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3년 신권 전도 학교
지시
1973년 중 모든 회중은 다음과 같이 신권 전도 학교를 사회해야 한다.
교재: 성서[성], 연설 골자[골], 파수대[파], 깨어라! [깨], 신권 전도 학교 지침서[지], ‘모든 성경은 하나님의 영감을 받은 것으로 유익하다’[감], 성서는 참으로 하나님의 말씀인가? [서], 모든 사물을 확인하고 훌륭한 것을 굳게 잡으라[확]가 임명의 근거가 된다.
개인적 연구 및 낭독: 5월 13일 주간까지는 임명된 재료를 연구해야 하며 5월 27일로 시작하는 주부터는 학교에 참석하는 모두가 성서의 임명된 부분을 사전에 개인적으로 낭독해야 한다.
구두 복습: 5분간. 지난 주일에 교훈 연설을 한 형제가 그가 다룬 [지], [서], [감], 내용에서 10개를 넘지 않는 질문을 선택하여 제공할 것이다.
교훈 연설: 1번: 15분간. 이 연설은 다만 임명된 재료의 요약 정도이어서는 안된다. 이 연설은 선택된 한 제목에 관한 잘 발전된 연설이어야 하며, 가능하다면 장로에게 임명하되, 만일 필요하다면, 자격을 갖춘 봉사의 종들에게 임명할 것이다. 재료를 피상적으로 취급하지 말고 회중에 참으로 교훈적이고 도움이 되게 연설할 것이다. [감] 책으로부터 연설을 준비할 때, 연사는 「보조서」에 있는 그 동일한 점의 내용에 관하여 읽어 봄으로써 그가 취급하는 내용이 뒤떨어진 것이 되지 않게 할 것이다.
2번 연설: 6분간. 5월 13일로 시작하는 주까지는 [확] 책의 내용을 사용하는 연설이지만, 그후로부터는 임명된 재료의 성서 낭독이 될 것이다. 낭독 임명은 학생이 서론과 결론에서, 그리고 심지어 적절한 중간 지점에서 내용을 설명할 수 있을 정도로 짧다. 역사적 배경, 예언적이거나 교리적인 중요점, 원칙들의 적용 및 성귀에 나타난 지혜에 대한 감사의 표시 등을 포함시킬 수 있다. 연설은 임명된 모든 귀절들을 실제적으로 낭독하는 방법으로 연설을 짤 것이다. 주어진 시간을 충분히 이용할 것이다.
3번, 4번 연설: 각각 6분간. 가능한 한 언제든지 자매들에게 임명될 것이며 각자는 앉거나 서서 연설할 것이다. 대부분 성서와 노트를 주로 사용하지만, 적절하다면, 학생들은 임명된 재료로부터 발췌문이나 인용문을 낭독할 수 있다. 보조자 한 사람이 학교 감독자에 의하여 계획될 것이지만, 부가적인 보조자들을 사용할 수도 있다. 장면들은 가정, 야외 봉사, 회중 및 그외의 다른 곳에서 일어나는 상태를 포함시킬 수 있다. 종종, 연설은 단순히 가족 성원들 간이나 혹은 다른 사람들과의 교훈적인 대화가 될 수도 있다. 연설하는 사람이 대화를 시작케 하여 장면을 구성시킬 수도 있으며, 또는 보조자[들]이 그렇게 하게 할 수도 있다. 장면 자체보다 재료 자체에 주된 고려를 베풀어야 한다.
성서적인 체험담들은 임명된 주제에 일치되게 발전시켜야 한다. 성서적 본들에 관한 연설은 우리 시대에 그 재료를 적용시킬 것이다.
[잘] 책으로 연설하게 되는 학생들은 어린이나 혹은 어린이를 가진 어머니에게 임명할 것이다.
5번 연설: 6분간. 만일 [잘] 책의 임명이라면 (약 한달에 한번 정도가 임명되었음) 그 임명은 반드시 회중에 연합한 어린이 남자들이나 혹은 자녀를 가진 아버지들에게 임명할 것이다. 그 외의 임명은 어느 정도 경험이 있는 형제들에게 임명하는 것이 더 좋다. 이 연설은 전체 청중에게 하는 연설이어야 한다. 연사는 그의 노트를 가지고 연설하면서, 적절할 때에는, 임명된 재료로부터 인용문이나 요점잡힌 발췌문을 낭독할 수 있다. 보통으로 한 왕국회관에 있는 청중을 머리에 간직하고 연사가 그의 연설을 준비하는 것이 가장 좋다. 그래서 그것을 실제로 듣게 될 사람들에게 참으로 교훈적이고 유익한 것이 되게 할 것이다. 그러나 만일 재료 자체가 실용적이며 적절한 어떤 다른 장면에 특히 잘 적용된다면, 연사는 그에 따라 그의 연설을 발전시킬 수 있다. (성서적 체험담에 관한 연설이라면 “3번 4번 연설”의 둘째 항을 참조하라.)
연설들: 각각 5분간. 필기 복습 저녁에 연설 골자[골]로 연설하도록 형제들이나 자매들에게 임명되며 이 연설은 실제적이고 실용적이어야 한다. 주어진 시간 내에 효과적으로 취급될 수 있는 정도의 많은 요점들을 다루어야 한다. 어떠한 논리적인 순서로든지 재료를 다룰 수 있으며 각 요점 아래의 어느 성귀이든지 사용될 수 있다. 연설 3번과 4번과 같이, 장면들은 다양할 수 있다.
연설을 준비함: 재료가 허락한다면, 잘 발전시킨 주제를 따라 연설해야 한다. 주어진 시간 내에 재료를 가장 잘 취급할 수 있는 주제를 하나 선택하라. 연설 충고 용지에, 다음에 고려될 점들을 머리에 간직하고 모든 연설들을 준비하라. 한 장면을 선택할 때, 적절하다면, 임명된 재료를 실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보여 주는 장면을 선택하도록 노력하라.
충고: 각 학생 연사에게는 연설 충고 용지 하단에 명시된 점진적인 충고의 계획에 따라 특수한 충고를 할 것이다. 연사들이 다룬 중요한 점들 및 재료의 가치에 대하여 깊이 인식하게 하는 말을 한다면, 모두의 주의를 주로 성귀들에 계속 집중시키게 도울 수 있다. 각 학생 연사들에게 2분 이상을 사용하지 않도록 조심하라.
시간 조절: 어떤 연설도 시간을 초과하지 말 것이며, 충고자도 초과해서는 안된다. 2번부터 5번 연설까지는 시간이 다 될 때, 필요하다면, 중단시킬 것이다.
필기 복습: 30분간. 주기적으로 필기 복습이 있을 것이다. 준비할 때, [감], [파], [깨], [지], [서], [확]의 내용을 주로 복습하고 개인적 성서 낭독 임명을 마치라. 복습 중에는 성서만이 사용될 수 있다. 질문과 대답이 낭독될 때, 각 학생은 자신의 시험지를 채점할 것이다. 그 다음 주의 구두 복습에서 필기 복습의 중요한 점들을 다룰 것이다. 만일 어떤 지방 환경상의 이유로서, 필기 복습을 시간표에 나타난 것보다 한 주일 늦게 할 필요가 있다면, 그렇게 할 수 있다.
크고 작은 회중들: 50명이나 그 이상의 학생들이 등록한 회중에서는 학생들의 다른 집단을 마련할 것이며 가능하면, 다른 장로 앞에서 계획된 연설을 하게 할 것이다. 학생들이 돌아가며 여러 장소에서 연설하도록 임명하라. 필요하다면, 자매들이 어느 연설이든지 맡아 3번과 4번 연설을 위하여 설명된 것과 같이, 다른 한 자매에게 연설할 것이다.
결석: 계획된 한 학생이 참석하지 않으면, 한 자진자가 임명을 맡을 것이다. 그는 급히 통지를 받아서 짧은 시간이지만, 성귀를 낭독하고 적용시킬 수 있다고 생각되는 점을 적용시킬 것이다. 또는 학교 감독자가 적절한 청중 참여로써 재료를 다룰 수 있다.
시간표
1월 7일 연구: 확 76-80, 229-232, 295-297면.
1번: 서 103면 1항-111면 3항.
2번: 확 76-78면. “인류는 죄와 사망으로부터 어떻게 대속되었는가?”
3번: 확 229-232면. “만일 연옥이 없다면, 어떻게 우리가 죄로부터 깨끗함을 받을 수 있는가?”
4번: 잘 1장.
5번: 확 295면-297면. “어떤 인종은 다른 인종보다 열등하다고 성서는 지적하지 않는가?”
1월 14일 연구: 확 78-80, 336-342면.
1번: 서 112면 1항-120면 4항.
2번: 확 339, 340면. “어떻게 거짓 종교가 시작하여 온 땅에 퍼졌는가?”
3번: 확 336-339면. “당신이 참 종교를 가졌음을 어떻게 아는가?”
4번: 잘 2장.
5번: 확 78-80면, “그리스도의 대속의 목적과 유익.”
1월 21일 연구: 확 338-342, 447-450면.
1번: 서 121면 1항-127면 3항.
2번: 확 341, 342면. “하나님의 승인을 받으려면, 반드시 거짓 종교를 버려야 한다.”
3번: 확 338, 339면. “참 숭배는 ‘계시’된 종교이다.”
4번: 잘 3장.
5번: 확 447-449면. “반드시 헌신하기 전에 회개해야 한다.”
1월 28일 필기 복습. 확 76-80, 229-232, 256-267, 295-297, 336-342, 447-450면 전체.
연설들: 골자 42ㅇ과 42ㅈ.
2월 4일 연구: 확 120-125, 449, 450면.
1번: 서 127면 4항-134면 2항.
2번: 확 449, 450면. “하나님의 용서를 받기 위하여 나는 반드시 무엇을 해야 하는가?”
3번: 확 120, 121, 123면. “기억 무덤에 있는 모두가 나올 것이다.”
4번: 잘 4장.
5번: 확 122-125면. “누가 부활로부터 유익을 얻는가?—언제?”
2월 11일 연구: 확 45-49면.
1번: 지 126면 1항-129면 22항.
2번: 확 46, 47면. “당신은 ‘인자의 징조’를 보았는가?”
3번: 확 45, 46면. “예수께서 돌아오실 때, 육체로 오실 수는 없다.”
4번: 확 46-48면. “주께서 돌아오시는 방법.”
5번: 잘 5장.
2월 18일 연구: 확 48, 49면, 190-193면.
1번: 지 130면 1항-133면 20항.
2번: 확 190, 191면. “이스라엘에게 주신 안식 율법 제도.”
3번: 확 48, 49면. “그리스도의 돌아오심은 전 인류에게 영향을 끼친다.”
4번: 잘 6장.
5번: 확 192, 193면. “오늘날과 장차, 하나님의 안식은 그리스도인들에게 무엇을 의미하는가?”
2월 25일 연구: 확 41-44, 315-317면.
1번: 서 135면 1항-141면 1항.
2번: 확 41-44면. “구원받기 위하여 반드시 무엇을 해야 하는가?”
3번: 확 43, 44면. “나는 모두가 결국 구원받을 것이라고 믿습니다. 그렇지 않아요?”
4번: 잘 7장.
5번: 확 315, 316면. “당신은 죄를 피하는가?—당신의 생각과 감정을 제어하라.”
3월 4일 필기 복습. 확 41-49, 120-125, 190-193, 315-317면 전체.
연설들: 골 42ㅊ과 43ㄱ.
3월 11일 연구: 확 159-161, 316면.
1번: 서 141면 2항-149면 5항.
2번: 확 161면. “하나님의 회중—한 목적을 위하여 거룩하게 되다.”
3번: 확 159, 160면. “‘당신의 이름이 거룩히 되게 하옵소서.’”
4번: 잘 8장.
5번: 확 316면. “자제의 적극적인 면.”
3월 18일 연구: 확 126-128, 170-172면.
1번: 서 150면 1항-155면 4항.
2번: 확 170, 171면. “스올 혹은 하데스란 무엇인가?”
3번: 확 126-128면. “개인적인 불화를 해결하지 못하면, 그 사람의 믿음에 영향을 준다.”
4번: 잘 9장.
5번: 확 171-172면. “누가 하데스로 갔는가? 누가 돌아올 것인가?”
3월 25일 연구: 확 51-55, 126, 127면.
1번: 서 156면 1항-161면 3항.
2번: 확 126, 127면. “당신의 형제를 얻기 위하여 당신은 무엇을 할 수 있는가?”
3번: 확 51면. “그리스도의 임재의 ‘징조’가 왜 필요한가?”
4번: 잘 10장.
5번: 확 51-55면. “그리스도의 임재의 ‘징조’가 당신의 생활에 어떻게 영향을 주었는가?”
4월 1일 연구: 확 51-55, 80, 81면.
1번: 지 133면 1항-138면 21항.
2번: 확 52-55면. “그리스도의 임재의 ‘징조’가 문자 그대로 성취되고 있다.”
3번: 확 52-54면. “하나님의 백성들의 사업—‘징조’의 뚜렷한 부분이 된다.”
4번: 잘 11장.
5번: 확 80, 81면. “젊은이들이여, 독신은 하나님의 봉사에서 더 큰 자유를 준다.”
4월 8일 필기 복습. 확 51-55, 80, 81, 126-128, 159-161, 170-172면 전체.
연설들: 골 43ㄴ과 43ㄷ.
4월 15일 연구: 확 342-346면.
1번: 지 138면 1항-141면 19항.
2번: 확 342, 343, 346면. “모든 죄가 용서받게 되는가?”
3번: 확 343, 344면. “나는 아담과 하와의 죄는 성관계인 줄 알았었다.”
4번: 확 345면. “죄와 그 영향으로부터 행방시키는 하나님의 마련에 믿음을 실천하라.”
5번: 잘 12장.
4월 22일 연구: 확 248-250면.
1번: 서 162면 1항-172면 4항.
2번: 확 248-250면. “당신의 영혼은 당신이다.”
3번: 확 248-250면. “성서는 인간 영혼의 불멸성을 가르치지 않는가?”
4번: 잘 13장.
5번: 확 249, 250면. “영혼은 영과 같지 않다.”
4월 29일 연구: 확 139-141, 238-240면.
1번: 서 173면 1항-179면 4항.
2번: 확 238, 239면. “‘영’이란 단어가 성경에서 사용된 용도.”
3번: 확 139-141면. “회중 내의 계급 구별은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지 못한다.”
4번: 잘 14장.
5번: 확 238-240면. “하나님의 성령의 작용.”
5월 6일 연구: 확 220-222, 240-242면.
1번: 서 180면 1항-189면 4항.
2번: 확 240, 241면. “그리스도인들은 왜 악령의 세력에 대항하여 계속 싸워야 하는가?”
3번: 확 241, 242면. “나는 영매술의 영향으로부터 어떻게 자신을 보호할 수 있는가?”
4번: 잘 15장.
5번: 확 220-222면. “당신은 더 발전할 수 있도록 연구하는 방법을 아는가?”
5월 13일 연구: 확 278-281면.
1번: 지 142면 1항-148면 34항.
2번: 확 278, 279면. “최고 권세는 절대적인 순종을 요구한다.”
3번: 확 278-280면. “왜 나라의 법에 순종해야 하는가?”
4번: 확 280, 281면. “정당한 권세에게 복종하는 그리스도인들은 유익을 받는다.”
5번: 잘 16장.
5월 20일 필기 복습. 확 139-141, 220-222, 238-242, 248-250, 278-281, 342-346면 전체.
연설들: 골 43ㄹ과 43ㅁ.
5월 27일 성서 낭독: 잠언 1-7
1번: 감 성서 낱권제20과 106-108면 1-11항.
2번: 잠언 2:1-3:7.
3번: 확 281, 282면. “‘영혼의 윤회설’이 왜 참될 수 없는가?”
4번: 잘 17장.
5번: 파70 514면 17항-515면 19항.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두려움 없이 말씀하셨고 행동하셨다.”
6월 3일 성서 낭독: 잠언 8-13
1번: 감 성서 낱권제20과 108-109면 12-18항.
2번: 잠언 8:12-36.
3번: 확 176-178면. “당신의 교회에서는 십일조를 냅니까?”
4번: 잘 18장.
5번: 깨71 1/22 22, 23면. “네 부모를 공경하라.”
6월 10일 성서 낭독: 잠언 14-19
1번: 감 성서 낱권제20과 109-111면 19-38항.
2번: 잠언 15:1-23.
3번: 확 113-115면. “당신이 방언을 하지 못한다면, 어떻게 당신의 종교가 참된 것이 될 수 있는가?”
4번: 잘 19장.
5번: 깨71 2/22 22, 23면. “간음하지 말찌니라.”
6월 17일 성서 낭독: 잠언 20-25
1번: 지 149면 1항-153면 21항.
2번: 잠언 23:6-35.
3번: 확 328, 329면. “모든 전통은 다 나쁜가?”
4번: 잘 20장.
5번: 깨71 3/8 22, 23면. “도적질하지 말찌니라.”
6월 24일 성서 낭독: 잠언 26-31
1번: 지 153면 1항-158면 24항.
2번: 잠언 31:10-31.
3번: 확 145, 146면. “삼위일체론자들이 인용하는 성귀들은 삼위일체를 참으로 지지하지 않는다.”
4번: 파70 396면 11-14항. “아브라함과 사라는 물질적 낙을 뒤에 버리고 떠났다.”
5번: 잘 21장.
7월 1일 필기 복습. 잠언 1-31 전체.
연설들: 골 43ㅂ과 44ㄱ.
7월 8일 성서 낭독: 전도서 1-4
1번: 감 성서 낱권제21과 112-113면 1-8항.
2번: 전도서 3:1-22.
3번: 확 142, 143면. “하나님과 예수와의 관계가 삼위일체를 증명하는가?”
4번: 잘 22장.
5번: 깨71 3/22 22, 23면. “거짓 증거하지 말찌니라.”
7월 15일 성서 낭독: 전도서 5-8
1번: 감 성서 낱권제21과 113-114면 9-14항.
2번: 전도서 7:1-22.
3번: 확 144면. “예수께서는 어떤 면으로 하나님과 하나가 될 수 있으신가?”
4번: 잘 23장.
5번: 깨71 4/8 22, 23면. “네 이웃의 소유를 탐내지 말찌니라.”
7월 22일 성서 낭독: 전도서 9-12
1번: 감 성서 낱권제21과 114면 15-19항.
2번: 전도서 11:9-12:14.
3번: 확 141-144면. “삼위일체는 틀림없이 성경적일 것이다. 왜냐하면 그것은 그리스도교의 ‘중심 교리’이기 때문이다.”
4번: 잘 24장.
5번: 깨71 4/22 22, 23면. “종교를 바꾸는 것이 너무 어려운 일인가?”
7월 29일 성서 낭독: 아가 1-4
1번: 감 성서 낱권제22과 115, 117면 1-4, 16-18항.
2번: 아가 3:6-4:10.
3번: 확 372, 373면. “당신은 생명으로 인도하는 지혜를 증가시키고 있는가?”
4번: 잘 25장.
5번: 파69 422면 21항-424면 25항. “예레미야는 충실히 인내하였다.”
8월 5일 성서 낭독: 아가 5-8
1번: 감 성서 낱권제22과 115-117면 5-15항.
2번: 아가 7:10-8:14.
3번: 확 185, 186면. “악에 대하여 하나님께서는 책임이 없으시다.”
4번: 깨71 5/8 22, 23면. “당신이 여호와를 섬기는 이유.”
5번: 잘 26장.
연설들: 골 44ㄴ과 44ㄷ.
8월 19일 성서 낭독: 예레미야 애가 1-2
1번: 감 성서 낱권제25과 130-131면 1-7항
2번: 예레미야 애가 1:1-11.
3번: 확 188, 189면. “악인의 번영이, 당신으로 악을 행하도록 유혹하지 못하게 하라.”
4번: 잘 27장.
5번: 파70 514면 15, 16항. “다니엘과 그의 동료들은 담대하였다.”
8월 26일 성서 낭독: 예레미야 애가 3-5
1번: 감 성서 낱권제25과 131-132면 8-15항.
2번: 예레미야 애가 3:22-44.
3번: 확 187, 189면. “왜 하나님께서는 악을 허용하시는가?”
4번: 잘 28장.
5번: 파69 420면 13항-421면 15항. “사랑이 예레미야를 감동시켰다.”
9월 2일 성서 낭독: 창세기 1-5
1번: 감 성서 낱권제1권 13-14면 1-9항.
2번: 창세기 3:1-19.
3번: 확 202, 203면. “당신은 칭찬을 받는 여자인가?”
4번: 잘 29장.
5번: 요나 4:1-11. “요나는 자비의 뜻을 깨달았다.”
9월 9일 성서 낭독: 창세기 6-10
1번: 감 성서 낱권제1권 14-17면 10-32항.
2번: 창세기 6:1-22.
3번: 확 201, 202면. “가정과 회중에서의 여자의 위치”
4번: 잘 30장.
5번: 사도 8:1-40. “박해가 빌립을 잠잠하게 만들지 못하였다.”
9월 16일 성서 낭독: 창세기 11-15
1번: 감 성서 낱권제1권 17-19면 33-38항.
2번: 창세기 12:1-20.
3번: 확 297, 298면. “당신이 무엇을 하든지, 온 영혼을 다하여 일하라.”
4번: 잘 31장.
5번: 파71 418면 8-11항. “요시야는 참 숭배를 깊이 인식했다.”
9월 23일 필기 복습. 예레미야 애가 1-5 및 창세기 1-15 전체.
연설들: 골 45ㄱ과 45ㄴ.
9월 30일 성서 낭독: 창세기 16-20
1번: 지 158면 1항-163면 24항.
2번: 창세기 19:1-17.
3번: 확 299, 300면. “당신의 행함으로써 당신의 믿음을 즐겁게 나타내라.”
4번: 잘 32장.
5번: 파69 324면 17항-325면 20항. “디모데—젊은이들의 훌륭한 본.”
10월 7일 성서 낭독: 창세기 21-24
1번: 지 163면 1항-167면 21항.
2번: 창세기 21:1-21.
3번: 깨71 5/22 22, 23면. “베드로 후서는 누가 기록하였는가?”
4번: 잘 33장.
5번: 깨71 6/8 22, 23면. “당신은 기도에 우선권을 두는가?”
10월 14일 성서 낭독: 창세기 25-31
1번: 지 168면 1항-171면 22항.
2번: 창세기 27:6-29.
3번: 깨71 6/22 22, 23면. “죽음은 무엇인가?”
4번: 잘 34장.
5번: 깨71 7/8 22, 23면. “성령—하나의 인격체인가?”
10월 21일 성서 낭독: 창세기 32-36
1번: 지 172면 1항-175면 13항.
2번: 창세기 34:1-19.
3번: 깨71 7/22 22, 23면. “바울의 로마 항해.”
4번: 잘 35장.
5번: 깨71 8/8 22, 23면. “나쁜 동무가 선한 습성을 망칩니다.”
10월 28일 필기 복습. 창세기 16-36 전체.
연설들: 골 45ㄷ과 45ㄹ.
11월 4일 성서 낭독: 창세기 37-40
1번: 지 175면 1항-180면 29항.
2번: 창세기 39:1-20.
3번: 깨71 8/22 22, 23면. “산 자가 죽은 자와 대화를 하려고 해야 하는가?”
4번: 잘 36장.
5번: 파69 274면 6항-275면 7항; 276면 13항-277면 14항; 278면 23항-280면 29항. “예수는 으뜸가는 스승이었다.”
11월 11일 성서 낭독: 창세기 41-43
1번: 지 181면 1항-184면 14항.
2번: 창세기 42:29-43:14.
3번: 깨71 9/8 22, 23면. “영적 필요를 의식하는 사람들은 행복하다.”
4번: 잘 37장.
5번: 시 18:1-6; 23:1-6; 27:9, 10; 37:23-25. “다윗은 버림받지 않았다.”
11월 18일 성서 낭독: 창세기 44-47
1번: 지 184면 15항-187면 34항.
2번: 창세기 44:14-45:5.
3번: 깨71 9/22 22, 23면. “슬퍼하는 그들은 행복하다.”
4번: 잘 38장.
5번: 사도 4:5-31; 5:17-42. “협박과 투옥이 사도들의 열성을 꺾어버리지 못하였다.”
11월 25일 성서 낭독: 창세기 48-50
1번: 지 188면 1항-191면 13항.
2번: 창세기 49:1-27.
3번: 깨71 10/22 22, 23면. “온유한 자는 행복하다.”
4번: 잘 39장.
5번: 사도 13:50-52; 14:19-23; 16:19-24; 고린도 전 15:9, 10; 고린도 후 6:4-10; 7:5; 11:23-28. “바울은 기꺼이 인내했다.”
12월 2일 필기 복습. 창세기 37-50 전체.
연설들: 골 45ㅁ과 45ㅂ.
12월 9일 성서 낭독: 출애굽기 1-10
1번: 감 성서 낱권제2권 19-20면 1-8항.
2번: 출애굽기 3:1-17.
3번: 깨71 11/8 22, 23면. “의에 주리고 목마른 자는 행복하다.”
4번: 잘 40장.
5번: 창 6:9-22; 히브리 11:7; 베드로 후 2:5. “노아는 그 당시 사람들이 반응이 없었지만, 계속 건축하였고 전도하였다.”
12월 16일 성서 낭독: 출애굽기 11-15
1번: 감 성서 낱권제2권 20-24면 9-25항.
2번: 출애굽기 15:1-8.
3번: 깨71 11/22 22, 23면. “자비한 사람은 행복하다—그들이 자비를 받을 것이다.”
4번: 잘 41장.
5번: 파69 421면 16항-422면 20항. “예레미야는 하나님의 이름의 중요성을 인식했다.”
12월 23일 성서 낭독: 출애굽기 16-25
1번: 감 성서 낱권제2권 24-25면 26-31항.
2번: 출애굽기 20:1-21.
3번: 깨71 12/8 22, 23면. “마음이 순결한 사람들은 행복하다.”
4번: 잘 42장.
5번: 파70 397면 16, 17항. “모세는 여호와를 섬길 것을 선택하였다.”
12월 30일 필기 복습. 출애굽기 1-25 전체.
연설들: 골 45ㅅ과 45ㅇ.