그들을 높이셨으며, 팔을 들어 그들을 거기서 데리고 나오셨습니다.+ 18 그리고 광야에서 약 40년 동안 그들에 대해 참으셨습니다.+ 19 그분은 가나안 땅의 일곱 민족을 멸망시키신 후에 그들의 땅을 상속지로 분배해 주셨습니다.+ 20 이 모든 일이 약 450년 동안에 있었습니다.

그 후에 그분은 예언자 사무엘 때까지 그들에게 재판관들을 주셨습니다.+ 21 그러나 그 뒤에 그들이 왕을 요구하자,+ 하느님께서는 베냐민 지파 사람 기스의 아들 사울을+ 그들에게 주셔서 40년 동안 다스리게 하셨습니다. 22 그를 물러나게 하신 뒤에는 그들을 위해 다윗을 왕으로 일으키셨습니다.+ 그분은 그에 관해 ‘내가 이새의 아들 다윗을 찾아냈으니,+ 그는 내 마음에 맞는 사람이다.+ 그는 내가 바라는 모든 것을 할 것이다’라고 증언하셨습니다. 23 하느님께서는 약속하신 대로 그의 자손 가운데서 구원자 예수를+ 이스라엘에 보내 주셨습니다. 24 그분이 오시기 전에 요한은 이스라엘의 모든 백성에게 회개의 상징인 침례를 공개적으로 전파했습니다.+ 25 요한은 그의 행로를 마칠 무렵에 이렇게 말했습니다. ‘여러분은 나를 누구라고 생각합니까? 나는 그분이 아닙니다.*+ 내 뒤에 한 분이 오시는데, 나는 그분의 신발 끈을 풀 자격도 없습니다.’+

26 형제 여러분, 아브라함 가계의 후손들과 하느님을 두려워하는 사람들이여, 이 구원의 말씀이 우리에게 전해졌습니다.+ 27 예루살렘 주민들과 그들의 지도자들은 그분을 알아보지 못하고 그분을 재판하여 안식일마다 낭독되는 예언서의 말씀을 성취시켰습니다.+ 28 그들은 그분을 죽일 만한 아무런 근거도 찾지 못했지만,+ 빌라도에게 그분을 처형하라고 요구했습니다.+ 29 그들은 그분에 대해 기록된 모든 것을 이루고, 그분을 기둥에서 내려 무덤에 뉘었습니다.+ 30 그러나 하느님께서는 예수를 죽은 사람들 가운데서 일으키셨습니다.+ 31 예수께서는 자신과 함께 갈릴리에서 예루살렘으로 올라갔던 사람들에게 여러 날 동안 나타나셨습니다. 그들이 이제 백성 앞에서 그분의 증인이 된 것입니다.+

32 그래서 우리는 조상들에게 주어진 약속에 대한 좋은 소식을 여러분에게 전하고 있습니다. 33 하느님께서는 예수를 부활시키셔서+ 그들의 자손인 우리에게 그 약속을 온전히 성취시키셨습니다. 시편 제2편에 ‘너는 내 아들이다. 내가 오늘 네 아버지가 되었다’라고 기록된 것과 같습니다.+ 34 또 하느님께서는 예수를 죽은 사람들 가운데서 부활시켜 다시는 썩지 않게 하신 것에 대해 이와 같이 말씀하셨습니다. ‘내가 다윗에게 약속한 충실하고* 충성스러운 사랑을 너희에게 베풀겠다.’+ 35 그러므로 또 다른 시편에도 이런 말씀이 있습니다. ‘당신은 당신의 충성스러운 자가 썩지 않게 하실 것입니다.’+ 36 그런데 다윗은 자기 세대에 하느님을 섬기다가 죽어 잠들어 조상들과 함께 뉘어져 썩고 말았습니다.+ 37 그러나 하느님께서 일으키신 분은 썩지 않았습니다.+

38 그러므로 형제 여러분, 여러분은 이것을 알아야 합니다. 이분으로 말미암아 죄의 용서가 여러분에게 선포되고 있으며,+ 39 모세의 율법으로는 무죄로 인정받을 수 없었던 모든 일에서,+ 믿는 사람은 누구나 이분에 의해 무죄로 인정받는다는 것입니다.+ 40 그러므로 예언서에서 말하는 것이 여러분에게 닥치지 않도록 주의하십시오. 41 ‘보라, 너희 비웃는 자들아, 놀라고 죽어 없어져라. 너희의 날에 내가 한 가지 일을 하리니, 누가 너희에게 자세히 이야기해 주어도 너희가 결코 믿지 않을 그런 일이다.’”+

42 그들이 나갈 때에, 사람들은 다음 안식일에도 이런 말씀을 더 들려 달라고 간청했다. 43 회당에서 집회가 끝난 뒤에 유대인들과 하느님을 숭배하는 개종자들 중 많은 이들이 바울과 바나바를 따랐다. 두 사람은 그들에게 이야기하면서 하느님의 과분한 친절 안에 머물라고 권했다.+

44 다음 안식일에 거의 온 도시가 여호와의 말씀을 들으려고 함께 모였다. 45 유대인들은 무리를 보고 질투로 가득 차서 바울의 말을 반대하며 모독하기 시작했다.+ 46 그러자 바울과 바나바가 담대하게 말했다. “하느님의 말씀은 먼저 여러분에게 전해져야 했습니다.+ 그러나 여러분이 그것을 배척하고 영원한 생명을 얻기에 합당하지 않은 사람이라고 스스로 판단하기 때문에, 우리는 이방 사람들에게 갑니다.+ 47 사실, 여호와께서는 이러한 말씀으로 우리에게 명령하셨습니다. ‘내가 너를 이방 사람들의 빛으로 삼았으니, 그것은 네가 땅끝까지 구원이 되게 하려는 것이다.’”+

48 이방 사람들은 이 말을 듣자 기뻐하며 여호와의 말씀에 영광을 돌리기 시작했다. 그리고 영원한 생명을 얻기에 합당한 성향을 가진 사람들은 모두 신자가 되었다. 49 그리하여 여호와의 말씀이 그 지방 전역에 퍼져 나갔다. 50 그러나 유대인들은 하느님을 두려워하는 탁월한 여자들과 그 도시의 유력 인사들을 선동하고 바울과 바나바를 박해하도록 부추겨+ 그들을 자기들의 경계 밖으로 내쫓았다. 51 그래서 두 사람은 그들을 향해 발의 먼지를 털어 버리고+ 이코니온으로 갔다. 52 제자들은 계속 기쁨과+ 성령으로 충만했다.

한국어 워치 타워 출판물 (1958-2025)
로그아웃
로그인
  • 한국어
  • 공유
  • 설정
  • Copyright © 2025 Watch Tower Bible and Tract Society of Pennsylvania
  • 이용 약관
  • 개인 정보 보호 정책
  • 개인 정보 설정
  • JW.ORG
  • 로그인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